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4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석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 윤리교육학과윤리교육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3564084 

피터 싱어 동물해방론의 도덕교육적 의미


= Peter Singer, Animal Liberation means of moral education



  • 저자[authors] : 김대현

  • 발행사항 : 청주 :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4

  • 형태사항[Description] : ⅵ, 88 p. ; 26 cm

  • 일반주기명[Note] : 한국교원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br>지도교수 : 박병기<br>심사위원: 박병기, 류지한<br>참고문헌 : p. 82-86

  • 학위논문사항[Dissertation] : 학위논문(석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 윤리교육학과윤리교육전공 2014. 8

  • DDC[DDC] : 170.712 22

  • 발행국(발행지)[Country] : 충청북도

  • 출판년[Publication Year] : 2014

  • 주제어 : 동물해방론,동물복지,동물권리,동물보호,동물소비산업,생명윤리,생태윤리,이익 평등고려의 원리,종차별주의,환경윤리

  • 소장기관[Holding] : 한국교원대학교 도서관 (243012)



초록[abstracts]

본 논문은 실천철학자 ‘피터 싱어’의 『동물해방』의 도덕교육적 의미를 분석하는 것이 핵심 주제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단순한 동물보호를 위한 논의가 아니다. 싱어는 『동물해방』에서 다음과 같은 윤리적 논의를 전개해간다.  첫째, 『동물해방』은 공장식 농장과 동물실험에서 비롯되는 동물착취의 모습을 고발한다. 왜냐하면 동물을 착취하는 형태의 산업구조는 모두 동물을 도덕적 고려의 범위에 포함시키지 않기 때문이다. 둘째, 싱어는 동물을 도덕적 고려의 범위로 포함시키기 위하여 인간과 동물의 공통점에 주목한다. 그는 인간과 동물의 공통점을 ‘쾌고 감수능력’으로 주장한다. 셋째, 동물을 도덕적 범위로 포함시킨다는 의미는 상호간의 이익을 공평하게 여긴다는 뜻이다. 싱어는 이를 ‘이익 평등고려의 원리’라고 정의한다. 따라서 인간이 동물의 이익을 차별하는 태도를 ‘종차별주의’라고 비판한다. 넷째, 싱어는 종차별주의를 극복하기 위해서 소비자의 실천적 책임을 강조한다. 그리고 가급적 육류중심의 식생활을 채식으로 전환할 것을 요청한다. 이와 같이 싱어의 주장은 단순한 생명윤리의 영역을 넘어 환경생태윤리의 범위로 확장되는 포괄적인 논의주제라고 할 수 있다.


목차[Table of content]
Ⅰ. 서론  5
 1. 문제제기  5
 2. 연구목적과 방향  8
Ⅱ. 윤리학과 동물이해  11
 1. 동서양 윤리학의 동물 이해  12
 2. 동물에 대한 현대의 윤리적 논의들  32
Ⅲ. 피터 싱어 동물 해방론의 윤리학적 분석  41
 1. 윤리의 보편성과 이익 평등고려의 원리  41
 2. 도덕적 지위의 기준으로서 유정성  44
 3. 동물의 도덕적 지위와 종차별주의  49
 4. 종차별주의에 대한 싱어의 반론  51
 5. 동물해방론의 윤리적 함의  53
Ⅳ. 동물해방론의 도덕교육적 의미  57
 1. 도덕교육과 동물해방론  57
  1) 도덕교육에서의 생명환경윤리 관점  59
  2) 동물해방론의 도덕교육적 논의영역  66
 2. 동물해방론의 도덕교육적 재구성의 의미  69
  1) 동물해방론의 도덕교육적 적합성  69
  2) 동물해방론의 도덕교육적 요소  72
 3. 동물해방론의 도덕교육적 실현방향  74
  1) 확장된 생명윤리교육의 가능성  75
  2) 소비자 윤리교육으로서의 측면  77
  3) 교재로서의 동물해방론  80
Ⅴ. 결론   82
참 고 문 헌   86
ABSTRACT  91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3948 20 죽음과 죽어감 일 대학병원 중환자실 입원 노인의 연명치료 현황 / 박수현 2016  527
3947 12 낙태 생명권에 관한 헌법적 논의 / 김민우 2013  527
3946 18 인체실험 생명윤리원칙에 근거한 인간대상연구의 개인정보보호방안 모색 / 백소영 2016  527
3945 5 과학 기술 사회 공학윤리: 문제해결 중심의 접근과 도덕적 추론/이재숭 2013  527
3944 14 재생산 기술 한국 생식의료의 전개과정에 관한 연구 : 소극적 정책보조자에서 산업개척자로 / 박종헌 2008  527
» 22 동물복지 피터 싱어 동물해방론의 도덕교육적 의미 / 김대현 2014  526
3942 5 과학 기술 사회 동아시아 생명과학의 발전과 바이오시민권의 형성가능성 / 김기흥 2012  526
3941 14 재생산 기술 학술대회 발표논문 : 대리모에 의한 출산자의 모자관계 / 이영규 2010  526
3940 12 낙태 낙태에 관한 유럽인권재판소의 입장 : 대한민국에서의 논의에의 시사점 / 오미영 2014  525
3939 14 재생산 기술 인간복제에 관한 고찰과 기독교적 대응방안에 대한 연구 / 김혜순 2008  525
3938 5 과학 기술 사회 사물인터넷(IoT) 공통 플랫폼 구축에 따른 서비스 기반에 관한 연구 / 유홍택 2015  524
3937 19 장기 조직 이식 여성 신장이식환자의 스트레스 대처를 위한 집단 프로그램 적용에 관한 연구 : 인지행동 모델을중심으로 / 추정인 1998  523
3936 20 죽음과 죽어감 부모의 죽음을 경험한 중년 여성의 글쓰기 체험 : 해석 현상학적 분석 / 박천영 2019  522
3935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와 임종과정에 대한 정의 및 의학적 판단지침 / 이상민, 김수정 외 2018  522
3934 20 죽음과 죽어감 웰다잉 프로그램이 노인의 삶의 의미, 자기효능감 및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효과 / 변미경 외 2017  522
3933 13 인구 결혼 여성의 출산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김경아 2017  522
3932 19 장기 조직 이식 신장이식을 위한 신적출 후 기증자 신기능의 장기적인 변화 / 장혜경 2007  522
3931 5 과학 기술 사회 나노기술과 나노아트의 융합 연구 / 오규운 2016  521
3930 22 동물복지 관람에 이용되는 동물의 법적 보호에 관한 연구- 영국의 야생 동물 공연 금지 법안을 중심으로/정소영 2015  521
3929 1 윤리학 정보 투명성과 고객 결정권이 개인정보제공동의수준을 높여 주는가? / 박해령 2019  5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