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외법논집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2867731 
일본에서의 의료과오에 대한 형사책임 

= Criminal Responsibility of Medical Malpractice in Japan - Focusing on the co-principals of crime by negligence -

  • 저자[authors] 배상균(BAE, Sang-Kyun)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외법논집

  • 권호사항[Volume/Issue] Vol.41No.1[2017]

  • 발행처[publisher] 한국외국어대학교 법학연구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391-409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7

  • KDC[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360

  • 주제어[descriptor] 의료과오,팀의료,과실,주의의무,형사책임,과실공동정범,medical malpractice,team medical care,negligence,duty of care,criminal responsibility,the co-principals of crime by negligence


초록[abstracts] 
[일본에서는 1990년대부터 의료과오소송이 사회문제로서 제기된 이후 주요사회문제로서 논의되고 있다. 과거, 의료행위가 갖는 고도의 전문성 및 사회적 영향력으로 인해 의료과오의 문제로 인하여 의사 등에게 책임을 묻는 것은 많지 않았다. 그러나 이와 같던 상황이 크게 변하여 피해자에 대한 여론의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의료사고에 대한 적극적인 형사개입이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로 인해 의료과오의 인정에 있어서 주의의무위반 및 인과관계 등의 논의가 많았고 그 중 복수관여자의 과실경합 등의 문제로서 과실공동정범론이 주목받고 있다. 물론 의사의 의료과오와 형사책임의 인정여부에 있어서 의료행위, 그 자체가 결과를 완전히 예측할 수 없는 것이라고도 볼 수 있는 것이기 때문에 “주 의의무위반에 따른 과실”, “결과가 예견됨에도 불구하고 이를 회피하지 않은 것”을 이유로 업무상 과실치사상죄를 적용할 경우에는 제한적으로 해석될 필요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의사의 의료행위에 대하여 명백한 과실로서 무모(recklessness)와, 경솔성 (Leichtfertigkeit)이 인정되는 경우라면 예외적으로 형사책임이 추궁(追窮)되어야 할 것이며, 이러한 경우에 한하여 공동주체에 의한 집단과오에 따른 과실공동정범도 인정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즉 과실 범에 있어서도 복수의 행위자들이 의사연락을 통해서 일정한 결과발생방지를 위한 일체가 되어 활동 하는 공동주체로서 인적으로 결합되면, 해당 행위자들의 주의의무위반행위가 공동주체에 의한 전체행 위로서 불가분의 형태로 일체화된 것으로 볼 수 있다는 점에서 과실범의 공동정범이 의미를 갖는다. 구체적으로는 기업제조물의 결함책임, 대형참사, 팀의료에 의한 의료과오 등의 복잡한 사안에서 이러한 공동주체에 의한 집단과오행위의 인정여부가 큰 의미를 갖게 된다.
This report discusses Japan s criminal law regarding ‘medical malpractice’ and points out problems that need to addressed. Allegations of medical malpractice have been relatively rare in Japan, in part perhaps because of an imbalance of power in the doctor/patient relationship. Awareness of such problems, however, has been growing, and the law has started to respond. For example, the recognition of victim s rights has been increasing in Japan along with the punishment of offenses that arise from negligence. Even so, society needs to be attentive to any tendency to overreach in subjecting medical personnel to criminal law. About the criminal responsibility, ‘medical malpractice’ by multiple participants such as team medical care is a problem, especially ‘the co-principals of crime by negligence’ are the main problem. The legal formation of a crime of involuntary wounding and manslaughter through negligence is indefinite, and the characterization of a doctor s responsibility is problematic. So In cases where ‘recklessness’ and ‘levity’ are recognized as obvious faults of doctor s medical practices, exceptional ‘criminal responsibility’ should be pursued, and only in such case, errors of multiple participants are accepted as the co-principals of crime by negligence. Specifically, in complex cases such as defects of company products, large-scale disasters, medical malpractice due to team medical care, the presence or absence of recognition of collective error by such co-principals is significan]

목차[Table of content] 
Ⅰ. 서론 Ⅱ. 일본의 의료과오 실태와 형사책임 Ⅲ. 일본의 의료과오 사건과 형사소추의 현황 Ⅳ. 결론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3508 15 유전학 인간유전학의 몇 가지 주제에 관한 윤리신학적 고찰 : 우생학, 인간 게놈 지도, 유전자 진단 및 치료 등의 유전자 개입을 중심으로 / 이동익 2003  112
3507 17 신경과학 복잡계와 뇌과학으로 바라본 인격 특성과 도덕교육의 패러다임 전환 / 박형빈 2017  112
» 8 환자 의사 관계 일본에서의 의료과오에 대한 형사책임 / 배상균 2017  112
3505 2 생명윤리 생명윤리 교육프로그램이 예비과학교사의 생명윤리 및 생명윤리교육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 / 신수경 2019  112
3504 22 동물복지 물건인가, 생명인가? / 신홍임 2017  112
3503 5 과학 기술 사회 미래 국가의 성패, 새로운 과학기술 정책에 달렸다/이명현 외 2016  113
3502 2 생명윤리 생명윤리에서의 '자율성'에 대한 이해 / 김광태 2015  113
3501 18 인체실험 신문의 방송비평기사의 공정성에 관한 연구 : ‘황우석 사건’ 방송보도에 대한 일간지의 비평기사를 중심으로 / 나영지 2009  113
3500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 간 공여자를 위한 교육 자료 개발 / 정윤중 2010  113
3499 12 낙태 낙태와 관련된 민사적 제 문제 / 윤부찬 2011  113
3498 8 환자 의사 관계 응급의료체계 내에서 진료정보교류의 법제 / 배현아 2016  113
3497 9 보건의료 NFC 기술 기반 병원의료정보 서비스 / 문용일 2016  113
3496 9 보건의료 의료소비자권리와 공유의사결정에 대한 연구 / 고은경 2017  113
3495 9 보건의료 노인 고혈압 환자의 외래진료와 복약 지속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서화영 2015  113
3494 5 과학 기술 사회 개인정보 침해사고 대응을 위한 사이버 포렌식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 공공기관 중심으로 / 박기배 2015  113
3493 13 인구 우리나라 출산정책의 정책도구에 대한 유형분석에 관한 연구 / 이기령 2018  113
3492 1 윤리학 인간배아연구로 인해 도전받는 생명의 존엄성에 대한 신학적 소고 : Emmanuel Levinas의 '타자성 윤리'를 통한 의식의 전환 시도 / 신수정 2011  113
3491 5 과학 기술 사회 인간 진화과정의 의미를 통해 살펴본 미래의 기술발전에 대한 고찰 / 이동현 외 2018  113
3490 9 보건의료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에 대한 일반인의 인식 /문세연 외 2017  113
3489 20 죽음과 죽어감 죽음의 두려움을 통해 본 구원의 확신과 목회적 돌봄 / 유현숙 2018  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