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8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석사)-- 고신대학교 대학원 : 보건과학과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686057 
포괄수가제 당연적용 전·후 진료비와 재원기간 비교 

= Comparison of Medical Expenses and Length of Hospital Stay before and after Obligatory Application of Diagnosis Related Group(DRG)

  • 저자[authors] 이고은

  • 발행사항 부산 : 고신대학교 대학원, 2018

  • 형태사항[Description] 42 ; 26 cm

  • 일반주기명[Note] 지도교수: 류황건

  • 학위논문사항[Dissertation] 학위논문(석사)-- 고신대학교 대학원 : 보건과학과 2018.2

  • DDC[DDC] 362.1 21

  • 발행국(발행지)[Country] 부산

  • 출판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 포괄수가제,DRG,상급종합병원

  • 소장기관[Holding] 고신대학교 문헌정보관 (221003)

  • UCI식별코드 I804:21003-200000011761


초록[abstracts] 
포괄수가제 당연적용 전·후 진료비와 재원기간 비교 이고은 고신대학교 대학원 보건과학과 지도교수 류황건 국문요약    인구의 고령화, 생활수준의 향상, 의료기술의 발전 등 많은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의료비의 증가에 영향을 주는 가운데 의료비 지출을 규제하기 위한 방책으로 포괄수가제를 도입하게 되었다. 2002년 1월부터 자율선택으로 도입하여 2012년 7년 병․의원급 의료기관으로 확대, 2013년 7월 상급병원과 종합병원을 포함한 전체 의료기관에 당연 적용하여 현재까지 시행되어오고 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전체 44개 상급종합병원을 대상으로 포괄수가제 당연적용 시점 전인 2012년 7월에서 2013년 6월까지 1년과 당연적용 후의 2013년 7월에서 2014년 6월까지 1년의 진료비와 환자의 재원기간을 비교해 봄으로서 포괄수가제 정책이 상급종합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청구된 전체 의료기관의 진료비명세서 자료 전수를 이용하였다. 분석을 위해 SPSS 18.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대응표본 t검정(t-test)을 실행,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우리나라의 전체병원에서 7개 질병군으로 청구 된 건수는 DRG 적용 전, 후 각각 271,042건과 1,080,900건이다. 그 중 상급종합병원의 청구 건수는 각각 106,383건과 105,466건이며 상급종합병원이 차지하는 비율은 39%와 10%로 DRG 적용 후 크게 감소한 것으로 보인다.    첫째, DRG 당연적용 후 재원일수는 7개 질병군 모두에서 감소하였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5).    둘째, 총진료비는 수정체 수술, 편도 및 아데노이드 절제술, 충수절제술, 서혜 및 대퇴부 탈장수술, 자궁 및 자궁부속기 수술, 제왕절개분만에서 DRG 적용 전 보다 적용 후에 증가하였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5). 항문수술에 있어 적용 전 1,240,175원에서 적용 후 1,058,419원으로 유일하게 감소하였다.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5).    셋째,  DRG 적용 전, 후의 보험자부담금은 총진료비와 마찬가지로 항문수술에서 감소하였고, 항문수술을 제외한 나머지 질병군에서 증가하였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5). 자궁 및 자궁부속기 수술에서 DRG 적용 전 평균 1,536,457원에서 평균 2,110,659원으로 574,202원 증가하여 가장 크게 증가하였다.        넷째,  본인부담금에서는 수정체 수술, 편도 및 아데노이드 절제술, 서혜 및 대퇴부 탈장수술, 자궁 및 자궁부속기 수술, 제왕절개분만에서 DRG 적용 전보다 적용 후에 증가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5). 충수절제술에서 적용 전 평균 551.501원에서 506.484원으로, 항문수술에서 적용 전 평균 230,834원에서 195,525원으로 감소하였고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5).     본 연구에서 분석한 자료에는 비급여 항목이 포함되어 있지 않아 정확한 진료비를 추정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으나 연구결과에서 알 수 있는 재원일수의 감소로 DRG 지불제도의 기대효과를 일부 달성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 그러나 DRG 당연적용 후 우리나라의 전체 병원에서 7개 질병군으로 청구 된 건이 증가한 것에 비해 상급종합병원의 청구 건은 감소한 것으로 보아 DRG 당연적용 시행 후 상급종합병원보다 병·의원급 의료기관으로 환자가 더 쏠림을 알 수 있어 DRG 지불제도의 도입이 상급종합병원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고 평가하기 어렵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23 연구윤리 연구윤리와 연구부정행위에 관한 교육 / 송동수

발행년 2018 

  • 조회 수 66

4 보건의료 철학 의료정보의 블록체인 활용 현황과 전망 / 김승현

발행년 2018 

  • 조회 수 66

9 보건의료 건강보험의 이념과 의료정책 / 이규식

발행년 2018 

  • 조회 수 66

15 유전학 유전정보 국외이전에 따른 국내 헬스케어산업보안 법제의 취약성 고찰 / 이보형

발행년 2016 

  • 조회 수 66

23 연구윤리 바이오뱅크 분야의 연구데이터 관리 및 서비스 동향에 관한 연구 / 박미영 외

발행년 2017 

  • 조회 수 66

14 재생산 기술 시험관 아기 시술(IVF-ET) 실패 환자에게 IVF-ET 재 시술 시 한약 중재 효과에 대한 체계적 문헌 고찰 및 메타 분석 / 배주은

발행년 2017 

  • 조회 수 66

9 보건의료 줄기세포를 활용한 비임상시험의 미래전략 / 김기석

발행년 2017 

  • 조회 수 66

14 재생산 기술 난임 여성을 향한 모성론과 재생산 구조의 여성주의적 고찰 / 이경애

발행년 2016 

  • 조회 수 66

5 과학 기술 사회 개인 정보 보호를 강화하는 보건의료 빅데이터 연계 프로세스 / 김현준

발행년 2017 

  • 조회 수 66

20 죽음과 죽어감 웰다잉의 통합적 사례 연구 / 신성호

발행년 2017 

  • 조회 수 66

14 재생산 기술 모자 건강보호를 위한 난임부부 지원사업 개선방안

발행년 2015 

  • 조회 수 66

20 죽음과 죽어감 의사무능력자를 대신하는 의료결정을 개선할 방안은 없는가? / 김상구

발행년 2017 

  • 조회 수 66

18 인체실험 국내 비임상시험기관에 대한 외국 규제기관 수검 사례 / 정은주

발행년 2013 

  • 조회 수 66

5 과학 기술 사회 스마트폰 환경에서 공인인증서 사용 시 소유 및 생체인증 연동 방법 / 김선종

발행년 2015 

  • 조회 수 66

2 생명윤리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인간대상연구 현황, 과제 관리 기준과 생명윤리에 관한 고찰 / 유은주

발행년 2017 

  • 조회 수 66

5 과학 기술 사회 생명의료 빅데이터 분석에 기반한 자동 정밀 진단 시스템의 현재와 미래

발행년 2017 

  • 조회 수 66

18 인체실험 임상시험에서의 동의의 법적 유효성과 설명의 내용 : 일본에서의 논의와 우리나라에서의 시사점을 중심으로 / 송영민

발행년 2012 

  • 조회 수 66

9 보건의료 의료광고에 대한 태도가 의료기관 이용의사에 미치는 영향 : 종합병원의 외래환자를 대상으로 / 한수연

발행년 2009 

  • 조회 수 66

9 보건의료 바이오헬스산업과 의약품 접근권 -바이오의약품 자료보호에 대한 최근 논의 / 박대웅, 이주하

발행년 2016 

  • 조회 수 66

15 유전학 게놈 정보의 기능분석 동향 / 신희섭

발행년 1996 

  • 조회 수 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