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4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형사법의 신동향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0485609 
독일에서의 유전자정보 활용에 관한 입법 동향 및 최근의 논의 · 그 시사점 : 유전자정보 활용 대상범위의 측면에서 

= Aktuelle Diskussionen und Gesetzgebungsverfahren hinsichtlich der Anwendung von DNA-Informationen in Deutschland - Im Blickwinkel des Anwendungsbereichs von DNA-Informationen

  • 저자[authors] 이정념(Lee, Jung-nyum)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형사법의 신동향

  • 권호사항[Volume/Issue] Vol.42No.-[2014]

  • 발행처[publisher] 대검찰청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348-378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4

  • KDC[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364

  • 주제어[descriptor] 유전자정보,유전자감식,집단유전자분석,연방정부협의체,인체유래물,개인식별,DNA-Information,DNA-Reihenuntersuchung,Spurenmaterial,Koalition,Genetischer Fingerabdruck,Personenidentifizierung


초록[abstracts] 
[특별법의 형식으로 유전자정보의 활용에 관한 법적 근거를 마련하고 있는 우리나라와 달리, 독일에서는 여러 차례에 걸친 관련 규정의 제정 및 개정과정을 통해 형사소송법 상 유전자정보의 활용에 관한 규정을 담고 있다. 독일에서 유전자정보 활용을 위해 마련된 가장 최근의 법률인 이 논의될 당시, 동법은 유전자감식과 관련된 새로운 법적 근거를 마련하는 데 있어 오로지 첫 번째 걸음일 뿐이라고 평가되었다. 이러한 입법 동향 속에서, 2012년 12월 20일 독일연방대법원에서는 유전자정보의 활용 목적을 넘어선 수사기관의 행위를 불법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아울러 2013년 7월 2일 독일 연방헌법재판소에서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인체유래물질의 채취 및 저장과 관련한 판단기준을 설시한 결정을 내렸다. 한편, 2013년 11월 19일 언론 보도를 통해, 독일 기독교민주연합(CDU), 기독교사회연합(CSU), 사회민주당(SPD)이 중심이 된 연방정부협의체(Koalition)가 독일에서의 집단 유전자분석이 가능한 범위를 확장하기로 합의하였음이 알려졌다. 우리나라의 이 유전자정보 활용에 관한 법적 근거임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논란이 되고 있는 상황에서, 독일에서 일고 있는 최근의 논의들은 특히 유전자정보 활용 대상범위를 제고하는 데 있어 주지할 만하다.

In Deutschland gab es mehrere Neufassungen und Änderungen der Vorschriften bezüglich der Gewinnung und Verwendung von DNA-Informationen im Strafprozess: Der Einsatz des genetischen Fingerabdrucks in der dStPO vom 17.03.1997, die Einführung des DNA-Identitätsfeststellungsgesetzes vom 07.09.1998, die Erste Änderung des DNA-Identitätsfeststellungsgesetzes vom 02.06.1999, die Änderung der Fahndungsregelung vom 02. August 2000, die Änderung der Strafprozessordnung vom 06.08.2002, die Änderung der Vorschriften über die Straftaten gegen die sexuelle Selbstbestimmung und anderer Vorschriften vom 27.12.2003 und die Novellierung der forensischen DNA-Analyse vom 12.08.2005. Die Rechtsgrundlagen für die Gewinnung und Verwendung von DNA-Information wurden wegen der „Ängste und Befürchtungen der Bevölkerung vor den Gefahren der Gentechnik“ in der deutschen Strafprozessordnung geregelt. Nach Einführung der Vorschriften ging der politische Wille dahin, die bestehenden Regelungen stärker auszuweiten. Nicht abschließend geklärt ist, ob die Vorschriften zur Durchführung des genetischen Fingerabdrucks und der Gewinnung und Verwendung von DNA-Information präventiven Rechtsschutzcharakter haben.]

목차[Table of content] 
Ⅰ. 들어가는 글  Ⅱ. 독일에서의 유전자정보 활용에 관한 입법 동향  1. 그간의 입법 경과  2. 유전자정보 활용에 관한 입법 현황  3. 유전자정보 활용 현황  Ⅲ. 독일에서의 유전자정보 활용에 관한 최근의 논의  Ⅳ. 우리나라의 경우  1. 유전자정보법의 입법 경과  2. 여전히 논의되어야 할 문제들: 유전자정보 활용 대상범위에 대하여  Ⅴ. 맺음말 : 독일에서의 최근 논의가 주는 시사점  ※ 참고문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4448 8 환자 의사 관계 정부 지원 환자안전 연구의 타당성 검토 / 이 원 외 2018  54
4447 15 유전학 유전체(Genomics) 연구의 윤리 / 강병수 2007  55
4446 9 보건의료 원격의료의 활성화를 위한 보험제도의 개선과제 / 김범준 2016  55
4445 9 보건의료 의료광고에 근거한 의료기관 선택에 관한 연구 / 신혜원 2011  55
4444 9 보건의료 의료기관 종별에 따른 의료광고 수행특성 / 이동우 2015  55
4443 5 과학 기술 사회 정맥을 이용한 생체인증 방식의 동향 / 유동현 2015  55
4442 20 죽음과 죽어감 생사학적 관점에서 본 “좋은 죽음” / 김명숙 2015  55
4441 9 보건의료 의료기술평가를 이용한 근거중심 의사결정제도 / 안정훈 2017  55
4440 9 보건의료 의료정보 표준에 관한 연구 : 표준화 분석 및 전망 / 김창수 2008  55
4439 2 생명윤리 공용기관생명윤리위원회의 과제와 개선방향 / 신미이 2017  55
4438 9 보건의료 일차 의료 기관에서의 체계적 천식 교육 프로그램을 통한 교육 효과 및 임상적 유용성 / 김이형 2015  55
4437 5 과학 기술 사회 개인정보 비식별화가 실증적 연구결과에 미치는 영향 / 박해지 2017  55
4436 9 보건의료 진료비와 책임제한 / 배병일 2017  55
4435 9 보건의료 한·중 자유무역협정(FTA)에서 「中國侵权责任法」상 의료손해 책임에 관한 연구 / 방성환 2017  55
4434 9 보건의료 응급실기반 자살시도자의 사후관리 사업 동의의 결과와 동의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연구 / 김호중 외 2018  55
4433 15 유전학 An Ethical Analysis of the SUPPORT Trial: Addressing Challenges Posed by a Pragmatic Comparative Effectiveness Randomized Controlled Trial / Austin R.,Weijer 2018  55
4432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과오에 있어서 인과관계에 관한 판례의 고찰 /신은주 2012  55
4431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기반 공공서비스와 신공공성 / 최상옥 2018  55
4430 9 보건의료 의료행위 개념의 법제화 시론 / 박정연 2018  55
4429 2 생명윤리 인체 유래물 사용 연구와 생명윤리법 / 김용진 2018  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