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53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4888348 


주제전문사서로서의 정신보건사서 양성 교육과정 개발

= Developmental of Curriculum for Training Professional Librarians Specializing in the Field of Mental Health



• 저자명 : 임성관(Seong-Gwan Lim)

• 학술지명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권호사항 : Vol.48 No.4 [2017]

• 발행처 : 한국도서관·정보학회

• 발행처 URL : http://liss.jams.or.kr

• 자료유형 : 학술저널

• 수록면 : 259-282(24쪽)

• 언어 : Korean

• 발행년도 : 2017년

• 등재정보 : KCI등재

• 주제어 :  사서 ,주제전문사서 ,정신보건사서 ,교육과정 개발 ,독서치료 상담실 ,Librarian ,Subject specialist librarians,Mental health professional librarians(psychiatric mental health librarians) ,Developmental curriculum ,Bibliotherapy counseling center


초록


본 연구는 사회구조의 변화 및 새로운 도서관 서비스의 출현에 대한 대응기제로서 정신보건사서라는 전문 인력 양성 교육과정을 개발하여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문헌 조사를 통해 독서치료의 특징, 정신보건사서의 역할, 자격요건과 양성제도를 살펴보고, 이에 따른 계속 교육의 필요성과 실제 교육과정 개발 시 고려해야 할 일련의 단계를 고찰하였다. 나아가 정신보건사서 양성을 위하여 문헌정보학과 교과목에 독서치료 영역에 해당하는 교과목을 개설하고, 향후 교과과정 편성에 있어서 주제전문화를 강화하기 위한 방안의 필요성, 그리고 우리나라 현실에서 정신보건사서의 양성을 위한 바람직한 방안으로 문헌정보학과 대학원에 ‘정신보건사서’ 과정을 설치할 것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주제전문사서의 자질 개발과 확충을 위한 지침으로서, 주제전문사서의 역할 확립과 우리나라 도서관 현장과 학계의 당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게 될 것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13 12 낙태 낙태절차에 관한 미국 연방대법원 결정이 우리나라 낙태규제에 주는 시사점 / 오영인 2017  196
12 1 윤리학 사회환경 변화에 따른 가족위기 특성과 정책과제 / 김유경 2017  187
» 24 기타 주제전문사서로서의 정신보건사서 양성 교육과정 개발 / 임성관 2017  182
10 9 보건의료 보건의료 안전이슈 모니터링 및 조기경보시스템 모형개발 / 김은정 외 2014  161
9 8 환자 의사 관계 보건의료법제 하에서 인공지능기술의 의료영역 도입의 의의와 법적 문제 / 배현아 2017  139
8 20 죽음과 죽어감 헤게모니 경합의 장(場)인 정신보건: 중국 개혁시기 여성주의 NGO와 의료전문가의 자살예방 접근방식에 관한 민족지적 연구 / 이현정 2011  137
7 9 보건의료 국민의 적정 부담을 위한 비급여 관리 방향 / 공진선 2017  123
6 9 보건의료 보건의료법학에 있어 역사적 연구방법 / 박지용 2017  120
5 9 보건의료 보건의료서비스 이용에 대한 범주 문헌고찰: 이론기반 실증연구 중심으로 / 고영곤 외 2018  105
4 7 의료사회학 의료기술의 평가와 급여 결정 방향 / 박종연 2017  96
3 9 보건의료 의사의 설명의무 범위와 보건의료적 제언 / 정창우 2017  82
2 9 보건의료 보건의료와 출산 간의 연계성에 관한 거시-미시 접근 / 김동식 외 2016  75
1 9 보건의료 Applying a Global Justice Lens to Health Systems Research Ethics: An Initial Exploration 2015  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