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영남법학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3353610 
인공지능으로 인한 법률 서비스의 파괴적 혁신과 시사점
= Artificial Intelligence-powered Innovation on Legal Service and Its Implications

http://www.riss.kr/link?id=A103353610 

• 저자명 : 양종모 ( Yang Jong-mo )
• 학술지명 : 영남법학
• 권호사항 : Vol.44 No.- [2017]
• 발행처 : 영남대학교 법학연구소(THE LAW RESEARCH INSTITUTE YEUNGNAM UNIVERSITY)
• 자료유형 : 학술저널
• 수록면 : 1-29(29쪽)
• 언어 : Korean
• 발행년도 : 2017년


• 주제어
인공지능 , 법률서비스 , 파괴적 혁신 , 법률검색 서비스 , 온라인 법률상담 , 전자증거개시 , Artificial intelligence , Legal Service , Legal Profession, Legal Research , Online Service , Predictive Coding

초록
인공지능으로 인해 여러 분야에서 파괴적 혁신이 일어나거나 일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법률 서비스 분야도 예외일 수는 없다. 고객들의 기대보다 빨리 혁신이 일어나면 살아남지만, 그렇지 않으면 도태된다. 파괴적 혁신은 왜 어떤 조직이 변화 없이 버티기 어려운지 설명해준다. 법률 서비스 분야의 혁신의 양상은 크게 두 가지로 대별되는데, 기존의 법률서비스를 보완하여 서비스의 질을 높이는 식과 기존의 서비스를 완전히 대체하는 식으로 나뉜다. 법률서비스 분야의 문제점은 비용부담이 크고, 일반인의 접근이 어렵다는 점이다. 이는 우리나라만의 문제가 아니고, 미국을 비롯한 선진 제국들도 정도의 차이만 있을 뿐 법률서비스에의 접근은 어려운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우리나라도 변호사 수의 급격한 증대를 통해 저렴한 법률서비스를 유도하는 식의 정책을 펼쳐왔지만, 기하급수적인 변호사 수 증가로 인해 공급과잉 수준에 임박했다는 위기의식과는 달리 법률서비스가 저렴하다거나, 법률서비스에의 접근이 수월하다고 인식되지 않는다. 저가수임 경쟁으로 인한 부실변론이나 법조 브로커가 활개 치는 등 부작용도 만만치 않다. 법률서비스는 일반적 서비스와 다른 여러 가지 특질이 있고, 특히 규범을 준수하고, 제반 업무를 제대로 처리할 것이라는 사회적 신뢰가 바탕에 깔려있다. 변호사 수의 급증으로 인해 이런 신뢰관계가 손상될 것이라는 우려와 함께 일각에서는 변호사 공급을 적절한 수준으로 제한하여야 한다는 요구를 하고 있다. 인공지능 기술이 법률 서비스 분야에 도입되면서 이로 인한 변호사 직역의 변화에 대한 우려도 높다. 인공지능의 도입으로 인해 기존 변호사의 직역의 상당부분이 인공지능에 의해 대체될 것이고, 변호사들 중 상당수가 직업 상실이라는 운명에 처할 것이라는 예상도 있다. 그동안 법률서비스 분야의 혁신은 다른 분야에 비해서 진전이 더디지만 인공지능을 비롯한 정보통신기술로 인해 법률서비스 분야의 혁신도 가속화하고 있는 상황이다. 가장 비근한 예로 법률 검색 부분은 소위 리걸테크 기업이 장악하고 있다. 판례, 법령 등을 바탕으로 법률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Westlaw, 법리와 판례 등이 담긴 문서를 구조화된 정보로 바꿔주는 Judicata, 위키피디아의 법률버전이라는 Casetext, 수천 건의 법률문서를 분석하고 비교해주는 인공지능 도구인 Kira System 등이 미국 등 외국의 법률검색 분야의 대표적 리걸테크 기업이다. 그 외에도 신입변호사에 의해 주로 처리되던 증거개시분야는 Predicting Algorithm 이 도입되어 비용대비 효과 면에서 엄청난 성과를 거두고 있고, 온라인 법률상담과 같은 분야도 저렴하고 쉬운 접근성으로 법률소외계층에게까지 서비스를 확대하는 바람직한 성과도 거양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인공지능을 이용한 법률서비스 혁신이 가져올 여러 가지 변화를 다양한 측면에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기존 법률서비스 시장이 의뢰인과의 신뢰관계와 친밀관계, 사회적 평가, 개인적 연고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면 법률서비스의 소규모화나 분업화 등 여러 가지 혁신은 이와 같은 법률 서비스의 모습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킬 것이고, 이는 고객의 이익 제고와 법률서비스의 효율성 증대로 이어질 것이다. 현단계에서 다소 미흡한 점이 없지 않지만 기술적 진보나 혁신의 계속은 법률서비스에의 접근과 전달 방식을 바꿔갈 것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3108 9 보건의료 119 구급대의 이송거절 및 거부에 대한 법적 고찰 / 배현아, 이상진, 김찬웅, 이경환 2005  310
3107 17 신경과학 비판적 신경과학의 도덕교육적 함의 / 김하연 2019  309
3106 9 보건의료 일본의 재택의료제도 현황과 시사점 / 남상요 2019  309
3105 9 보건의료 의료기관 빅데이터 품질관리의 필요성과 사례 분석 /최혜린 외 2017  309
3104 2 생명윤리 인격주의 생명윤리 관점으로 본 ‘자기결정’에 대한 고찰 / 오석준 2018  309
3103 5 과학 기술 사회 3D 바이오프린팅 기술의 법적 쟁점 / 김한나 2017  308
3102 18 인체실험 현대 생명의료 윤리학에서의 신체 문제 / 윤성우 2008  308
3101 15 유전학 유전자검사기술 확대에 따른 국내 유전자 프라이버시 침해의 제 문제/이보형 2017  308
3100 15 유전학 나고야의정서 체제 하에서 한국 바이오산업과 유전자원제공국 간 이익 공유 방안/이하동, 윤순진 2016  308
3099 9 보건의료 응급의료에서 소생술에 관한 결정 : 유보, 중단을 중심으로 / 김아진 2014  308
3098 2 생명윤리 문헌으로 본 응급피임약의 약효와 부작용/남명진 2015  307
3097 4 보건의료 철학 의료인의 지시에 의한 비의료인 또는 의료인의 무면허의료행위에 대한 형사법적 문제점에 관한 소고 / 장연화, 백경희 2018  306
3096 19 장기 조직 이식 중국에서 간이식 받은 환자 351명의 장기 성적 : 서울대학교병원의 경험 2008  306
3095 15 유전학 유전자변형 동물을 활용한 연구 / 구옥재 2018  306
3094 18 인체실험 생물의약품 임상시험에 사용되는 통계학적 고려사항 / 남주선 2014  306
3093 12 낙태 낙태규율의 원칙과 방법 / 김진 2011  306
3092 15 유전학 GJB1 돌연변이로 일어나는 CMTX 환자의 유전학적 코호트 연구 / 김성민 2016  306
3091 15 유전학 한국의 인간 유전체 연구에 있어 개인 프라이버시권과 국제데이터공유원칙 적용의 문제점 / 김한나 외 2015  306
3090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환자의 삶의 질과 치료지시 이행 / 두윤숙 2005  306
3089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 법제화의 전제조건에 대한 검토 -세브란스병원사건에 대한 법원 판결의 의미와 시사점- / 이상용 2012  3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