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8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석사)-- 호남신학대학교 대학원 : 신학과 기독교윤리학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679292 

인간존엄에 관한 신학적 논증의 가능성과 한계


  • 저자[authors] : 임종태
  • 발행사항 : 광주 : 호남신학대학교 대학원, 2018
  • 형태사항[Description] : 26 cm
  • 일반주기명[Note] : 지도교수: 김형민
  • 학위논문사항[Dissertation] : 학위논문(석사)-- 호남신학대학교 대학원 : 신학과 기독교윤리학전공 2018.2
  • 발행국(발행지)[Country] : 광주
  • 출판년[Publication Year] : 2018
  • 소장기관[Holding] : 호남신학대학교 도서관 (224015)
  • UCI식별코드 : I804:24015-200000008914


초록[abstracts]

현대는 다원적 가치가 공존하는 탈종교적 사회이다. 그런 만큼 서로 다른 이념과 사상과 행위를 함께 공유하며 인류의 평화로운 공존을 실현하기 위한 보편적 가치를 필요로 한다. 1948년 12월 10일 유엔총회에서 ‘세계인권선언’이 공표된 이후 인권의 가치와 이념은 인간의 보편적 존엄과 가치실현을 위한 윤리적이며 법적인 기초로 인정되고 있다. 
 인권은 인간의 존엄성을 전제한다. 그러나 인간의 대한 이해만큼이나 인간이 존엄한 이유에 대한 논의와 주장은 너무 다양하고 이에 대한 이론적 합의도 쉽지 않다. 사회과학적 토의만이 아니라 신학적이며 윤리적 논의에서도 인권논증에 대한 다양한 신학적 논증이 존재한다. 본 논문은 로마가톨릭교회, 러시아 정교회, 그리고 개혁교회의 신학적 입장을 서로 비교하면서 인권의 논증의 가능성과 한계를 탐구하였다. 
 세 교회는 모두 인간존엄의 신학적 근거를 ‘하나님의 형상’에서 구한다. 하나님은 인간을 자신의 형상대로 존귀하게 지으셨다. 비록 인간이 죄를 짓고 자기파괴와 멸망의 길로 걸어갔지만 하나님은 자기형상대로 지으신 인간을 포기하지 않으시고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새로운 하나님의 형상, 곧 그리스도의 형상대로 지음 받은 새사람을 입게 하였다. 
 다만 문제는 이와 같은 신학적 논증이 오직 그리스도인들에게만 배타적으로 적용되지 않느냐는 질문에 봉착하게 된다. 신학적 논증이 이러한 배타성과 종교적 특수성을 벗어나기 위해서는 ‘개방적’으로 논증되어야 한다. 개방적 논증이란 그리스도 안에서 계시된 하나님의 형상을 다른 문화와 종교의 맥락에서 그 자신의 고유한 방식으로 논증하도록 허락하는 방식으로, 자신의 논증방식을 절대화하거나 완성하지 않으려는 자세이다. 이러한 논증방식이 가능한 신학적 전제는 이웃과 이방인과 원수까지도 사랑해야 할 그리스도인의 소명과 책임에 있다. 이웃, 이방인, 그리고 원수를 사랑할 수 있는 인간의 능력과 소명은 도덕적 공동체가 자신을 보편적으로 개방하도록 지속시킨다. 결국 개방적 논증을 통해서 종교와 문화 간에 열린 대화가 가능하게 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4348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완화의료 다학제 팀 내에서의 간호사의 역할 인식과 수행 정도/ 김정영 2019  918
4347 18 인체실험 배아줄기세포 연구에 대한 불교적 관점 / 윤종갑 2012  914
4346 13 인구 비혼(非婚)을 통해 본 현대 일본의 가족 관계와 젠더 질서 / 지은숙 2016  913
4345 1 윤리학 지식정보 자산인 빅데이터(Big Data)활용에 관한 연구 / 김선영 2016  913
4344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환자의 이식 후 고혈당 발생현황과 혈당조절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인자 예측 / 제민영 2008  912
4343 19 장기 조직 이식 중국에서 신장 이식수술을 받은 환자의 임상 고찰 / 이태환 2007  905
4342 15 유전학 성범죄 사건에서 정액 검사와 유전자 분석에 대한 다양한 결과 / 김진영 외 2016  900
4341 20 죽음과 죽어감 일반인의 심폐소생술 금지에 대한 인식과 태도 조사연구 / 신희숙 2013  900
4340 15 유전학 바이오뱅크에 대한 윤리적 고찰/ 주현영 2012  899
4339 19 장기 조직 이식 뇌사에 대한 기독교 윤리적 고찰 / 김상섭 2001  895
4338 9 보건의료 인신사고로 인한 손해배상과 보험자의 구상권 - 국민건강보험공단의 구상권을 중심으로 -/노태헌 2015  894
4337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간호장교의 의료 윤리적 가치관 / 최귀녀 2004  894
4336 20 죽음과 죽어감 생명의 마지막과 관련된 윤리적 문제: 연명의료결정법을 중심으로 / 박상은 2018  893
4335 20 죽음과 죽어감 병동형 호스피스 대상자를 위한 전인적 호스피스 간호중재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 최성은 2005  892
4334 14 재생산 기술 '불임치료산업'과 한국의 재생산 정치 / 김선혜 2008  892
4333 1 윤리학 인공지능 발달에 따른 윤리학의 필요성 연구 / 이기훈 2018  891
4332 18 인체실험 착상 전 유전진단으로 획득된 비정상 배아를 이용한 유전질환 인간 배아줄기세포 수립 연구 동향 / 설혜원 외 2015  890
4331 2 생명윤리 한국사회의 도덕성과 도덕적 판단에 관한 사회학적 연구 : 낙태, 안락사, 노키즈존과 임산부 배려석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 최미라 2018  886
4330 4 보건의료 철학 간호사의 전문직 자율성과 공감능력이 환자안전문화에 미치는 융복합적 영향 / 이성수, 최혜란 2019  884
4329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말기암 환자를 위한 음악치료 프로토콜 개발 및 효과검증 / 김은정 2016  8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