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의료법학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4241508 

바이오뱅크 내 동의서 없는 폐기용 인체유래물 자원의 재활용을 위한 정당성 모색


  • 저자[authors] : 정창록,허유선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 의료법학
  • 권호사항[Volume/Issue] : Vol.18No.1[2017]
  • 발행처[publisher] : 대한의료법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 199-235
  • 언어[language] :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 2017
  • 주제어[descriptor] : 바이오뱅크, 인체유래물의 폐기, 인체유래물의 재활용, 동의서, 정당성, Biobank, A Disposal of Human body material, A Recycling of Human body material, Consent, legitimacy


초록[abstracts]

[생명공학 연구자들의 중요한 이해 관심 중 하나는 연구를 목적으로, 현재 사용될 수 있거나 미래를 위해 보관될 수 있는 인체유래물을 다루는 것에 관한 논의이다. 본 논문은 인체유래물 연구에서 동의서 없는 폐기용 인체유래물의 재활용을 위한 정당성 모색을 목적으로 한다. 미래의료가 유전체 연구를 통해 예방 의료로 패러다임을 바꿀 것이라는 것은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선진국들은 인간 유전체 연구를 위해 바이오 뱅크를 설립하여 연구자들을 지원해 오고 있으며, 한국 역시 마찬가지이다. 그런데 현재 한국의 인체유래물 연구자는 기증자의 동의서가 미비된 경우, 인체유래물을 보관할 수는 있으나 사용할 수는 없다. 뿐만 아니라, 인체유래물 연구 자원이 사용 기간이 한정 표시된 동의서로 인해 폐기되기도 한다. 그러나 필자들은 동의서 미비로 인해 현재 폐기되기만을 기다리는 바이오뱅크의 인체유래물이 매우 제한된 조건 하에서는 활용가능하며, 이러한 재활용에 정당한 근거가 있음을 주장한다. 이를 위해 바이오뱅크 및 인체유래물 활용과 관련된 법조문을 고찰하며 동의없는 인체유래물의 활용과 관련하여 제기될 수 있는 윤리적 문제에 대해 검토하고, 바이오뱅크의 폐기용 인체유래물의 재활용 근거를 모색한다. 

A topic of particular interest for biotech researchers are handling of human tissue specimens that may be used for present, or stored for future, research purposes. This article examines the ethical and legal legitimacy of using human materials for research purposes with special attention to the issues of informed consent and confidentialit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moral and for law legitimacy exploring of the utilization of the human material without donator’s consent. It is a known fact that future medical care should be exchanged a paradigm by preventive health care through a human meterial research. The developed country have established a biobank for a human meterial research and supported a researcher. Korea is the same, too. When it is done a defect, as for the thing researcher derived from the Korean human meterial research. The written consent of the donator can keep a human meterial research origin thing, but cannot use it now. I will justify morally and for law that researcher can use the human material without written consent. We can change the concept of recycling of human material. It is not mean only burning that recycling of human materials for research.  ]


목차[Table of content]

I. 서론: 바이오뱅크 내 동의서 없는 인체유래물을 폐기하는것 외에 다른 활용은 불가능한가?  

II. 예비적 고찰 : 미래 의료를 위한유전체 연구와 바이오 뱅크    1. 미래의료와 바이오뱅크    2. 인체유래물과 동의서  

III. 동의서가 미비된 인체유래물의 재활용에 대한 법적 정당성의 고찰    1. 동의서 미비 인체 유래물에 대한 법적 규정    2. 동의서 미비 폐기용 인체유래물의 재활용에 대한 법적 정당성의 고찰  

IV. 동의서가 미비된 인체유래물의 재활용에 대한 윤리적 정당성의 고찰    1. 동의 없는 인체유래물 활용의 이슈와 개인 자율성의 훼손    2. 인체유래물의 재활용과 관련한 칸트 윤리학적 고찰 : 보편원칙에서 개인의 자율성 존중의 의미  

V. 인체유래물 및 인간유전체연구에서 개인의 자율성은 인체 유래물 등의 폐기 방식을 통해서만 존중될 수 있을것인가?  

VI. 맺으며 : 인체유래물 연구에서 개인적 가치와 공동체적 가치의 이율배반과 종합에 관하여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15 유전학 미생물 유전체 염기서열 분석과 약제내성 기작 연구를 위한 유전정보의 활용 / 차선호

발행년 2010 

  • 조회 수 540

15 유전학 CRISPR/Cas9 기반 후성유전 편집 기술을 이용한 유전자 발현 조절 연구 / 박진석

발행년 2017 

  • 조회 수 540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요양병원 간호사의 죽음 인식, 영적 안녕과 임종간호 스트레스의 관계 연구 / 양진희

발행년 2016 

  • 조회 수 541

8 환자 의사 관계 임상적 의사결정과 생명의료윤리에 대한 환자, 가족, 간호사와 의사의 인지도 / 박애란, 소향숙, 채명정

발행년 2014 

  • 조회 수 542

20 죽음과 죽어감 생물학적 죽음에서 인간적 죽음으로 / 권수현

발행년 2015 

  • 조회 수 542

20 죽음과 죽어감 생명윤리교육에 있어서 안락사 문제 연구 : 2009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교과서 분석을 중심으로 / 한미정

발행년 2012 

  • 조회 수 543

17 신경과학 정신건강복지 관련 법제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성중탁

발행년 2018 

  • 조회 수 543

15 유전학 노로바이러스 전장유전체 분석 및 식중독 바이러스 동시 검출법 개발 / 이정수

발행년 2016 

  • 조회 수 544

19 장기 조직 이식 신장이식 후 임신이 이식신 및 출산에 미치는 영향 / 김민수

발행년 2014 

  • 조회 수 544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자살생존자의 자살경험에 관한 연구 : 모과 옹두리에서의 비상 / 박지영

발행년 2007 

  • 조회 수 545

14 재생산 기술 산전진단에 나타나는 공리주의와 우생사상에 대한 인격주의 생명윤리적 고찰 / 최정임

발행년 2015 

  • 조회 수 546

20 죽음과 죽어감 형법상 안락사·존엄사에 관한 연구 / 유선경

발행년 2001 

  • 조회 수 546

5 과학 기술 사회 공학윤리 : 윤리이론의 선택의 문제에서 덕윤리/강기호

발행년 2015 

  • 조회 수 546

9 보건의료 뇌졸중 환자의 작업치료 보험수가 분석 / 김현진, 김세연

발행년 2015 

  • 조회 수 546

17 신경과학 학생상담자원봉사자의 활동 지속성 관련 요인 분석 / 조복순

발행년 2018 

  • 조회 수 547

18 인체실험 임상시험에서 취약한 피험자의 권리 / 김민우

발행년 2013 

  • 조회 수 547

18 인체실험 재생의학 기술 개발을 위한 세포접착 제어를 통한 중간엽 줄기세포의 기능 조절 연구 / 강정미

발행년 2016 

  • 조회 수 547

20 죽음과 죽어감 영국의 안락사 : ‘조력자살(Assisted Suicide)’과 관련된 주요 사건과 입법동향을 중심으로 / 이주희, 조한상

발행년 2010 

  • 조회 수 547

10 성/젠더 성인지적 관점에서 본 모성보호의 사회법적 한계 / 손미정

발행년 2014 

  • 조회 수 548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 중단을 결정한 말기환자 가족의 경험 / 박연옥

발행년 2003 

  • 조회 수 5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