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大韓移植學會誌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248042 
한국형 멜드 시스템 도입 전후의 뇌사자 간이식 성적 비교: 단일기관 연구 

= Comparison Study of Outcomes of Deceased Donor Liver Transplantation before and after Korean Model for End-Stage Liver Disease (MELD) System: Single Center Experience

  • 자[authors] 이지아 ( Ji A Lee ), 최규성 ( Gyu-seong Choi ), 김종만 ( Jong Man Kim ), 권준혁 ( Chun Hyuck David Kwon ), 조재원 ( Jae-won Joh )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大韓移植學會誌

  • 권호사항[Volume/Issue] Vol.32No.1[2018]

  • 발행처[publisher] 대한이식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7-11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descriptor] Liver transplantation, Model for End-Stage Liver Disease, Allocation, 간이식, 멜드 점수, 장기배정


초록[abstracts] 
[Background: In June of 2016, the Model for End-Stage Liver Disease (MELD)-based allocation system replaced the Child-Turcotte-Pugh (CTP) score-based system for deceased donor liver transplantation (DDLT) in Korea. This study was conducted to reveal the changes before and after the MELD system.   Methods: From January 2015 to March 2017, 71 patient datapoints were collected from recipients who underwent DDLT in a single center.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 allocation system (41 in the MELD group, 30 in the CTP group).   Results: The MELD score of the two groups differed significantly (36.8±4.5 in the MELD group, 26.0±8.1 in the CTP group, P=0.001). There was no difference in etiology for liver transplantation, 6-month survival rate, or in-hospital stay. However, complication rate and re-admission rate within the first 3 months were higher in the MELD group (78%, 56%). No one received a DDLT because of an incentive system for hepatocellular carcinoma.   Conclusions: Despite the short-term follow-up period, the new allocation rule reflects the severity of the patients. Almost all patients who underwent DDLT when they had a high MELD score and then suffered from morbidity; however, this problem was associated with organ shortage, not the allocation system.]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4348 9 보건의료 Applying a Global Justice Lens to Health Systems Research Ethics: An Initial Exploration 2015  62
4347 19 장기 조직 이식 이식용장기의 수급불균형 해소를 위한 법제도적 과제 / 정상기 2009  62
4346 9 보건의료 IoT 기반의 모바일 헬스케어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 저장 및 보호 모델/정윤수 2017  62
4345 19 장기 조직 이식 사용자 경험 요소를 활용한 제대혈산업의 온라인 서비스 개발에 관한 연구 / 이정선 2015  62
4344 14 재생산 기술 제대혈 관리 및 연구에 관한 법제와 개선방안 2010  62
4343 20 죽음과 죽어감 생명운동과 죽음학: 웰빙Well-Being을 넘어 웰다잉Well-Dying의 시대로 / 문영석 2010  62
4342 7 의료사회학 응급의료에서의 의사의 주의의무와 법적책임 / 문성제 2010  62
4341 13 인구 저출산 시대, 지역사회 위기극복을 위한 협력적 거버넌스 / 서동희 2017  62
4340 1 윤리학 인간존엄에 관한 신학적 논증의 가능성과 한계 / 임종태 2018  62
4339 1 윤리학 2017년도 국내 동물실험윤리위원회 운영실태 분석 / 문지영 외 2018  62
4338 9 보건의료 2018년 꼭 알아야 할 병의원 관련 개정세법 / 신진혜 2018  62
4337 9 보건의료 유방암 생존자의 정서 접근적 대처, 정서 억제, 내면의 힘에 따른 외상 후 성장 / 김미영 2019  62
4336 9 보건의료 Evaluating the Legitimacy of Contemporary Legal Strategies for Obesity 2015  63
4335 14 재생산 기술 기술의 문화적 재현과정과 실천 / 김경례 2010  63
4334 14 재생산 기술 代理母契約을 통한 子의 出産의 法律問題 / 이귀자 1994  63
4333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의료의 법적규제 및 실제에 대한 대처 / 김성은 2012  63
4332 5 과학 기술 사회 4차 산업혁명을 준비하는 스마트기술과 표준화 전략 / 이상동 2016  63
4331 15 유전학 CRISPR in the media 2017  63
4330 20 죽음과 죽어감 종교유무에 따른 한국인의 ‘연명의료’ 결정과 태도에 관한 융합연구 2017  63
4329 9 보건의료 바이오메디컬 데이터를 활용한 치매에 대한 총체적 이해 / 신현정 2016  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