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3543169 
노인 자살관념 생성과 극복에 관한 사례연구 

= The Case Study on Generation and Overcoming of the Elderly Suicidal Ideation

  • 저자[authors] 강준혁(Kang, Jun Hyeok),김진숙(Kim, Jin Sook),김미정(Kim, Mi Jeong)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

  • 권호사항[Volume/Issue] Vol.11No.2[2017]

  • 발행처[publisher]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31-62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7

  • 주제어[descriptor] 노인,자살관념,극복경험,사례연구,Elderly,Suicidal Ideation,Overcome Experience,Case Study


초록[abstracts]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들이 자살관념을 어떻게 극복했는지를 확인하는 데 있다. 세평적 사례선택(reputational case selection)을 통해 최종 6명의 사례자를 선정했으며, 1:1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했다. 수집된 자료는 Creswell(2013)이 제안한 사례연구 방법을 활용해 분석했다. 첫째, 연구절차에 따라 ‘사례 내 분석’을 시도했다. 이를 통해 개별 사례자들이 가지고 있는 자살관념 극복 경험의 맥락을 드러냈다. 둘째, 사례 간 분석을 통해 총 11개의 사례 간 통합주제를 추출했다.    분석 결과 병고, 허망감, 고독감, 상실감, 갈등과 좌절은 자살관념 생성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었으며, 남겨질 가족에 대한 걱정, 못다 이룬 노년의 꿈, 아름다운 마감에 대한 소망은 자살관념 극복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그리고 사례자들은 질적 만남, 고통을 잊기 위한 여가활동, 삶의 의미 재발견을 통해 생성된 자살관념을 극복하고 있었다.    연구자들은 이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질적 관계 평가, 웰다잉(well dying) 교육, 상실감 확인, 삶의 목표 발견을 위한 안내, 정신건강관리 사업 홍보에 대한 필요성을 제안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ways how the elderly overcome suicidal ideation. A total of six cases were chosen through a reputational case selection a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1:1 in-depth interview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case study method proposed by Creswell (2013). First, within-case analyses were carried out according to the research procedure. This process revealed the contexts of the experiences of overcoming the suicidal ideation that individual cases had developed. Second, a total of 11 integrated cross-case topics were extracted from cross-case analyses.    As a result of the analyses, illness, senses of futility, loneliness, feelings of loss, conflict and frustration turned out to be the factors leading to the formation of suicidal ideation; while worries about their family to be left behind, unfulfilled dreams and wishes for a beautiful end of life were the factors contributing to overcoming suicidal ideation. The cases reported that they had overcome suicidal ideation through qualita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leisure activities to forget sufferings, and the rediscovery of the meaning of life.    Based on these findings, the researchers suggested the need for qualitative relationship assessment, well-dying education, the evaluation of feelings of loss, guidance for finding life goals, and the promotion of mental health care projects.  ]

목차[Table of content] 요약  
1. 서론  2. 이론 검토  3. 연구방법  4. 분석결과  5.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2248 15 유전학 인체 유래 물질의 재산권성에 관한 의료법학적 연구 / 이웅희 2009  201
2247 1 윤리학 한국 생명공학감시운동에 대한 연구 / 김병수 2011  201
2246 10 성/젠더 동성애에 대한 생리의학적 연구동향 분석과 기독교 교육적 고찰 / 임준섭 2019  200
2245 1 윤리학 인공 지능 시대의 정보 윤리학: 플로리디의 ‘새로운’ 윤리학 / 목광수 2017  200
2244 20 죽음과 죽어감 의료기관윤리위원회 활성화 방안: 임상윤리자문팀 / 허대석 2017  200
2243 9 보건의료 신약 접근성 개선 정책이 등재율 및 등재소요시간에 미치는 영향/김은숙 2017  200
2242 9 보건의료 의료관련 일본어 용어에 관한 연구 : 부산지역을 중심으로 / 김정수 2016  200
2241 20 죽음과 죽어감 사전의료의향서 작성 활성화 방안 연구 / 주지은 2016  200
2240 14 재생산 기술 인간복제에 관한 국내외의 입법의 규제동향 / 윤명석 2010  200
2239 18 인체실험 과학기술 연구윤리 고찰 / 김현진 2008  200
2238 1 윤리학 과학기술시대에서 새로운 윤리학 근거짓기 / 이재성 2011  200
2237 20 죽음과 죽어감 지역사회 노인의 건강 상태와 사전의료지시에 관한 연구 / 편혜준 2012  200
2236 9 보건의료 트랜스젠더 트랜지션 의료의 건강보험 보장에 대한 소고 / 박한희 2018  199
2235 13 인구 초기 미국 영화로 보는 우생학과 산아제한운동 / 김효정 2018  199
2234 4 보건의료 철학 임상간호사의 윤리적 이슈 경험과 윤리교육 요구 / 신자현 2013  199
2233 14 재생산 기술 의학치료목적의 생명복제기술에 대한 특허법적 보호문제 / 윤석찬 2002  199
2232 9 보건의료 고령화 사회를 대비한 보건의료정책 평가 / 백은혜 2017  199
2231 5 과학 기술 사회 4차 산업혁명시대의 지적교육 방향 / 김영학 2016  199
2230 12 낙태 낙태 관련 의사결정의 합리화 : 각국의 낙태 상담절차와 규정 / 이은영 2010  199
2229 9 보건의료 바이오시밀러 개발에 필요한 통계방법들에 대한 고찰 / 강승호 2012  1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