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8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석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간호과학과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718422 
심장이식 청소년의 건강 관련 의사결정패턴 

= Health related decision making patterns of heart transplantation adolescent

  • 저자[authors] 허정미

  • 발행사항 서울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8

  • 형태사항[Description] vi, 147 p. ; 26 cm

  • 일반주기명[Note] 지도교수: 차지영

  • 학위논문사항[Dissertation] 학위논문(석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간호과학과  2018.2

  • DDC[DDC] 600

  • 발행국(발행지)[Country] 서울

  • 출판년[Publication Year] 2018

  • 소장기관[Holding] 이화여자대학교 도서관 (211048)

  • UCI식별코드 I804:11048-000000148598


초록[abstra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the health related decision making patterns among adolescents who had heart transplantation. Multiple care study design was utilized. Participants were seven adolescents aged between 13 and 18 years who spent at least six months after heart transplantation. One-to-one interviews and survey were conducted between January and June, 2017 at a general hospital located in Seoul. Data analysis which included content analysis method for interview data and descriptive statistics for survey data followed the process suggested by Yin.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Common themes identified between the cases were ‘mother as a leader of health management and father as a supporter,’ ‘mother as a gatekeeper of the school which is the only society,’ ‘one-way interaction with the hospital.’ On the other way, differences of health related decision making were noted as ‘various strategies for diet’ and ‘importance of immune suppressant deferred by the experience of health crisis.’ Three patterns for health related decision making were identified: dependent, self-led, and transitional. From the findings of this study, the pattern of health related decision making of adolescents who had heart transplantation were revealed. As adolescents who had heart transplantation were hugely depending on their mothers for health management, nursing interventions should be designed to include family as a unit. Most adolescents were not attending school in the fear of getting infected from school. Also, adolescents had various strategies for their diet as they did not know what to do. Collaborative care plan team which include school teachers and nutritionist to develop health management plan is need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could be utilized to develop nursing interventions for adolescents who had heart transplantation.

초록[abstracts] 
본 연구는 심장이식을 받은 청소년을 대상으로 건강관리에 대한 의사결정을 어떻게 하고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시도된 다중사례연구이다. 연구 참여자는 서울시 A 상급종합병원에서 심장이식을 받고 6개월 이상이 경과한 13세 이상 18세 이하의 청소년 7명이었다. 자료 수집 기간은 2017년 1월부터 2017년 6월까지 심층 인터뷰와 설문지를 통하여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Yin (2013)이 제시한 사례연구방법론에 기초로 질적 자료와 양적 자료를 통합하여(Morse & Neihaus, 2009) 사례 분석을 하였다. 사례들로부터 도출된 주제를 비교분석 하여 사례 간 유사점과 차이점을 발견하였다. 사례 간 유사점은 ‘건강관리의 주도자인 어머니와 지지자인 아버지’, ‘유일한 사회이지만 부담스러운 학교’, ‘일방적인 의료지침을 제공의 병원’ 이었다. 사례 간 차이점은‘심장이식 후 식이요법에 대한 다양한 인식’, ‘위기 상황에 대한 경험의 유무에 따라 면역억제제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이었다. 심장이식 청소년의 건강 관련 의사결정에 관하여 전체를 설명할 수 있는 사례 별 공통적인 의사결정패턴은 의존형, 자기주도형, 과도기형이다. 의존형은 심장이식 후 어머니에게 전적으로 건강관리를 위임한다. 자기주도형은 심장이식 후 생명에 위협을 느끼는 건강위기를 직,간접적으로 경험한 후 적극적으로 건강관리에 대한 의사결정에 참여한다. 과도기형은 심장이식 후 어머니에게 건강관리에 관한 의사결정을 전적으로 위임하다가 지속적인 교육으로 스스로 건강관리에 대한 의사결정을 추구하는 패턴이다. 본 연구에서는 심장이식 청소년의 건강 관련 의사결정패턴을 통하여 심장이식 후 청소년이 일상생활에서 어떻게 의사소통을 하고 의사결정을 내리고 있는지를 발견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심장이식 청소년의 이식 후 성공적인 자기 관리를 위한 간호 중재 개발을 하는데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연구는 심장이식 청소년의 삶을 심층적으로 파악하였고 건강 관련 의사결정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파악하여 일련의 의사결정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기술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688 15 유전학 미생물 유전체 염기서열 분석과 약제내성 기작 연구를 위한 유전정보의 활용 / 차선호 2010  540
687 15 유전학 CRISPR/Cas9 기반 후성유전 편집 기술을 이용한 유전자 발현 조절 연구 / 박진석 2017  540
686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요양병원 간호사의 죽음 인식, 영적 안녕과 임종간호 스트레스의 관계 연구 / 양진희 2016  541
685 8 환자 의사 관계 임상적 의사결정과 생명의료윤리에 대한 환자, 가족, 간호사와 의사의 인지도 / 박애란, 소향숙, 채명정 2014  542
684 20 죽음과 죽어감 생물학적 죽음에서 인간적 죽음으로 / 권수현 2015  542
683 20 죽음과 죽어감 생명윤리교육에 있어서 안락사 문제 연구 : 2009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교과서 분석을 중심으로 / 한미정 2012  543
682 17 신경과학 정신건강복지 관련 법제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성중탁 2018  543
681 15 유전학 노로바이러스 전장유전체 분석 및 식중독 바이러스 동시 검출법 개발 / 이정수 2016  544
680 19 장기 조직 이식 신장이식 후 임신이 이식신 및 출산에 미치는 영향 / 김민수 2014  544
679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자살생존자의 자살경험에 관한 연구 : 모과 옹두리에서의 비상 / 박지영 2007  545
678 14 재생산 기술 산전진단에 나타나는 공리주의와 우생사상에 대한 인격주의 생명윤리적 고찰 / 최정임 2015  546
677 20 죽음과 죽어감 형법상 안락사·존엄사에 관한 연구 / 유선경 2001  546
676 5 과학 기술 사회 공학윤리 : 윤리이론의 선택의 문제에서 덕윤리/강기호 2015  546
675 20 죽음과 죽어감 영국의 안락사 : ‘조력자살(Assisted Suicide)’과 관련된 주요 사건과 입법동향을 중심으로 / 이주희, 조한상 2010  546
674 9 보건의료 뇌졸중 환자의 작업치료 보험수가 분석 / 김현진, 김세연 2015  546
673 17 신경과학 학생상담자원봉사자의 활동 지속성 관련 요인 분석 / 조복순 2018  547
672 18 인체실험 임상시험에서 취약한 피험자의 권리 / 김민우 2013  547
671 18 인체실험 재생의학 기술 개발을 위한 세포접착 제어를 통한 중간엽 줄기세포의 기능 조절 연구 / 강정미 2016  547
670 10 성/젠더 성인지적 관점에서 본 모성보호의 사회법적 한계 / 손미정 2014  548
669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 중단을 결정한 말기환자 가족의 경험 / 박연옥 2003  5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