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이화젠더법학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033294 

남녀고용평등법상 성차별 구제에 관한 최근 미국 판례의 시사점


= Workplace Gender Discrimination in South Korea and the Implications of a U.S. Supreme Court Decision


  • 저자[authors] : 이명화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 이화젠더법학

  • 권호사항[Volume/Issue] : Vol.9No.3[2017]

  • 발행처[publisher] : 이화여자대학교 젠더법학연구소

  • 자료유형[Document Type] :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 97-129

  • 언어[language] :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 2017

  • 주제어[descriptor] : 남녀고용평등법,평등권,증명책임전환,성차별,실효성,gender discrimination,burden shifting framework,effectiveness,EEOC,equal rights


초록[abstracts]

[본 연구는 「남녀고용평등법」의 성차별 구제 관련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임신한 여성과 관련한 최근 미국 판례를 분석한다. 고용평등에 관한 소송에서 미국 내 법은 일반적인 불법행위소송과 달리 입증책임에 대한 전환 규정을 두고 있다. 즉, 원고는 먼저 성차별과 관련한 주장과 근거를 제시하고, 사업주는 이에 대한 반증을 하게 된다. 원고는 사업주의 주장에 대해, 위법을 은폐하려는 구실에 불과하다는 재반증 절차를 거치게 된다. 이러한 접근방식은 간접차별이 흔한 성차별 사건에서 근로자에게 용이하며, 국내에도 도입이 된다면, 실무에 있어서 피해자 구제에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이 된다. 또한 입증책임전환 규정과 함께 피해 근로자를 대신하는 소송권을 제3의 기관에 위임한다면, 기관을 통한 「남녀고용평등법」의 예방적 기능이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paper deals with South Korea’s Employment Discrimination Legislation and the implications of a recent Supreme Court decision on Korean law. According to the McDonnell Douglass burden shifting framework, an employee may present their initial case to the court, as to which an employer can argue that such discrimination was necessary for business purposes. The employee has an opportunity to argue that the employer’s reason for discrimination is merely pretext and that the employer should be held accountable for gender discrimination. Another characteristic of employment discrimination cases in the U.S. is that when gender discrimination occurs, the Equal Employment Opportunity Commission becomes involved from the initial stage of illegality. If such an institution can be established in South Korea, victims of gender discrimination in the workplace can rely on the institution for assistance in filing a case as well as enduring a trial.]


목차[Table of content]

Ⅰ. 들어가는 말   Ⅱ. 실효성을 갖추기 위한 「남녀고용평등법」 제도의 문제점 분석   Ⅲ. Peggy Young v. UPS (2015년 미국 연방 대법원 판례)   Ⅳ. 미국 판례를 통한 「남녀고용평등법」의 개선 방안   Ⅴ. 맺는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2228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분쟁조정제도 운영상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최장섭 2014  199
2227 20 죽음과 죽어감 지역사회 노인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박남주 2019  198
2226 9 보건의료 트랜스젠더 트랜지션 의료의 건강보험 보장에 대한 소고 / 박한희 2018  198
2225 1 윤리학 인공 지능 시대의 정보 윤리학: 플로리디의 ‘새로운’ 윤리학 / 목광수 2017  198
2224 9 보건의료 의료관광 서비스접점별 품질평가, 만족도 및 행동의도 관계 연구 / 김혜영 2018  198
2223 4 보건의료 철학 국민의 건강수준 제고를 위한 건강형평성 모니터링 및 사업 개발 / 김동진 외 2016  198
2222 18 인체실험 CRA의 직무스트레스와 삶의 질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 / 이선희 2009  198
2221 14 재생산 기술 시험관 아기 시술의 최근 동향 : 성선자극 호르몬을 이용한 과배란 방법과 생식세포 복강내 이식의 국내 최초 시도에 관한 연구 / 이상훈 1991  198
2220 1 윤리학 흄의 의료윤리와 정직의 덕 / 김다솜 2019  197
2219 19 장기 조직 이식 시신기증 영향요인 및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이주주 2011  197
2218 9 보건의료 연극치료의 여성주의적 접근 - 성폭력 피해여성의 외상과 관련하여 - / 김숙현 2018  197
2217 20 죽음과 죽어감 농촌노인의 자살시도경험 / 정명희 2017  197
2216 9 보건의료 의료광고에 대한 의료법 제56조의 태도 / 정문성 2016  197
2215 5 과학 기술 사회 4차 산업혁명시대의 지적교육 방향 / 김영학 2016  197
2214 13 인구 저출산 시대의 인구정책 / 우해봉 2018  196
2213 14 재생산 기술 착상 전 인간 배아의 유전자 편집에 대한 법철학적 고찰 / 장하람 2019  196
2212 9 보건의료 전문의약품 소비자광고가 소비자행동에 미치는 영향 / 양혜경 2011  196
2211 8 환자 의사 관계 미국의 의료과오소송 제도에 관한 고찰 / 이승현 2018  196
» 1 윤리학 남녀고용평등법상 성차별 구제에 관한 최근 미국 판례의 시사점 / 이명화 2017  196
2209 1 윤리학 IoT 환경의 의료 정보보호와 표준 기술 / 우성희 2015  1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