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0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석사)-- 충북대학교 대학원 : 법학과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2141571 

생명권에 관한 한국과 중국의 비교법적 고찰


= A Study on the Right of life in Korea and China


  • 저자[authors] : 정금지
  • 발행사항 : 청주 : 충북대학교, 2010
  • 형태사항[Description] : 99 p. ; 26 cm.
  • 학위논문사항[Dissertation] : 학위논문(석사)-- 충북대학교 대학원 : 법학과 2010. 8
  • KDC[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 360 5
  • 발행국(발행지)[Country] : 충청북도
  • 출판년[Publication Year] : 2010
  • 소장기관[Holding] : 충북대학교 도서관 (243009)


초록[abstracts]

Right of life is a right extended in meaning of human’s lives including all rights belong to human. It is not only one kind of human rights but also the most important one. You won’t indeed enjoy right of life if it isn’t protected by law, so something such as freedom, human rights which required for living will be meaningless. In addition, in modern constitutional state countries such as Germany and Korea, right of life is protected in various forms in that it is more valuable right than other human rights. Right of life is express term in paragraph 2 of article 2 in the Federal Republic of Germany of the fundamental Law. As another example, in current Korean Constitution although right of life is not expressly stipulated, but it has been protected in form of constitutional interpretation through Constitutional Court in Korea.     In China, right of life is not taken seriously. Consciousness of right of life of Chinese is weak, and the protection of right of life is not enough on Chinese law. So far, right of life is not still protected on Chinese Constitutional Law, so still have a long way to go for protecting right of life in China. In this respect, it has been done well in Korea than in China. On Korean law, some laws and regulations have been formulated for protecting right of life. For example, some legislations about death penalty, abortion, euthanasia and some legislations about life ethics question to appear to follow the development of life science such as artificial fertilization, clone man are more advanced than in China. So there are many experiences to learn from Korea.     So, firstly, this article investigate basic concepts of right of life. Nextly, after investigating interrelated theory and legislation about right of life in Korea and in China, also contrasting the same points and difference points on protecting right of life by law between Korea and China. Finally, some suggestions have been suggested on perfecting the law of right of life in China.     First, strengthen the awareness of right of life.      Second, specifying national public power for protecting right of life. National public power can protect national right of life, at the same time, it also can encroach the right of life. Something have happened in China that encroached right of life. So, for protecting right of life well, should regulate national public power effectively.     Third, China should protect right of life by the Constitution in way of constitutional interpretation same as Korea.     Forth, perfecting legislations for protecting right of life. This article to table a proposal of perfecting legislations for protecting right of life from the following aspects: ① Perfecting legislation for death penalty system. ② Legislating for abortion, euthanasia. ③ Legislating for life science.     Fifth, establishing relieving system for right of life. This system equal to judicial review system. Although there is judicial review system in China, but it doesn’t wok well in fact. So china wants the right of life protected by a genuine, should establish the legislature judicial review system.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748 9 보건의료 고령 초산모의 임신과 출산 경험 / 김다연 2018  518
747 14 재생산 기술 배아연구에 관한 법·윤리적 고찰/ 김향미 2009  519
746 1 윤리학 일조권에 관한 법적 검토 / 이재삼 외 2016  519
745 14 재생산 기술 시험관 아기 시술에서 배란전후 프로게스테론 보충요법의 유용성 / 임소이 2003  519
744 5 과학 기술 사회 국내외 인공지능형 로봇 개발 및 시장 현황 연구- 인공지능형 로봇청소기 사례를 중심으로/남미경 2010  520
743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수술 환자에서 혈당 수치가 임상 경과에 미치는 영향 / 유석하 2014  520
742 14 재생산 기술 <네버렛미고>를 통해본 복제 인간 윤리 / 김미혜 2017  520
741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의 자기 이해와 내러티브적 참 / 조선우 2014  521
740 1 윤리학 정보 투명성과 고객 결정권이 개인정보제공동의수준을 높여 주는가? / 박해령 2019  521
739 22 동물복지 관람에 이용되는 동물의 법적 보호에 관한 연구- 영국의 야생 동물 공연 금지 법안을 중심으로/정소영 2015  521
738 19 장기 조직 이식 신장이식을 위한 신적출 후 기증자 신기능의 장기적인 변화 / 장혜경 2007  522
737 5 과학 기술 사회 나노기술과 나노아트의 융합 연구 / 오규운 2016  522
736 13 인구 결혼 여성의 출산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김경아 2017  522
735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와 임종과정에 대한 정의 및 의학적 판단지침 / 이상민, 김수정 외 2018  522
734 20 죽음과 죽어감 부모의 죽음을 경험한 중년 여성의 글쓰기 체험 : 해석 현상학적 분석 / 박천영 2019  522
733 20 죽음과 죽어감 웰다잉 프로그램이 노인의 삶의 의미, 자기효능감 및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효과 / 변미경 외 2017  523
732 19 장기 조직 이식 여성 신장이식환자의 스트레스 대처를 위한 집단 프로그램 적용에 관한 연구 : 인지행동 모델을중심으로 / 추정인 1998  524
731 5 과학 기술 사회 사물인터넷(IoT) 공통 플랫폼 구축에 따른 서비스 기반에 관한 연구 / 유홍택 2015  524
730 14 재생산 기술 인간복제에 관한 고찰과 기독교적 대응방안에 대한 연구 / 김혜순 2008  525
729 12 낙태 낙태에 관한 유럽인권재판소의 입장 : 대한민국에서의 논의에의 시사점 / 오미영 2014  5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