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08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석사)-- 서강대학교 신학대학원 : 신학과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1471795 

낙태에 대한 생명 윤리적 고찰 : 태아 보호를 중심으로 한 가톨릭 윤리 신학적 관점에서


  • 저자[authors] : 김선화
  • 발행사항 : 서울 : 서강대학교 신학대학원, 2008
  • 형태사항[Description] : vii, 109 p. ; 26cm
  • 일반주기명[Note] : 지도교수 :우재명
  • 학위논문사항[Dissertation] : 학위논문(석사)-- 서강대학교 신학대학원 : 신학과 2008. 8
  • 발행국(발행지)[Country] : 서울
  • 출판년[Publication Year] : 2008
  • 소장기관[Holding] : 서강대학교 도서관  (211029)


초록[abstracts]

본 논문은 낙태에 대한 논쟁 가운데, 태아의 생명권에 대하여 가톨릭 윤리신학적 관점에서 고찰하였다.  우리나라의 경우, 모자보건법에서 낙태를 할 수 있는 합법적인 길을 열어놓고 있을 뿐만 아니라, 낙태를 용인하는 사회적 분위기속에서, 수많은 낙태행위가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렇듯 만연한 낙태 행위의 근저에는, 태아에게 인간으로서의 도덕적 지위를 부여하지 않는 관점이 자리 잡고 있다. 그러나 인간은 본래의 도덕적 가치를 지닌 존재로서, 그 형태나 기능에 따라 평가되어서는 안 된다는 점에서, 태아는 수태되는 순간부터 인간으로 존중받아야만 한다.   한편 여성 신체에 대한 결정권이 태아의 생명권보다 우선하는 것으로 주장하던 기존의 여성주의적 입장에 반해, 여성의 권익 향상과 태아 보호는 상충되는 것이 아니라는 견해가 생명옹호론적 여성주의자들에 의해 제시되고 있다. 이들은 어머니와 태아는 공동 운명체로서, 여성의 존엄성 회복은 태아 보호와 함께 할 때 비로소 가능하다고 역설하고 있다. 또한 이때 사회와 남성들의 지원과 협력이 필수적이라고 말하고 있다.    그리스도교는 일관되게 태아를 보호하는 편에 서 왔다. 태아 생명 보호에 대한 이러한 입장은, 생명은 하느님의 선물이며, 생명의 주인은 하느님이라는 그리스도교 사상에 근거하고 있다. 성서와 그리스도교 전통은 인간 생명의 존엄성은 생명의 창조주인 하느님으로부터 나온다고 말하고 있다. 또한 인간은 하느님의 모상으로 창조되었기 때문에, 인간 생명은 절대로 침해되어서는 안  된다고 말하고 있다. 모든 인간은 이러한 인간생명에 대한 불가침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당연히 태중의 인간존재인 태아에게도 해당된다. 성서는 태아가 하느님께서 모성애 가득한 눈길로 바라보고 계시는 인격적 섭리의 대상임을 보여주고 있다. 이렇듯 하느님으로 인해 불가침의 존엄함을 지닌 인간 생명은 수정되는 순간부터 존중되어야 하며, 따라서 태아의 생명권은 절대로 보호받아야만 한다.


초록[abstracts]

This thesis addresses the right of unborn children to life related to abortion based on Catholic moral theology.   In Korea, the Mother and Child Health Law has provided a legal way for women to have abortions, and numerous abortions have been performed, with little social backlash. The prevalence of abortion is due to a system of ethics that does not endow unborn children with moral stature as a persons. However, unborn children should be regarded as persons from the time of conception. Human beings have intrinsic moral value, and personhood cannot be evaluated based on physical form or function.   Contrary to the feminist perspective asserting that a woman''s right to control her body supersedes the right of the unborn child to life, pro-life feminists suggest that women’s rights and interests and the protection of  unborn children are not in conflict. They emphasize that the mother and unborn child are a body sharing a common destiny and that female dignity can be recovered only if it is joined with the protection of the unborn child. They also believe that the support and cooperation of men and society at large are essential.   Christianity has firmly supported protection of unborn children. This position is based on the Christian idea that life is a gift from God, and ownership of life belongs to God. The Bible and Christian tradition state that the dignity of human life derives from God, the Creator of life. Christians believe that human life should never be threatened, because humans are created in the image of God. Every human being has an inviolable right to life, and this right applies to unborn children, which are human beings even during the prenatal period. The Bible demonstrates that unborn children are the personal objects of providence from God, who looks upon them with maternal affection. Likewise, God has endowed human life with inviolable dignity. This dignity should be recognized and respected from the moment of conception. Accordingly, the right of unborn children to life must be protected.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3148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수혜자의 삶의 질 예측모형 / 김은만 2004  317
3147 1 윤리학 의료법세션 : 최근 국가 의료정책의 변화에 관한 의료법리학적 평석 / 김향미 2012  317
3146 15 유전학 유전자 편집의 윤리 / 김상득 2018  316
3145 9 보건의료 의료법과 입법자의 책임 공법적 측면에서의 혈액관리제도 안정성확보 / 박규환 2008  316
3144 9 보건의료 맞춤의료를 위한 체외진단다지표검사(IVDMIA)의료기기 평가기술 개발 연구 / 한국에프디시법제학회 2015  316
3143 18 인체실험 임상등급 인간 배아줄기세포주 확립 연구 동향 / 설혜원 외 2014  316
3142 13 인구 저출산·고령사회 이슈에 대한 정책대응 과제 / 문은영 외 2016  316
3141 15 유전학 임상으로부터 분리된 Candida albicans의 MLST를 통한 유전적 변이 분석 / 김희진 2016  316
3140 14 재생산 기술 영아의 생명권을 위한 규범적 고찰 / 엄주희 2016  316
3139 5 과학 기술 사회 국내외 빅데이터 현황과 발전방향 / 김주미 2018  315
3138 9 보건의료 독일에서 동종의약품의 허가 규정 / 김은미, 김형중, 조정희 2007  315
3137 8 환자 의사 관계 의학적 인간학과 윤리학의 관점에서 바라 본 의사-환자 관계/정대성 2015  315
3136 9 보건의료 메르스 사태에 관한 사설과 칼럼의 프레임과 내용 분석 / 지승재 2016  315
3135 2 생명윤리 생물II교과서의 생명윤리교육에 대한 비교분석을 통한 개선방안 연구 / 박혜정 2010  315
3134 20 죽음과 죽어감 법률·가이드라인·의료 : 일본의 종말기의료의 현단계 / 마치노 사쿠 2014  315
3133 20 죽음과 죽어감 뇌사와 연명치료중단에 관한 소고 / 구자완 2015  314
3132 13 인구 저출산 정책으로써 출산장려금의 정책 효과성 연구: 서울 25개 자치구들을 중심으로 / 김민곤 외 2016  314
3131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철학에서 병원의 가정호스피스화와 에디트 슈타인의 연관성 연구/이은영 2015  314
3130 15 유전학 바이오시대의 유전정보관리통제권 / 정덕영 2009  314
3129 10 성/젠더 난자 : 생명기술의 시선과 여성 몸 체험의 정치성 / 조주현 2007  3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