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의생명과학과 법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156467 
연명의료결정법과 무의식을 고려한 통전(統全)적 죽음이해의 제도화에 대한 고찰 : 정신분석학과 내러티브 법학을 방법론으로 하여

  • 저자[authors] 민윤영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의생명과학과 법

  • 권호사항[Volume/Issue] Vol.18No.-[2017]

  • 발행처[publisher] 원광대학교 법학연구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135-169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7

  • 주제어[descriptor] 웰다잉, 내러티브 법학, 글쓰기, 무의식, 사전연명의료의향서, well-dying, narrative jurisprudence, writing, unconsciousness, decisions on life-sustaining treatment


초록[abstracts] 
[현재 「호스피스ㆍ완화의료 및 임종과정에 있는 환자의 연명의료결정에 관한 법률」(이하 ‘연명의료결정법’)이 시범시행되고 있다. 이 글은 연명의료결정법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제도와 환자의 의사가 확인되지 않을 때 환자 가족의 합의에 의하여 연명의료 중단을 하도록 하는 제도를 비판적으로 분석하여 연명의료결정법이 더욱 존엄한 죽음들로 귀결될 수 있도록 기여하고자 하였다. 이 글은 현행 연명의료결정법이 기반하고 있는 죽음관이 의식중심적이고 분절적인 것이라고 비판하면서, 정신분석학의 통찰들을 수용하여 무의식을 고려한 통전적 죽음관으로 거듭나야 한다고 주장한다. 또한 무의식을 고려한 통전적 죽음관의 제도화를 고민하면서 내러티브 법학의 정신을 수용하여 연명의료 결정에 참여하는 사람들이 자신의 결정의 근거 등을 서술할 수 있는 공간을 법정 서식에 마련할 것을 주장하였다. 이 글은 위와 같은 현실적인 법적 개선 방안을 제안하면서, 그런 변화의 기초에 어떤 철학적이고 심리학적인 이론적 토대가 있는 것인지를 학제적 관점에서 논의하고 있다.
This article aims at updating the philosophy of death behind the Act on life-sustaining treatment through psychoanalytic insights and narrative jurisprudence. It analyzed that the Act is based on consciousness-centered perspective on death, which denies the profound relationship between life and death, and urges it to listen to psychoanalytic findings about ourselves and death itself. This article also embraces the spirit of narrative jurisprudence movement, and claims the law should give more space for its participants to narrate the reasons of their decisions. Through such changes, it anticipates more dignified deaths will be achieved.]

목차[Table of content] <국문초록>   
Ⅰ. 연명의료결정법의 의식중심적이고 분절적인 죽음관   Ⅱ. 정신분석학과 내러티브 법학   Ⅲ. 죽음에 관한 자기결정의 실질화와 사전연명의료의향서   Ⅳ. 가족에 의한 연명의료중단 결정의 합리화   Ⅴ. 나가며   참고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3248 20 죽음과 죽어감 네팔의 자살과 자살 예방 정책에 관한 연구 /Bimala Sharma 2018  127
3247 1 윤리학 취약한 존재를 위한 정의론 / 김은희 2018  127
3246 1 윤리학 칸트의 도덕 감정 인식과 교육 / 박장호 2019  127
3245 18 인체실험 미국과 영국의 줄기세포은행 시스템 비교 / 윤보애 외 2013  128
3244 5 과학 기술 사회 AI Net : 국내 인공지능 분야 연구환경 조성을 위한 네트워크 / 박남석, 이양옥, 전길남 1985  128
3243 18 인체실험 모바일 기술을 이용한 임상시험 대상자 관리 연구 개발 동향 보고서 / 박선경 2017  128
3242 20 죽음과 죽어감 현행법상 존엄사의 허용요건과 과제 / 주호노 2018  128
3241 10 성/젠더 한국 직장기혼여성의 출산의도 영향요인 연구 : 노동 및 젠더 요인을 중심으로 / 박소영 2019  128
3240 9 보건의료 환자 맞춤형 의약품 투약량 적정성 제공 시스템 / 김정훈 2019  128
3239 9 보건의료 건강정보이해능력과 개인의 특성이 스마트 헬스케어 이용 경험에 미치는 요인 분석 / 김가은, 박현준 2019  128
3238 9 보건의료 영리법인병원 허용문제에 대한 조사연구 / 성정민 2008  129
3237 18 인체실험 웨스턴 연구윤리심의위원회의 특성 / 신희영 2007  129
3236 1 윤리학 피터 싱어 윤리 체계의 일관성 2012  129
3235 4 보건의료 철학 임상간호사와 간호학생의 윤리적 가치관의 인식에 관한 비교 연구 / 김연숙 2000  129
3234 13 인구 인권의 관점에서 본 인구정책 / 전광희 2018  129
3233 20 죽음과 죽어감 비교법적 해석을 통한 자기결정권의 재고 : 존엄사를 중심으로 / 김태일 2012  129
3232 9 보건의료 정치경제학으로 한국의 건강과 보건의료 들여다보기 / 우석균 외 2017  129
3231 20 죽음과 죽어감 죽음에 대한 명상과 수면 수행 / 이강옥 2014  129
3230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등 정보기술을 통한 법의 기술적 구현 과정의 혁신 / 박상철 2018  129
3229 15 유전학 유전성대사질환의 유전자치료 전략 및 현황 / 정성철 2011  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