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6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의료법학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4241525 
보건의료 빅데이터의 연구목적 사용에 대한 법제 개선방안

  • 저자[authors] 박대웅,정현학,정명진,류화신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의료법학

  • 권호사항[Volume/Issue] Vol.17No.2[2016]

  • 발행처[publisher] 대한의료법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315-346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6

  • 주제어[descriptor] 보건의료, 빅데이터, 의료정보, 비식별화, 옵트아웃, 개인정보보호법, healthcare, bigdata, medical record, de-identification, opt-out,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초록[abstracts] 
[빅데이터 처리기술의 발전과 함께 보건의료 빅데이터의 잠재적 가치도 크게 주목받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잠재적 가치를 현실화하기 위해서는 보건의료 빅데이터를 이용한 다양한 연구가 필수적이다. 하지만 개인정보보호법을 중심으로 한 빅데이터 규제체계는 경제재로서의 빅데이터의 측면을 고려하지 못하고 있어, 이를 연구목적으로 활용하는데 많은 장애를 발생시키고 있다. 환자의 치료라는 1차적 목적을 중심으로 한 보건의료정보의 규제체계를 기술의 발전에 부합하며 공익적 활용이 용이한 형태로 개선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서 개인정보의 보호와 활용의 균형에 대한 고민이 반영된 해외의 법제 동향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해외 법제의 시사점을 바탕으로 우리 법제에서 다음과 같은 방향의 개선점을 도출할 수 있다. 우선 보건의료정보에 특화되고 보호와 활용을 아우르는 법제가 필요하다. 개인정보의 비식별화도 개인정보보호법의 적용이 배제되는 수준을 명확하게 규정해야 한다. 보건의료 빅데이터를 연계할 수 있는 법적 기반의 구축을 통해 관련 연구에 시너지 효과를 창출해야 한다. 외국에서의 논의에 대한 검토와 사회적 합의를 바탕으로 옵트아웃 제도의 도입도 고려해야 한다. 하지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이러한 시스템에 대한 국민의 신뢰일 것이다.

With the development of big data processing technology, the potential value of healthcare big data has attracted much attention. In order to realize these potential values, various research using the healthcare big data are essential. However, the big data regulatory system centered on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does not take into account the aspect of big data as an economic material and causes many obstacles to utilize it as a research purpose. The regulatory system of healthcare information, centered on the primary purpose of patient treatment, should be improved in a way that is compatible wit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easy to use for public interest.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trends of overseas legal system reflecting the concerns about the balance of protection and utiliz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Based on the implications of the overseas legal system, we can derive improvement points in the following directions from our legal system. First, a legal system that specializes in healthcare information and encompasses protection and utilization is needed. De-identification, which is an exception to the Privacy Act, should also clearly define its level.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legal basis for linking healthcare big data to create synergy effects in research. It is also necessary to examine the introduction of the opt-out system on the basis of the discussion on the foreign debate and social consensus. But most importantly, it is the people's trust in these systems.  ]

목차[Table of content] 
I. 서론   II. 보건의료 빅데이터와 연구목적 사용    1. 보건의료 빅데이터의 개념    2. 보건의료 빅데이터의 종류    3. 보건의료 빅데이터의 특성    4. 연구목적 사용의 의미   III. 보건의료 빅데이터의 연구목적 사용에 대한 국내 규제 체계    1. 보건의료정보 이용의 원칙적인 모습    2. 보건의료정보의 연구목적 사용을 위한 예외 규정    3. 국내 규제체계의 한계   IV. 보건의료 빅데이터의 연구목적 사용에 대한 해외 규제 동향    1. 해외 규제 개요    2. 연구목적 사용에 대한 근거 법제    3. 비식별화 방식에 대한 규제    4. 연구목적 사용을 위한 연계 제도    5. 옵트아웃 제도에 대한 논의 동향    6. 해외 사례의 시사점   V. 보건의료 빅데이터의 연구목적 사용을 위한 국내 규제 개선 방향    1. 연구목적 사용 규정의 필요성    2. 비식별화 방식의 구체화    3. 보건의료 빅데이터 연계 방안 마련    4. 옵트아웃으로의 전환   VI. 결론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3268 9 보건의료 환자안전법 개요와 쟁점 / 김수경 2018  125
3267 9 보건의료 정밀의료의 출현에 대한 규제의 시선 - 미국의 ‘정밀의료 발전계획’을 단초로 -/윤혜선 2018  125
3266 4 보건의료 철학 외국인 환자 간호에 대한 간호사의 문화역량 영향요인 / 안정원 외 2019  125
3265 9 보건의료 인체의 치료 및 진단 방법 특허 보호에 대한 연구 / 심미랑 외 2019  125
3264 14 재생산 기술 재생산 기술과 여성의 시민권 / 정인경 2015  126
3263 9 보건의료 이탈리아 정신보건개혁의 정책적 함의 / 이용표 2017  126
3262 5 과학 기술 사회 3 차원 세포프린팅을 위한 탈세포화 된 간 조직 유래 바이오잉크의 개발 / 한원일 외 2017  126
3261 12 낙태 법여성주의를 통해 본 낙태죄의 비판적 고찰 : 여성의 낙태권과 태아의 생명권을 중심으로 / 오승이 2007  126
3260 8 환자 의사 관계 임상시험심사위원회(IRB)의 리베이트 통제 역할에 관한 소고 / 강한철 2013  126
3259 5 과학 기술 사회 가습기 살균제 연구의 교훈과 의생명과학연구에서의 적용 가능성 /김승훈 2018  126
3258 15 유전학 인간 유전자(DNA)의 법적지위와 개발기술의 합리적 보호방안/유지홍 2018  126
3257 15 유전학 구강조직유래 유도만능줄기세포-생체재료 복합체의 재생의료 동향 / 전수경 외 2017  126
3256 19 장기 조직 이식 국내에서 시행한 뇌사자 신장이식과 비교한 중국 원정 신장이식의 문제점 / 주만기 외 2006  126
3255 4 보건의료 철학 직장 내 괴롭힘에 대한 간호단위 관리자의 대응 양상 : Q 방법론 적용 / 최진규 2019  126
3254 20 죽음과 죽어감 벨기에 법에서의 질병과 삶의 종말 / 이브앙리르뢰 2015  127
3253 5 과학 기술 사회 과학교사의 나노기술에 대한 인식과 태도 / 김현정, 홍훈기 2010  127
3252 5 과학 기술 사회 법패러다임 변화의 관점에서 인공지능과 법담론 : 법에서 탈근대성의 수용과 발전/정채연 2016  127
3251 13 인구 인구감소시대에서의 빈집 문제에 대한 국가-지방자치단체의 정책 대응/심재승 2017  127
3250 15 유전학 CRISPR/Cas9 기반 유전자 교정 시스템과 전달 방법 / 송민정 외 2017  127
3249 18 인체실험 한국 다문화 정책의 입법현황 / 민태은 2017  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