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5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석사)-- 울산대학교 일반대학원 의학과 : 의학과 외과학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024425 
투석이 필요한 상태의 뇌사 공여자로부터 신장이식 결과: 27례 

= Kidney Transplantation from the Deceased Donors who need Continuous renal replacementment Therapy (CRRT)

  • 저자[authors] 이주연

  • 발행사항 울산 : 울산대학교 일반대학원 의학과, 2015

  • 형태사항[Description] ; 26 cm

  • 일반주기명[Note] 지도교수: 홍석경

  • 학위논문사항[Dissertation] 학위논문(석사)-- 울산대학교 일반대학원 의학과 : 의학과 외과학 2016. 2

  • 발행국(발행지)[Country] 울산

  • 출판년[Publication Year] 2015

  • 주제어 Renal transplantation,expanded criteria donor,acute kidney injury,Continuous renal replacement Therapy (CRRT)

  • 소장기관[Holding] 울산대학교 도서관 (248009)

  • UCI식별코드 I804:48009-000002207370


초록[abstracts] 
배경: 이전 특이 병력 없이 건강했던 환자에서 발생한 급성 신 손상은 기저질환에서 회복되면 대부분의 경우 특별한 문제를 남기지 않고 회복된다.  뇌사자의 경우 치료 과정 중 신대치요법이 필요할 정도의 심각한 신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기증장기 사용을 극대화 하기 위해 환자로부터 고지에 입각한 동의를 받고 신대치요법을 시행했던 뇌사자로부터 장기를 구득하여 신이식을 시행하였다. 이 논문은 단일기관에서 신대치요법을 시행했던 기증자로부터의 신장이식의 결과를 살펴보았다. 방법: 서울아산병원에서 2007년 7월부터 2014년 9월까지 신대치요법을 시행했던 뇌사자로부터 신장 이식을 받은 환자들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 하였다. 결과: 2007년 7월부터 2014년 9월까지 19명의 신대치요법 기증자로부터 27개의 신장을 이식하였다. 기증자의 평균 나이는 35.1세(범위:16-56세)였으며 남자가 14명(74%) 이었다. 뇌사의 원인은 두경부 외상, 허혈성 뇌손상, 뇌졸중 등이 있었다. 신대치요법이 필요했던 원인으로는 무뇨증을 비롯하여, 전해질 불균형, 산증 등이었고,평균 신대치요법 사용 기간은 3.6일(범위1-11 일)로 조사 되었다. 지연이식기능(delayed graft function) 이 24명(88.9%)에서 보였으나 이들 모두 정상적인 신기능을 회복하였다. 이식 후 평균 11일에 환자들은 신기능이 모두 회복되어 투석을 중단할 수 있었다. 평균 재원기간은 30일 이었다. 환자들의 이식 후 1개월, 1년, 5년의 혈청 크레아티닌은 1.85 mg/dL, 1.26 mg/dL and 1.31 mg/dL 로 나타났다. 결론: 5년간의 추적관찰 데이터에서 신대치요법이 필요할 정도의 심각한 신 손상을 가진 뇌사자로부터의 신장 이식도 훌륭한 결과를 보였다. 비록, 신대치요법 기증자로부터의 신장이식이 지연이식기능을 보이기는 했지만, 예후를 악화시키지는 않는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3368 1 윤리학 독일법상 동물보호를 위한 단체소송 / 송동수 외 2017  352
3367 15 유전학 자궁 및 태반에서 칼슘이온 수송 유전자의 조절 기전 / 양현 2014  352
3366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 공여신장이식에서 수혜자 및 공여자의 체형이 초기 이식신의 기능에 미치는 영향/최수윤 외 2004  352
3365 20 죽음과 죽어감 셸리 케이건의 『죽음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신학적 비판과 응답 /백충현 2018  351
3364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소송에서 과실과 인과관계의 증명 : 병원감염 판결을 중심으로/유현정 2014  351
3363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창작물에 대한 저작권의 주체/최재원 2017  351
3362 15 유전학 과학적 증거가 있는 경우 민법 제844조의 친생추정에 대한 소고(小考) - 우리나라와 일본의 판례를 중심으로 - / 홍남희 2015  351
3361 9 보건의료 의약품부작용보고시스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졸피뎀 약물 유해반응 실마리 정보 검출 / 한준우 외 2018  350
3360 14 재생산 기술 포유동물 초기배아의 체외성숙과 체외발달 및 이종간의 체외수정에 대한 연구 / 김영훈 2010  350
3359 9 보건의료 노인장기요양보험이 노인의료비에 미치는 효과와 노인의료비 결정요인에 관한 분석 2017  350
3358 20 죽음과 죽어감 죽음과 호스피스에 대한 간호사의 태도연구 / 이현주 2003  350
3357 9 보건의료 건강보험 수가정책 현황과 발전방안 연구 / 백현영 2014  350
3356 9 보건의료 한국의 응급의료서비스 행정체계에 관한 연구 : 재난응급의료체계의 현황을 중심으로 / 김유호 2011  350
3355 5 과학 기술 사회 생명공학과 헌법- 인간의 존엄, 연구의 자유 그리고 국가의 생명보호의무/조홍석 2015  350
3354 19 장기 조직 이식 뇌사자 장기기증 활성화 방안 / 이영주 2015  350
3353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에 관한 사례비교 및 존엄사의 정당화 가능성 연구 : 故 김수환 추기경과 故 김대중 전 대통령의 사례를 중심으로 / 권혁남 2010  349
3352 20 죽음과 죽어감 중환자실 간호사의 연명의료에 대한 역할인식, 간호스트레스 및 태도 / 이수정 2016  349
3351 14 재생산 기술 21세기 생명복제에 관한 기독교 윤리적인 견해 / 한경옥 2006  349
3350 10 성/젠더 칸트 성윤리의 구조와 재구성 / 김은희 2018  348
3349 19 장기 조직 이식 인체유래물 기증자의 동의 및 동의철회의 법적 문제 / 이한주 2016  3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