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1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석사)-- 광운대학교 환경대학원 : 환경경영전공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2543180 

실험동물의 사용과 사육관리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Care and Breed Management of Laboratory Animals


  • 저자[authors] : 우상훈
  • 발행사항 : 서울 : 광운대학교 환경대학원, 2011
  • 형태사항[Description] : xi, 88 p. ; 26cm
  • 학위논문사항[Dissertation] : 학위논문(석사)-- 광운대학교 환경대학원 : 환경경영전공 2011. 2
  • 발행국(발행지)[Country] : 서울
  • 출판년[Publication Year] : 2011
  • 주제어 : 실험동물,실험동물시설,인수공통전염병,사육관리,Laboratory animal,Laboratory animals facility,Zoonosis,breed management
  • 소장기관[Holding] : 광운대학교 중앙도서관 (211012)


초록[abstracts]

동물실험시설은 과학적 목적에 이용되는 실험용 동물을 구입, 사육, 관리, 보관, 유지, 생산, 연구하는 곳과 이러한 실험용 동물을 사용하여 동물실험을 행하는 시설로 정의할 수 있다. 단순히 실험동물을 수용하는 시설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동물의 사육이나 동물실험에 필요한 제반설비, 동물을 사육 관리 하는 사육사, 동물에 관련되는 환경인자 및 이러한 환경을 유지하기 위하여 필요한 유기적, 종합적인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실험동물의 사용과 사육관리에 대하여 알아보고 실험동물시설의 오염으로 인한 피해사례와 인수공통전염병과 미생물모니터링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또한 국내·외 법규나 기준을 통한 가이드라인을 분석하여  국내 실정에 맞는 가이드라인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연구를 시행하였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를 중심으로 분석하였으며 관련 연구논문, 학술지, 저서, 연구보고서, 인터넷 자료 등을 활용하여 연구하였다.  실험동물시설의 오염으로 인한 시설에서 일하는 직원과 연구자들의 건강과 안전을 위하여 위험요소를 관리하고 예방함으로써 직업병 또는 작업장에서의 상해와 질병을 방재하고 예방뿐 아니라 조기진단과 치료에 대한 대책도 수립해야 할 것이다. 또한 동물실험 결과의 신뢰성 확보를 위해 동물실험을 수행하는 연구자를 위한 동물실험 프로그램 및 동물실험 지침을 국제적인 연구환경에 부합되도록 마련함으로써 동물실험 결과의 재현성과 정확성을 확보하며, 불필요한 동물의 희생을 막고 동물의 복지를 향상시키기 위한 기본적인 체계의 구축이 되어야 할 것이다.
The animal test laboratory is defined as a facility performed various animal tests or experimentations with laboratory animals and such procedures as procurement, breed, management, storage, maintenance, production and research of laboratory animals.  The term of animal test laboratory above includes any of required equipment for animal tests, personnel for breeding laboratory animals, environmental factors related to the animals and systemic maintaining functions for the environmental factors.  This study has been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use and breed management of laboratory animals, and it also contains some of damage cases such as zooanthroponosis and microorganisms monitoring caused by the pollution of animal test laboratorie.  Moreover, this study proposes the direction for setting out the relevant guidelines which is appropriate for the domestic circumstances, analyzing international and domestic regulations and guidelines.  The study has been done in the basis of document analysis, and it has also referred to relevant papers, academic journals, books, research papers and internet materials.  Risk factors which might be caused by the contaminations of animal test laboratory should be monitored and prevented to protect personnel working at the animal test laboratory as well as attempting to carry an early diagnosis and establish countermeasures.  Moreover, animal test program and standard for researchers performing animal test should be drawn up in the term of international research environment to acquire the confidence of animal test results. Also, fundamental systems should be arranged for welfare of animals and avoiding unnecessary sacrifice of them.


목차[Table of content]
제1장 서론
1.1 연구의 배경과 목적
1.2 연구의 범위와 방법
제2장 이론적 배경
2.1 실험동물시설의 개요
2.1.1 실험동물시설의 의의
2.1.2 실험동물시설의 원칙
2.1.3 실험동물시설의 분류 및 동선
2.1.4 시설의 조직
2.1.5 시설의 건축지침
2.2 실험동물의 사육관리
2.2.1 실험동물의 분류
2.2.2 실험동물별 특성
2.2.3 사육관리
2.3 실험동물의 환경관리
2.3.1 물리화학적 환경
2.3.2 위생관리
2.3.3 폐기물 처리
2.3.4 해충 관리
2.4 국내의 실험동물 관련법
2.4.1 실험동물 관련법 재정 배경
2.4.2 실험동물 관련법 제정 목적
2.4.3 동물보호법
2.4.4 실험동물에 관한 법률
제3장 실험동물시설의 사육관리에 관한 분석
3.1 실험동물시설의 오염으로 인한 피해사례
3.1.1 실험동물 관련 사고 사례
3.1.2 실험동물 사고 대처 방안
3.2 실험동물시설에서 발생하는 인수공통전염병
3.2.1 바이러스성 질병
3.2.2 세균성 질병
3.2.3 원생동물 질병
3.2.4 인수공통전염병 대응방안 동향
3.3 실험동물의 미생물 모니터링
3.3.1 미생물모니터링의 정의
3.3.2 미생물 모니터링의 중요성
3.3.3 미생물모니터링 항목
3.3.4 미생물모니터링 표준 검사법
3.3.5 미생물모니터링 결과에 대한 이해
3.3.6 감염사고에 대한 대책
제4장 국외의 실험동물 사용과 관리에 대한 관련법규나 기준을 통한 가이드 라인
4.1 미국
4.2 캐나다
4.3 영국
4.4 뉴질랜드
4.5 일본
4.6 국내·외 실험동물 사용과 관리에 대한 가이드라인 비교
제5장 고찰 및 결론
참 고 문 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7
928 14 재생산 기술 자궁내막암에서 선택적 프로게스테론 수용체 조절제 (ulipristal acetate) 의 항암효과/고아라 2016  448
927 1 윤리학 전부개정 된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의 연구대상자 보호 측면에서의 의의와 한계 / 김은애 2014  449
926 1 윤리학 연구논문 : 주민등록번호 변경규정 마련을 위한 입법적 과제 -헌법재판소 2015. 12. 23. 2013헌바68 중심으로- / 김종세 2016  449
925 5 과학 기술 사회 나노기술이 던지는 새로운 철학적 문제들에 대한 고찰 / 이중원 2016  450
924 14 재생산 기술 여성 난임환자 20례의 임상결과보고 / 조성희 2015  450
923 23 연구윤리 한국 의생명과학 연구윤리제도의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 최병인 2006  451
922 10 성/젠더 입원약정서의 연대보증조항에 대한 환자의 건강권 측면에서의 검토 / 홍관표 2015  451
921 20 죽음과 죽어감 성년후견제도와 사회복지제도의 연계방안에 관한 연구 / 박상현 2016  451
920 2 생명윤리 초등 교과교육 : 생명윤리에 대한 초등교사와 학생들의 인식조사 / 이강미, 이상원 2014  452
919 20 죽음과 죽어감 심폐소생술 금지(DNR) 결정의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 조충희 2018  452
918 9 보건의료 미국 보건의료개혁의 정책 연혁 및 공공성 분석 / 여영현 외 2018  452
917 9 보건의료 한 3차 병원 중환자실에 대한 윤리자문 모델의 경험 / 문재영 2013  453
916 1 윤리학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의 헌법상 근거와 보호영역 / 전상현 2018  453
915 20 죽음과 죽어감 한계상황으로서의 죽음의식이 삶에 미치는 영향과 의미 : 야스퍼스 철학을 중심으로 / 홍경자 2013  454
914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로봇에 의한 행정과 국가배상책임제도에 관한 연구/ 이지헌 2018  454
913 5 과학 기술 사회 체계적인 로봇윤리의 정립을 위한 로봇 존재론, 특히 로봇의 분류에 관하여 / 고인석 2012  455
912 20 죽음과 죽어감 생전유언의 법리와 제도 연구 / 박동섭 2013  455
911 5 과학 기술 사회 생체모방 로봇의 최신 동향/박종원, 이진이, 김수현 2012  455
910 18 인체실험 대학 생명윤리위원회의 심의 기준에 관한 연구- 미국의 Common Rule과 미국 대학의 표준운영지침상 기준을 중심으로/김시형, 추정완 2015  455
909 8 환자 의사 관계 의사의 설명의무위반과 손해배상 / 김대규 2016  4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