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土地公法硏究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124530 

인공지능 규제법 서설


= Issues on The Regul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 저자[authors] : 김광수(Kim, Kwang-Soo)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 土地公法硏究
  • 권호사항[Volume/Issue] : Vol.81No.-[2018]
  • 발행처[publisher] : 한국토지공법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 279-310
  • 언어[language] :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 2018
  • KDC[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 360
  • 주제어[descriptor] : 인공지능(AI),알고리즘(Algorithm),행정규제(administrative Regulation),빅데이터(Big data),자율주행차(Automation Car),제4차 산업혁명(The 4th Industrial revolution),기본소득(Basic Income)


초록[abstracts]

[인공지능은 불과 몇 년 사이에 우리 사회의 각 부분에 지대한 영향을 끼치는 변수로 등장하였다. 인공지능에 관련된 기사와 쟁점은 거의 날마다 활자화되어 인터넷에 게재되고 있으며 미래의 변화를 인공지능의 발전과 결부하여 설명하는 일이 일상화되었다. 인공지능에 대한 논의는 사회의 다양한 부문과 연결된다. 이 글은 넓게는 ‘인공지능과 행정법제’라고 할 수도 있고 좁게는 ‘인공지능과 규제법제’라고 이름붙일 수 있다. 이 연구는 인공지능 자체보다는 인공지능이 배태되고 발전하고 있는 사회 기술 환경 속에서 규제법이 어떻게 발전할 것인가를 다루고자 한다. 이 글을 통하여 제기하고자 하는 물음은 다음과 같다. 첫째로, 인공지능 논의는 역사의 새로운 단계를 의미하는가? 둘째로, 인공지능의 발전은 법이론과 실무의 변화를 가져 오는가? 셋째로, 인공지능 발전이 규제법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넷째로, 장기적 관점에서 인류의 미래를 인공지능이 어떻게 변화시킬 것으로 예측되며, 그에 대한 규제법적 대응은 무엇인가? 위의 질문들에 대하여 현시점에서 만족스런 답을 낼 수 없을지 모른다. 그러나 이 글을 통하여 위의 질문들을 진지하게 함께 고민할 시점이 되었음을 설득하려고 하며, 위 질문들에 대하여 대답을 준비할 시기가 되었음을 이야기 하려고 한다. 그리고 이 글을 통하여 위 문제들을 풀어봄으로써 이런 논의를 앞으로 계속하자고 하는 제안의 의미를 가진다. 이하 이 글에서는 서론에 이어 인공지능 시대의 도래와 규제 환경의 변화(Ⅱ), 인공지능 규제의제측면(Ⅲ), 인공지능의 규제법적 함의(Ⅳ), 인공지능 규제가 행정법 이론에 미치는 영향 (Ⅴ), 장기적 과제로 본 인공지능 규제(Ⅵ), 그리고 결론의 순으로 기술하였다. 인공지능을 활용한 새로운 정보기술이 교통, 의료, 법률 서비스, 증시분석 등 우리 사회의 곳곳에서 작동할 날이 멀지 않음을 감지한다. 인공지능 시대의 법과 규제는 과거에 볼 수 없었던 새로운 단계의 원리와 규제방식을 요구한다. 인공지능이 발달한다고 하여도 그 작동을 가능하게 만드는 알고리즘은 과학자와 전문가들에 의하여 만들어지므로 공무원의 역할이 없어지지는 않는다. 다만 그 활동방식과 규제의 장면이 다르게 나타날 뿐이다. 인공지능에 기반한 규제와 그 구체적인 형태는 앞으로 꾸준한 논의와 과정을 거쳐서 구체화 된다. 다만 그런 시대가 머지않아 오리라는 데 의견이 상당히 일치하고 있는 정도이다. 인공지능을 활용하는 규제가 보편화되면 종래의 직관적이고 정치적인 판단이 앞섰던 규제가 초래한 비능률과 시행착오를 상당히 축소할 가능성이 있다. 한편으로는 발달된 기술이 잘못 적용되는 경우 그로 인한 피해는 엄청날 뿐 아니라 이를 쉽사리 교정하기 어려운 단점도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새로운 기술에 대한 작동방식을 면밀히 검토하여 순전히 인간의 복리와 평화에 사용될 수 있는 기술을 만들기 위한 여건을 조성하여야 한다. 인공지능 시대의 규제는 합리적인 계산과 예측을 통해서 발전할 수 있다. 한편, 인공지능의 발전은 규제의 합리화와 효율성 제고에 크게 기여한다. 전자정부법에서는 정보기술 아키텍처의 개념을 도입하여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활용한 규제의 가능성을 열어놓고 있다. 다른 기술과 마찬가지로 인공지능 기술 또한 사람들에게 기회와 위기라는 이중적인 모습으로 다가오고 있다. 미국과 일본 등 선진국에서는 이에 대한 논의가 활발한데 우리는 비교적 늦게 출발하고 있다. 이 글이 이 주제에 관한 논의에 다소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목차[Table of content]

Ⅰ. 서 론 Ⅱ. 인공지능 시대의 도래와 법학 Ⅲ. 인공지능 규제의 제측면 Ⅳ. 인공지능의 규제법적 함의 Ⅴ. 인공지능 규제가 행정법 이론에 미치는 영향 Ⅵ. 장기적 과제로 본 인공지능 규제 Ⅶ. 결 어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1308 9 보건의료 건강보험 비급여 의료행위에 대한 의료기관별 가격과 제공량의 관련요인 분석 / 박정훈 2017  120
1307 15 유전학 유도만능줄기세포 연구의 현황과 전망 / 이영희 2008  120
1306 20 죽음과 죽어감 한국의 심폐소생술 금지(Do-Not-Resuscitate, DNR) 결정에 대한 통합적 고찰 / 김상희, 이원희 2011  120
1305 5 과학 기술 사회 로봇기반교육의 물리적 환경이 교사의 로봇활용 능력 및 활용 정도에 미치는 영향 / 이연승 2014  120
1304 9 보건의료 의료용 케어로봇과 환자 간의 서사와 공감 관계의 가능성 / 송선영 2017  120
1303 5 과학 기술 사회 나노기술의 경제적 가치분석 : 이차전지 산업을 중심으로 / 배성훈 2015  120
1302 9 보건의료 의약품 정의와 재분류에 대한 법적 연구 / 2012  120
1301 20 죽음과 죽어감 세션 3-3 호스피스,완화의료 제도화를 위한 선결과제 - 정부와 보험자의 역할 : 일본의 호스피스,완화의료 현황 및 과제/치주루가부모토 2014  120
1300 15 유전학 Council of Europe adopts protocol on genetic testing for health purposes 2009  120
1299 17 신경과학 온라인 자살예방 정보와 댓글 분석: 자살예방 정보의 순기능과 역기능 / 2019  119
1298 22 동물복지 동물의 권리와 돌봄의 문화 / 최성희, 김용규 2019  119
1297 12 낙태 “낙태의 윤리에서 의무 윤리의 한계와 덕 윤리의 시사점” 에 대한 토론 / 김성한 2018  119
1296 10 성/젠더 양성평등문화 확산을 위한 방송 프로그램 제작 가이드라인 개발 / 안상수 외 2016  119
1295 1 윤리학 한국의 개인정보 보호법이 중국의 입법에 주는 시사점 / 나혜란 2018  119
1294 4 보건의료 철학 의학을 전공하는 학생의 의료행위의 법적 문제 / 배현아 2017  119
1293 12 낙태 인공임신중절예방을 위한 한국마더세이프전문상담센터 운영에 따른 비용-편익 / 한정열 외 2015  119
1292 7 의료사회학 임종돌봄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 2개 대학병원의 인턴을 대상으로 예비 분석 / 김도연 외 2017  119
1291 1 윤리학 팀장의 윤리적 리더십이 팀원들의 역할 내 행동과 긍정심리자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김문주 2017  119
1290 18 인체실험 웹 기반 임상시험의 윤리적 고찰: 재택기반 의약품 임상시험 사례를 중심으로 / 김영옥 2017  119
1289 19 장기 조직 이식 조혈모세포이식을 위한 최적의 제대혈 선택 지침 / 유건희 2014  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