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4668479 

GMO 식품에 나타난 유전자 조작 기술의 기독교 윤리적 비판-유전자 조작 기술 시대의 자연 및 인간의 ‘수평적 동등성’ 회복을 위해


 = The Christian Ethical Criticism on Genetic Manipulation in GMO food: Focusing on the Restoration of ‘Nature and Human Equality’ in the Age of Genetic Engineering Technology


  • 저자[authors] : 김광연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 기독교사회윤리
  • 권호사항[Volume/Issue] : Vol.39No.-[2017]
  • 발행처[publisher] :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 101-127
  • 언어[language] :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 2017
  • KDC[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 230
  • 주제어[descriptor] : GMO 식품, 생태윤리, 유전자 조작, 창조 세계, 생태계 교란, GMO Food, Bioethic, Gene Manipulation, Creation World, Eco distribution, SFM(Slow Food Movement)



초록[abstracts]

[GMO 식품이 버젓이 우리 식탁위에 올라오고 있다. 아직 GMO 식품의 유해성 에 대해 정확한 기준과 과학적 근거가 없다는 이유로 아이들이 유전자 조작 식품 을 섭취하고 있다. 유전자 조작 식품을 만들어낸 과학자들은 기존의 자연적인 것들을 인위적으로 바꾸고 있다. 이 글에서는 유전자 조작 식품이 가진 장점과 단점을 논의하고, 그 기술이 가진 ‘희망’보다는 보이지 않는 기술의 ‘어두움(공포)’ 에 관심을 가지고 논의를 전개해 나갈 것이다. 유전자 조작 기술은 다분히 인간 기술의 척도에 따른 행위이기 때문에 하나님의 창조 섭리와 생태학적 고려가 배 제되었다. 이 기술은 자연의 질서와는 무관한 인간 중심적 기술과 자연 왜곡이란 이유로 기독교윤리학적 반성과 성찰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 글은 유전자 조작 기술이 가진 두려움 내지는 기술의 위험성을 비판하고, GMO 식품을 실험하는 과학 기술과 인간 기술의 규격화에 따른 기독교윤리적 입장에서 제언을 할 것이다., GMO food is on the table. Children are still taking genetically modified foods because of the lack of accurate standards and scientific evidence of the hazards of GMO foods. Scientists who invented GMO have been intentionally and thoughtlessly transforming natural food sources into something artificial and risky. This study is designed to disclose the threat of human technology rather than to focus on positive side of it. Since DNA manipulation is entirely based on human technology, ecological consideration and/or the Creator’s providence have been partially or entirely alienated from these debates. The cutting edge of human technology has been developed regardless of natural order. Here is the point to research an intact version of it in Christian viewpoint. Thus, the study which deals with pros and cons of technology normalization aims two goals: The first is to disclose a threat of DNA manipulation skill on one hand, and the second is to grope for a Christian alternative referring to the restoration of creation order on the other.]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3108 9 보건의료 119 구급대의 이송거절 및 거부에 대한 법적 고찰 / 배현아, 이상진, 김찬웅, 이경환 2005  310
3107 17 신경과학 비판적 신경과학의 도덕교육적 함의 / 김하연 2019  309
3106 9 보건의료 일본의 재택의료제도 현황과 시사점 / 남상요 2019  309
3105 9 보건의료 의료기관 빅데이터 품질관리의 필요성과 사례 분석 /최혜린 외 2017  309
3104 2 생명윤리 인격주의 생명윤리 관점으로 본 ‘자기결정’에 대한 고찰 / 오석준 2018  309
3103 5 과학 기술 사회 3D 바이오프린팅 기술의 법적 쟁점 / 김한나 2017  308
3102 18 인체실험 현대 생명의료 윤리학에서의 신체 문제 / 윤성우 2008  308
3101 15 유전학 유전자검사기술 확대에 따른 국내 유전자 프라이버시 침해의 제 문제/이보형 2017  308
3100 15 유전학 나고야의정서 체제 하에서 한국 바이오산업과 유전자원제공국 간 이익 공유 방안/이하동, 윤순진 2016  308
3099 9 보건의료 응급의료에서 소생술에 관한 결정 : 유보, 중단을 중심으로 / 김아진 2014  308
3098 2 생명윤리 문헌으로 본 응급피임약의 약효와 부작용/남명진 2015  307
3097 4 보건의료 철학 의료인의 지시에 의한 비의료인 또는 의료인의 무면허의료행위에 대한 형사법적 문제점에 관한 소고 / 장연화, 백경희 2018  306
3096 19 장기 조직 이식 중국에서 간이식 받은 환자 351명의 장기 성적 : 서울대학교병원의 경험 2008  306
3095 15 유전학 유전자변형 동물을 활용한 연구 / 구옥재 2018  306
3094 18 인체실험 생물의약품 임상시험에 사용되는 통계학적 고려사항 / 남주선 2014  306
3093 12 낙태 낙태규율의 원칙과 방법 / 김진 2011  306
3092 15 유전학 GJB1 돌연변이로 일어나는 CMTX 환자의 유전학적 코호트 연구 / 김성민 2016  306
3091 15 유전학 한국의 인간 유전체 연구에 있어 개인 프라이버시권과 국제데이터공유원칙 적용의 문제점 / 김한나 외 2015  306
3090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환자의 삶의 질과 치료지시 이행 / 두윤숙 2005  306
3089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 법제화의 전제조건에 대한 검토 -세브란스병원사건에 대한 법원 판결의 의미와 시사점- / 이상용 2012  3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