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7
발행년 : 2018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석사)-- 성균관대학교 국정전문대학원 : 행정학과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746304 
한국 장기이식 거버넌스의 변화

= (The) changes in organ transplantation governance in Korea

  • 저자[authors] 유정모

  • 발행사항 서울 : 성균관대학교, 2018

  • 형태사항[Description] vi, 118 p. : 삽화 ; 30 cm

  • 일반주기명[Note] 지도교수: 이명석<br>참고문헌: p. 89-93

  • 학위논문사항[Dissertation] 학위논문(석사)-- 성균관대학교 국정전문대학원 : 행정학과 2018. 2

  • 발행국(발행지)[Country] 서울

  • 출판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 장기이식,거버넌스,사회적 조정양식,협력적 거버넌스,거버넌스의 변화

  • 소장기관[Holding] 성균관대학교 중앙학술정보관 (211040)


초록[abstracts] 
본 연구는 한국 장기이식 거버넌스의 변화를 분석하여 사회문제 해결에 있어 협력적 거버넌스가 나타나는 과정과 개별 거버넌스가 가진 장·단점과 협력적 거버넌스의 이점을 탐색하였다. 연구는 거버넌스를 사회적 조정양식으로 정의하였다. 또한 사회문제를 개별 행위자가 만족하지 못하는 상황으로 바라보았으며, 사회문제를 해결하였으나 여전히 남아있는 문제 혹은 새로운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회의 환경을 변화시키는 것을 거버넌스의 변화로 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 장기이식에 있어 개별 행위자들이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한 사회적 조정양식과 거버넌스의 변화 방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초기 장기이식 거버넌스에 있어 개별 행위자들은 장기이식을 활성화시키기 위해 행위자 간의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사회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네트워크 거버넌스가 가지고 있는 폐쇄성과 비공식성으로 인해 장기매매와 뇌사의 법적 불인정과 같은 현상들이 나타났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는 법을 제정하여,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정부의 장기이식과 관련한 법의 제정은 네트워크 거버넌스가 가진 폐쇄성과 비공식성의 문제를 해결하는데 있어 효과적이었으나, 과도한 계층제적 통제로 인해 과거에 비해 장기이식의 건수는 오히려 감소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정부는 감소한 장기이식 건수를 높이기 위해 시장 거버넌스의 요소를 도입하였는데, 이는 뇌사자 발굴 병원과 장기기증자에 대한 인센티브로 나타난다. 이러한 시장요소의 도입 이후 지속적인 장기이식의 활성화를 위해 뇌사추정자 의무신고제도를 도입하였다. 현재 장기이식과 관련한 주요 쟁점은 장기이식에 있어 기증자에 대한 예우와 사회 분위기 조성으로 과거 도입되었던 시장 거버넌스적인 요소들을 축소하기 위한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이상의 분석을 통해 본 연구는 개별 행위자들이 인식하는 사회문제를 해결하는데 있어 하나의 사회적 조정양식을 사용하기 보다는 다양한 사회적 조정양식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임을 확인하였으며, 특정시점에서 사용한 사회적 조정양식이 한계를 가질 경우 거버넌스의 변화를 통해 새로운 사회적 조정을 모색하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4347 1 윤리학 2017년도 국내 동물실험윤리위원회 운영실태 분석 / 문지영 외 2018  62
4346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분쟁조정법상 조정 자동개시 조항에 관한 고찰 / 김석영 외 2018  45
4345 2 생명윤리 인간생명의 보호가 법정책의 기반이어야 / 정재우 2018  50
4344 2 생명윤리 국내학술지에 게재된 생명윤리의식에 관한 간호연구의 동향 / 최미선 2018  120
4343 5 과학 기술 사회 지능정보사회에서 개인정보 법제정비에 관한 비교법적 검토 / 이한주 외 2018  64
4342 5 과학 기술 사회 『뉴로맨서』에 나타난 인공지능 윤리의식에 대한 연구 / 추재욱 2018  52
4341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이 지식을 가질 수 있는가? : 폐쇄 버전의 쉬운 지식 문제에 대한 한 가지 해결책과 그 해결책이 함축하는 것 / 오희철 2018  104
4340 5 과학 기술 사회 일본에서의 인공지능 창작물에 대한 저작권법상 논의 동향 / 고재종 2018  221
4339 5 과학 기술 사회 중국 인공지능 시장 진출 전략 연구 / 박성철 2018  54
4338 8 환자 의사 관계 병원간호사가 지각한 환자안전관리 중요성 인식, 환자안전문화 및 안전수행이 병원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 박미연 외 2018  156
4337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기관 인증제에 대한 인식이 요양병원 간호인력의 환자안전관리 활동에 미치는 영향 / 권명숙 외 2018  48
4336 1 윤리학 인공지능로봇을 위한 윤리 가이드라인 연구 - 인공지능로봇윤리의 4원칙을 중심으로 - / 변순용 2018  281
4335 1 윤리학 미래 의료용 나노로봇기술이 가져올 수 있는 해악 및 그 방지를 위한 입법적 개선방안 제언 ― 표적치료제 나노로봇을 중심으로 ― / 정천교 2018  2098
4334 1 윤리학 인공지능(AI) 치명적자율무기(LAWs)의 법적·윤리적 쟁점에 대한 기초연구 / 한희원 2018  352
4333 1 윤리학 생명정치와 디스토피아 문학 / 이정현 2018  288
4332 9 보건의료 한국형 멜드 시스템 도입 전후의 뇌사자 간이식 성적 비교: 단일기관 연구 / 이지아 외 2018  114
4331 15 유전학 운명과 선택의 이야기로서의 유전자 - ‘인간적 과학’을 위한 교양교육의 탐색 - / 한수영 2018  155
4330 19 장기 조직 이식 중국 장기기증 서비스 디자인 연구 / 황신 2018  78
» 19 장기 조직 이식 한국 장기이식 거버넌스의 변화 / 유정모 2018  152
4328 1 윤리학 빅데이터와 빅퀘스천 - 빅데이터 활용에 대한 인문학적 비판과 질문 - / 유강하 2018  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