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국제어문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276005 
운명과 선택의 이야기로서의 유전자 - ‘인간적 과학’을 위한 교양교육의 탐색 - 

= Genes as a Story of Fate and Choice - Exploration of General Education for ‘Humane Science’ -

  • 저자[authors] 한수영 ( Han Soo-young )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국제어문

  • 권호사항[Volume/Issue] Vol.76No.-[2018]

  • 발행처[publisher] 국제어문학회 ( 구 국제어문학연구회 )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467-491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descriptor] 유전자, 인간정체성, 과학지식, 가치, 이기적 유전자, 진화, 발생, 결정론, 상상력, 이야기, 운명과 선택, 인간적 과학, 교양교육, Genes, General Education, Humane science, Gene-centered view, Selfish Gene, Determinism, Evolution, Imagination, Story, Fate and Choice


초록[abstracts] 
[과학지식이 야기하는 ‘무의미성’을 어떻게 삶의 가치로 변환할 수 있을까? 생명 과학의 키워드인 유전자는 교양교육에 ‘과학지식’과 ‘가치’의 연결이라는 문제를 던져준다. 유전자 논쟁의 핵심에 있는 『이기적 유전자』는 과학지식을 수용하는 데 결정론을 넘어서는 상상력이라는 새로운 틀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해준다. 생명 과학은 유전 ‘정보’와 생물학적 ‘의미’ 사이의 틈새를 확장해왔다. 생명은 유전자의 인과적 산물이 아니며, 생명시스템 전체가 관여하는 복잡한 과정이라는 것이 밝혀지고 있다. 유전자는 우연과 필연이 교차되는 진화라는 대서사시의 주인공이다. 진화라는 거대한 시간 안에서 개체는 필연적으로 종으로서의 안정성에 복무한다. 하지만 개체의 시간은 우연한 선택들과 변화로 채워져 있으며, 이러한 가변성이 축적되며, 진화의 계기가 만들어진다. 진화의 거대한 시간을 상상하고 이를 바탕으로 개체에게 주어진 가능성의 시간을 사유할 수 있어야 유전자를 삶의 의미로 연결할 수 있다. 필연을 우연으로 만들고 존재를 당위로 만드는 생명의 여정은 유전자에 대한 상상력을 촉발시키며 유전자를 하나의 이야기로 사유해보게 한다.   유전자를 고전과 연결하여 운명과 선택의 이야기로 이해해보는 과정은 존재와 당위를 연결하며 상상력을 실천해보는 한 방법이다. 유전자는 과학의 시대가 우리에게 부여한 운명의 새로운 얼굴이다. 유전자는 스핑크스처럼 삶의 문을 지키며, 많은 것을 결정한다. 하지만 개체는 유전자라는 데이터베이스를 바탕으로, 자기 삶을 새롭게 직조한다. 유전자는 우리가 물질에서 기원하지만, 동시에 자신의 개별적 이야기를 구성해가는 특별한 존재라는 역설을 마주하게 해준다. 교양교육은 우주의 변방으로 추방된 인간으로 하여금 돌아가야 할 자리를 새롭게 상상하게 해야 한다. 그리고 과학지식을 삶의 가치로 전환시키는 ‘인간적 과학’의 영역을 탐색해야 한다.

Genes are raising new questions about human identity and making people think about how to accept scientific knowledge in General education. The Selfish Gene explains the evolution of altruism from a gene-centered view. Richard Dawkins’s argument is interpreted as genetic determinism, generating anxiety and moral criticism about the genes that make us. Determinism constricts new scientific knowledge into a framework of the past, and keeps knowledge from leading to meaning.  The gene-centered view assumes that entities are survival “machines” for their genes through the geological time and space of evolution. However, the logic of explaining the time required for evolution is different from the logic of time for a specific entity. Biology has expanded the gap between genetic “information” and biological “meaning.” Life is not a causal output of genes but a complicated process in which the entire system is involved. Genes can convey the meaning of life only when we imagine the immense time of evolution and, based on this, think about the time of possibilities given to the entity.  The process of linking genes to the classics and understanding it as a story of fate and choice is one way to connect existence to what should occur, and to actually practice imagination. Genes are the new face of fate given to us by the era of science. Genes are, like the sphinx, “monsters” guarding the doors to life and the determination of many things. However, the lives of entities have recently been constructed based on databases. The main characters of Oedipus Tyrannus read the scripts of fate in their own ways. The story of genes links the scientific knowledge of genes more specifically to the meaning of life.  Genes let us face the paradox that, while we originate from substance, we are also special beings that form our own invidious history. Understanding this feeble balance is humane. General education must explore the field of humane science so that humans banished to the frontiers of the universe can reimagine the place to where they must return.]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1808 20 죽음과 죽어감 성숙한 죽음문화의 모색 : 소극적 안락사의 3가지 대안 / 오진탁 2006  156
1807 8 환자 의사 관계 병원간호사가 지각한 환자안전관리 중요성 인식, 환자안전문화 및 안전수행이 병원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 박미연 외 2018  156
1806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에 대한 생사학적 비판 / 오진탁 2017  156
1805 20 죽음과 죽어감 장애인 환자의 연명의료결정 시 자기결정권 존중과 의사결정 조력 / 유수정,박소연 2017  156
1804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요양시설 거주노인을 위한 사전연명의료의향서 및 실무 가이드라인 개발 / 이금주 2017  156
1803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 만성심장질환자의 좋은죽음에 대한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과 태도 / 황연희 2017  156
1802 14 재생산 기술 다양한 기원의 돼지 배아유래 만능성 줄기세포의 특성분석 / 김은혜 2015  156
1801 9 보건의료 의료 광고 상황에서 관계적 규범에 따른 효과적인 가격 프로모션 전략 / 김재휘 외 2015  156
1800 19 장기 조직 이식 이종이식에 관한 시민 인식 연구 /모효정 2012  155
1799 1 윤리학 형사사법정보의 빅데이터 활용을 위한 법·정책적 과제/김한균 2018  155
1798 5 과학 기술 사회 빅데이터 시대의 잊힐 권리에 관한 최근의 입법 동향과 법적 과제 / 김나루 2018  155
1797 18 인체실험 인공 조직 제조를 위한 줄기세포 및 생체재료 기반 바이오프린팅 기술 / 장진아 2018  155
1796 9 보건의료 의료민영화와 안경원 법인화에 대한 서울지역 안경사들의 인식도 비교 조사 연구 / 강수지 외 2016  155
1795 9 보건의료 고혈압 환자의 삶의 질 영향요인 및 측정도구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 장선주 외 2017  155
» 15 유전학 운명과 선택의 이야기로서의 유전자 - ‘인간적 과학’을 위한 교양교육의 탐색 - / 한수영 2018  155
1793 13 인구 저출산시대에 인구감소 방지를 위한 고위험임신 관리방안 / 이난희, 송혜숙 2017  155
1792 9 보건의료 건강보험급여구조와 비급여 관리 / 지영건 외 2017  155
1791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시대에 살아남는 법 / 고인석 2016  155
1790 9 보건의료 국민건강보험법의 발전과정과 법정책적 과제 / 조형원 2007  155
1789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에 관한 소고 / 오호철 2009  1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