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6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경기개발연구원 기본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3026336 

인공지능기술 융합 및 협력패턴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Convergence and Cooperation Patterns of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 저자[authors] : 배영임,신혜리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 경기개발연구원 기본연구
  • 권호사항[Volume/Issue] : Vol.-No.-[2016]
  • 발행처[publisher] : 경기연구원
  • 자료유형[Document Type] :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 1-115
  • 언어[language] :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 2016
  • 주제어[descriptor] : 인공지능,특허분석,제4차 산업혁명,artificial intelligence,patent analysis,4th industrial revolution


초록[abstracts]

[전 세계적으로 도래하고 있는 제4차 산업혁명과 현재 저성장 시대에 직면해 있는 우리나라는 새로운 성장동력 발굴을 위한 계획 수립이 절실한 상황이다. 정부는 성장동력을 확보하고 삶의 질을 개선하기 위하여 2016년 8월 ‘9대 국가전략프로젝트’를 선정하였으며, 특히 전 세계적으로 이슈가 되고 있는 인공지능에 대하여 ‘지능정보사회 선도 AI 프로젝트’를 통해 플랫폼 구축 및 기술 개발에 노력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인공지능의 기술수준이나 전문 인력 확보, 전문 기업 등은 선진국 대비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공지능 기술에 대한 우리나라 기술 경쟁력 수준과 융합도, 네트워크 등에 대하여 선진국과 비교하고, 향후 인공지능 기술개발 전략 수립 및 정책 개발을 위한 토대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먼저 선행연구를 통한 융합의 개념과 분석의 필요성, 인공지능에 대한 기술과 시장현황, 주요 기업의 기술 개발과 서비스 창출 전략, 각국의 정책들을 살펴봄으로써 인공지능 전반과 기술에 대한 이해의 토대를 마련하였다. 다음 단계에서는 인공지능 기술에 대한 특허 data를 기반으로 분석 지표를 설정하여 기술개발 현황을 파악하고 국가별 · 기업별 기술경쟁력과 기술 및 산업 분야의 융합추이, 산학연 협력패턴, 인공지능 특허기술 보유 주요기업들에 대한 심도 있는 분석을 제시하였다.    그 결과 지난 10년간 인공지능 기술 관련 특허는 매년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최근 5년간 급격히 증가하는 추세를 나타내고 있다. 절반 이상이 미국인이 출원한 특허이며 출원기업은 미국과 일본기업들이 주요 기업들로 나타났다. 인공지능기술 경쟁력 분석 결과에서는 미국이 대부분의 지표에서 우수했으며 유럽은 시장확보지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공지능 기술융합 및 산업융합지수 모두 꾸준히 증가하고 있어 다양한 기술간 융합을 통해 기술혁신과 제품혁신, 새로운 서비스창출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국가별 산업융합지수와 기술융합지수를 비교한 결과 우리나라는 미국, 일본, 유럽 등에 비해 기술경쟁력 및 산업경쟁력 수준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국가 간 융합패턴에서는 미국의 특허가 영국이나 독일 등에서 활발히 인용되고 있으며, 미국과 일본은 상호 인용 강도가 높게 나타나 국가 간 융합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었다. 출원인 유형별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서는 기업이 협력네트워크를 주도하고 있었으며, 기업과 대학, 기업과 연구기관간의 협력활동이 활발하게 나타났다. 국가별로는 미국은 기업과 개인, 기업과 대학 일본은 기업과 연구기관, 기업과 대학, 유럽은 기업과 대학, 한국은 기업과 대학의 협력활동이 활발하게 나타났다. 또한 우리나라는 다른 국가들과 달리 대학을 중심으로 인공지능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인공지능은 향후 제4차 산업혁명을 주도하는 기술로 가장 대표되고 있으며 현재 미래 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각 국가의 경쟁이 매우 치열하다. 이에 우리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미래 유망기술에 대한 관련 정책을 수립하고 기업과 대학, 연구기관, 의료기관 등과의 협력 네트워크와 인프라 구축, 창의 인력개발에 적극 투자하여 융합기술의 개발을 촉진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ntended to prepare a basement for establishing technical development strategies o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developing policy afterwards by comparing them with advanced countries regarding technical competitiveness levels of our country and fusion degree, networks etc.    As a result of analyzing patents related to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have been increased every year steadily for past 10 years and competitiveness of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the US was excellent in most indexes, and market securing index was turned out to be high in Europe. A fact was confirmed such like technical innovation, product innovation, creation of new services has been performed through fusion between various technologies because technical fusion o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industrial fusion index have been increased constantly all together. As a result of comparing industrial fusion index and technical fusion index by country, technical competitiveness and industrial competitiveness levels were comparatively low compared to those of the US, Japan, and Europe etc. From network analyses by applicant type, enterprises led cooperative network, and cooperative activities among enterprise, university, and institute were come out vigorously.    Artificial intelligence is represented most as the technology leading futur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competitions of each country to preoccupy forthcoming market is very keen at now. Therefore, we have to promote development of fusion technology by positively making investment to establish cooperative network with enterprise university, research institute, medical institution, and enable development of creative human resources after setting up relevant policy from long-term perspectives on future promising technology.]


목차[Table of content]

[표지]  [머리말]  [연구요약]  [차례]     표차례     그림차례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배경 및 목적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흐름     제3절 선행연구  [제2장 인공지능기술의 현황 및 발전단계]     제1절 인공지능기술의 개념과 발전과정     제2절 인공지능 기술 및 시장 현황     제3절 인공지능 정책 현황  [제3장 인공지능기술의 융합 및 협력패턴 분석]     제1절 분석의 개요     제2절 기술현황 및 경쟁력 분석     제3절 융합패턴 분석     제4절 협력패턴 분석     제5절 소결  [제4장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128 5 과학 기술 사회 제4차 산업혁명이 일자리에 미치는 영향 / 안상희 2016  1872
127 19 장기 조직 이식 인공장기 이식과 개발에 관한 비판적 연구 / 박건일 2013  1892
126 9 보건의료 보건의료현장의 윤리적 문제해결에 관한 연구 : 윤리 자문가를 중심으로 / 전효숙 2006  1959
125 9 보건의료 의약품제조 기술이전 가이드라인 비교연구 / 진장한 2016  1992
124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 출산과 관련된 윤리적 법적 문제들에 대한 고찰 / 김희수 2006  1995
123 18 인체실험 Stem cell research policies around the world / Deepali Dhar and John Hsi-en Ho 2009  1997
122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이식 코디네이터의 직무분석 / 김형숙 외 2014  2009
121 1 윤리학 칸트의 윤리학에 나타난 인간 존엄성의 근거와 보편 가능성으로서의 도덕법칙의 요청 / 김광연 2016  2017
120 5 과학 기술 사회 4차산업혁명, 인공지능 시대의 교육 / 김진형 2016  2040
119 15 유전학 유전자가위를 이용한 유전자교정 및 유전자치료 / 김형범, 김희권 2015  2069
118 1 윤리학 헌법상 행복추구권의 의미와 실현구조 / 장영수 2017  2072
117 2 생명윤리 피터 싱어의 생명 윤리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정창록 2012  2074
116 1 윤리학 미래 의료용 나노로봇기술이 가져올 수 있는 해악 및 그 방지를 위한 입법적 개선방안 제언 ― 표적치료제 나노로봇을 중심으로 ― / 정천교 2018  2137
115 23 연구윤리 연구 윤리와 위반사례 예시 / 윤영훈 2018  2147
114 1 윤리학 비혼모의 출산 및 양육 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최보희 2018  2153
113 1 윤리학 도덕철학에서 왜 다시 덕이 문제인가 : 아리스토텔레스와 매킨타이어의 덕 윤리를 중심으로 / 김지윤 2015  2165
112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 산업의 윤리적 문제와 해결방안 : 비상업적 대리모의 법적 보호를 중심으로 / 권은지 2015  2204
111 13 인구 다문화가족 지원정책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김동성 2016  2206
110 9 보건의료 병원윤리위원회 조직과 기능 및 활성화 방안 연구 / 김중호, 한성숙, 엄영란, 구인회, 서철, 홍석영 2004  2207
109 4 보건의료 철학 4차 산업혁명과 간호 인적자원의 개발 / 김광점 외 2018  2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