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8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석사)--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 제약산업학과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742021 
유럽 각국의 의약품 정책과 제네릭 시장 점유율과의 연관성 분석

  • 저자[authors] 장경섭

  • 발행사항 서울 :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 형태사항[Description] 70 ; 26 cm

  • 일반주기명[Note] 지도교수: 이재현

  • 학위논문사항[Dissertation] 학위논문(석사)--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 제약산업학과  2018. 2

  • 발행국(발행지)[Country] 서울

  • 출판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 제네릭 의약품,유럽 의약품 정책,제네릭 의약품 시장 점유율,제네릭 의약품 사용 촉진,의약품 정책 중요성

  • 소장기관[Holding] 성균관대학교 중앙학술정보관 (211040)


초록[abstracts] 
전 세계적으로 평균수명이 증가하고 고령화가 심화됨에 따라서 만성질환 치료제, 항암치료를 위한 화학요법제 등, 의약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이로 인하여, 환자 개개인의 의료비 지출, 정부의 보건의료 체계의 비용 부담 증가되고 있다. 인구의 고령화를 이미 경험한 유럽의 많은 국가들에서는 의료비 지출 부담을 완화하고 적절한 의료비 지출을 추구하고 있다. 그 방안중 하나로 의료비 지출에서 상당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은 의약품비 지출 감소를 위하여 상대적으로 저렴한 제네릭 의약품의 사용을 촉진하는 노력을 하고 있다. 제네릭 의약품은 오리지널 의약품과 동일한 효과를 나타내는 동시에 약가가 상대적으로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의약품 정책은 인구집단의 건강, 보건영역에 대한 대중의 만족도, 치료의 비용효과성 등의 관점에서 보건시스템의 성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유럽의 각 국가들에서 사용되고 있는 의약품 정책 중에서 제네릭 의약품 사용 촉진을 위한 정책들을 살펴보고, 각 국가들의 제네릭 의약품 시장 점유율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19개의 유럽 국가들에 대하여 조사하고 비교하였다. 각 정책들을 시행하는 국가의 제네릭 점유율 평균을 살펴보고, 정책의 시행여부에 따른 점유율 차이에 대하여 t-test를 실시하였으며, 정책들과 제네릭 의약품 시장 점유율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고, 회귀분석을 통하여 정책들이 제네릭 의약품 시장 점유율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또한 제네릭 점유율에 따라 국가를 분류하고, 고 제네릭 점유율 국가와 저 제네릭 점유율 국가를 비교하였다.     제네릭 의약품이 가격 경쟁력을 가질 수 있는 가격결정 방식과 의사, 약사를 대상으로 재정적인 요인이 포함된 정책이 시행되는 국가들에 제네릭 의약품 시장 점유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의약품의 사용에 있어서 처방의 주체인 의사와 관련된 정책의 시행의 중요성을 ‘고 제네릭점유국가’와 ‘저 제네릭점유국가’의 비교를 통하여 확인 할 수 있었다. 회귀분석의 결과에 따르면, 가격결정방식, 의사 측면의 재정적 인센티브 정책이 제네릭 의약품 시장 점유율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통계적으로 확인 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의료비 지출을 줄이기 위한 수단으로 저가의 제네릭 의약품 사용 촉진하기 위한 정책 요소들을 파악하고, 고령화와 만성질환 증가로 인한 의료비 지출을 안정화하고 합리적인 의료비 지출을 위한 정책의 바람직한 방향을 파악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4328 9 보건의료 바이오메디컬 데이터를 활용한 치매에 대한 총체적 이해 / 신현정 2016  63
4327 20 죽음과 죽어감 암환자의 죽음인식이 웰다잉과 영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김석란 2016  63
4326 9 보건의료 입원환자의 위급 상황 시 위치추적이 가능한 웨어러블 헬스케어 디바이스 디자인 개발 방향에 관한 연구 / 나한범, 장영주 2015  63
4325 5 과학 기술 사회 보건의료분야 리베이트 규제의 현황 및 개선방향 / 김한나 외 2014  63
4324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봉사 경험이 삶과 죽음 태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 / 장민희 외 2018  63
4323 9 보건의료 공공보건의료체계 발전 방안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 분석 / 김유호 2018  63
4322 9 보건의료 의료행위의 정당화와 면책가능성 / 임상규 2019  63
4321 9 보건의료 보건의료의 위기와 한국 건강보험의 뉴 패러다임 선택 / 김명희 2014  64
4320 15 유전학 The challenge of personal genomics in Germany 2013  64
4319 19 장기 조직 이식 Mental Health Among Living Kidney Donors: A Prospective Comparison With Matched Controls From the General Population 2015  64
4318 15 유전학 맞춤의학 시대의 개인 유전체 서열의 해독과 스마트한 이용 / 김동민 2013  64
4317 15 유전학 유전질환 등록 시스템 운영, 유전자 정보 Database 구축 및 유전자 진단 시스템 확립 / 구수경 2000  64
4316 18 인체실험 줄기세포기반치료에 대한 미국의 규제 경향 고찰 / 박수헌 2016  64
4315 20 죽음과 죽어감 소위 「연명의료결정법」의 주요 내용과 현실적용에서 쟁점과 과제 / 이석배 2017  64
4314 14 재생산 기술 기혼 여성의 난임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정영민 2017  64
4313 15 유전학 인간 유전체 연구 관련 국제 특허성 연구(I) / 김소윤 2016  64
4312 9 보건의료 건강기능식품의 기능성 전달기법에 대한 소비자 인식조사 2014  64
4311 20 죽음과 죽어감 국내 호스피스·완화의료 기관 내 프로그램 코디네이터의 사별돌봄을 위한 음악 활용 인식 / 김지수 2017  64
4310 14 재생산 기술 인공생식에 있어서 부자관계설정에 관한 소고 / 김상헌 2016  64
4309 20 죽음과 죽어감 사형제도에 대한 그리스도교 이해 / 우석민 2018  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