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철학논집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3238201 
인간중심주의적 동물윤리의 가능성에 관한 소론 

= A Philosophical Essay on the Possibility of an Anthropocentric Animal Ethics

  • 저자[authors] 소병철 ( So Byung-chul )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철학논집
  • 권호사항[Volume/Issue] Vol.49No.-[2017]
  • 발행처[publisher] 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109-139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7
  • 주제어[descriptor] 동물의 도덕적 지위, 종차별주의, 가장자리 상황 논증, 폐쇄적 인간중심주의, 개방적 인간중심주의, Moral Status of Animals, Speciesism, Argument from Marginal Cases, Narrow-minded Anthropocentrism, Expansive Anthropocentrism

초록[abstracts] 
[이 글의 목적은 최근 들어 비난의 표적이 된 인간중심주의적 사고방식의 한계와 의의를 동물윤리의 관점에서 공정히 규명해 보려는 데 있다. 주지하다시피 오늘날 사람들은 종종 인간중심주의를 지구적 환경ㆍ생태 위기의 이데올로기적 진원으로 지목하여 공격한다. 그러나 이러한 경향은 인간중심주의를 편향적으로 정형화하는 하나의 상투적 개념틀에 기생해 자라 온 측면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틀 속에 넣어져 주조된 인간중심주의는 인간이 여타의 자연적 존재보다 우월하다는 맹목적 믿음에 기초해 인간의 자연에 대한 지배와 착취를 정당화하는 거만스런 세계관으로 정의되기 일쑤다. 그러나 필자는 무조건 새롭고 광범한 외양의 `생명중심주의` 내지 `생태중심주의`로 인간중심주의를 대체하는 형이상학적 모험보다 구래의 폭군적 인간쇼비니즘을 보다 건전하고 설득력 있는 인간중심주의로 변모시켜 나가는 도덕적 자기계몽이 더 올바른 길일 수 있다는 생각에서 이 글을 기획하게 되었다. 이 생각을 동물윤리에 적용하여 구체화하기 위해 필자는 본문에서 `인간중심주의적 동물윤리`의 가능성을 타진해 보고자 하는데, 이 작업은 호모 사피엔스 종에의 소속여부를 동물의 도덕적 지위에 관한 판단의 절대적 기준으로 삼지 않는 `개방적 인간중심주의`를 옹호하는 방향으로 전개될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논변의 윤곽은 필자가 극복하자고 제안할 `폐쇄적 인간중심주의`와 수용하자고 제안할 `개방적 인간중심주의`의 구별을 통해서 드러날 것이다. 폐쇄적 인간중심주의는 도덕공동체의 성원권을 인간 종에 속하는 개체들에게만 배타적으로 부여한다. 그러나 개방적 인간중심주의는 인간의 속성과 유사한 동물의 속성에 감응할 것을 요구하는 식으로 도덕공동체의 외연을 확장해 나가는 윤리적 입장이다. 따라서 그것은 그러한 감응의 원천을 이성능력이나 감각능력처럼 동물이 인간과 다소간 공유하는 본성적 특징들에서 찾자고 제안한다. 필자는 이러한 개방적 인간중심주의가 일부 철학자들의 무차별적 종평등주의 주장보다 더 진지하고 책임 있는 윤리적 입장이라고 주장할 것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3248 9 보건의료 진단서의 증명력 : 상해진단서를 중심으로 / 이동진 2017  332
3247 5 과학 기술 사회 4차 산업혁명과 유전자 알고리즘 / 유성민 2016  332
3246 9 보건의료 생후 90일 이하의 영아에서 호흡기 바이러스 검출과 관련된 위험인자 / 임연주 외 2014  332
3245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환자 가족을 위한 지지적 교육프로그램의 효과/이태연, 권윤희 2014  332
3244 17 신경과학 긍정심리 집단상담이 마이스터고등학교 학생의 정서안정 및 자기결정성에 미치는 효과 2018  331
3243 18 인체실험 임상시험심사위원회와 기관생명윤리심의위원회의 개선방향에 관한 고찰 / 백수진, 권복규 2007  331
3242 17 신경과학 재난대응공무원의 정신건강관리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석혜민 2016  330
3241 18 인체실험 적응적 임상시험에 대한 고찰과 한국에서의 적응적 임상시험 적용과 발전을 위한 제안 / 양송이 2016  330
3240 15 유전학 국제 사회에서 유전체 의료의 지적재산권 연구 / 김한나 2015  330
3239 15 유전학 CRISPR/Cas 지놈 편집 기술을 이용한 빠른 세대전환 유전자 조작 생쥐 생성 / 이희우, 성정준, 김혜민, 이재삼 2014  330
3238 2 생명윤리 한국의 생명윤리학 현황과 나아가야 할 방향 / 최경석 2014  330
3237 20 죽음과 죽어감 '부모-자녀 동반자살'을 통해 살펴 본 동아시아 지역의 가족 관념 : 한국, 중국, 일본 사회에 대한 비교문화적 접근 / 이현정 2012  330
3236 20 죽음과 죽어감 한국 호스피스 완화의료의 역사 / 김창곤 2019  329
3235 9 보건의료 병원 공간과 이해관계자들의 상호작용에 따른 의료서비스의 특성 연구 / 허지나, 이수진 2014  329
3234 10 성/젠더 탈북여성의 북한, 중국, 한국에서의 결혼생활을 통해본 인권침해와 정체성 변화과정 / 이화진 2010  329
3233 18 인체실험 과학기술 연구기록 신뢰성보장을 위한 기록관리 방안 : - 우수연구실운영규정(GLP)을 중심으로 - / 염경은 2007  329
3232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간이식 수술에서 이식간 재관류 후 급성 저체온기 동안의 심실부정맥의 심전도상 징후 변화 / 박수경 2015  329
3231 4 보건의료 철학 국내 의료계에서 시행 중인 금전적 인센티브 제도의 윤리적 쟁점들/정유석, 박석건 2015  329
3230 20 죽음과 죽어감 의사의 치료중단과 환자의 자기결정권 / 김혁돈 2006  329
3229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사고 재발 방지를 위한 의료소송 판결문의 원인분석 방법의 활용 / 이원, 김소윤, 이미진 2014  3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