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4887820 


성폭력 피해자 지원 종사자가 경험하는 이차적 외상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 Exploratory Study of the Factors Affecting Secondary Traumatic Stress among Practitioners Supporting Sexual Assault Victims




• 저자명 : 김지은(Kim, Ji Eun) ,김혜연(Kim, Hye Yeon) ,김혜원(Kim, Hye Won),송인한(Song, In Han)

• 학술지명 :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 권호사항: Vol.22 No.4 [2017]

• 발행처 : 한국심리학회

• 발행처 URL : http://kswp.or.kr

• 자료유형 : 학술저널

• 수록면 : 491-509(19쪽)

• 언어 : Korean

• 발행년도 : 2017년

• 등재정보 : KCI등재

• 주제어 :  성폭력 ,종사자 ,이차적 외상스트레스 ,상담 ,직무스트레스 ,수퍼비전 ,교육훈련 ,Sexual Assault ,Practitioners ,Secondary Traumatic stress,Counseling ,Job Stress ,Supervision ,Educational Training


초록

우리사회에서 성폭력 피해가 늘어남에 따라 성폭력 피해자 지원 종사자는 피해자의 스트레스와 트라우마에 높은 수준으로 노출되고 있다. 이에 따라, 종사자가 경험하는 이차적 외상스트레스는 심각해지고 있다. 그러나 피해자를 지원하는 종사자에 대한 전국 규모의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며, 이차적 외상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 또한 부족하다. 본 연구는 전국의 성폭력 피해자 지원기관 전체를 대상으로 실시한『성폭력 피해자 맞춤형 치료․회복 지원을 위한 전문인력 양성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자료 중 종사자를 대상으로 조사한 설문 데이터(N=482)를 분석하여, 종사자가 경험하는 이차적 외상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사회적 요인, 직무 관련 요인, 교육 관련 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직무 관련 요인으로 상담 지원 업무를 하거나, 직무스트레스 수준이 높을수록 이차적 외상스트레스 수준이 유의하게 높았다. 교육 관련 요인으로는, 세미나․스터디 등의 교육이 이차적 외상스트레스와 관련이 없었던 반면, 사례회의․수퍼비전은 낮은 이차적 외상스트레스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상담 지원 종사자를 대상으로 직무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서비스 및 사례중심 교육이 필요함을 제안한다. 이를 근거로 성폭력 피해자 지원 종사자의 이차적 외상스트레스를 경감시키기 위한 제도적 방안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3228 20 죽음과 죽어감 생명윤리에 대한 연구 : 연명 치료 중단을 중심으로 / 김태성 2009  130
3227 9 보건의료 기능손상 노인을 돌보는 주보호자의 자기 돌봄 활동이 자신의 신체·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 김정은 2017  130
3226 9 보건의료 디지털헬스케어 분야에서의 빅데이터 활용 동향 / 박길하 2017  130
3225 15 유전학 유전체 연구·정밀의료 관련 국제규범 및 해외 법제 현황과 시사점 / 이서형 2017  130
3224 2 생명윤리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의식 영향요인 / 배진현 2018  130
3223 14 재생산 기술 IVF로 세쌍둥이를 임신한 여성의 임신오조 치험1례 / 김정아 외 2015  130
3222 8 환자 의사 관계 사회행동과학연구(SBR)의 연구자-연구대상자 관계에서 도덕 판단 원리로서 ‘공감’의 의의 / 김진경 외 2016  130
3221 1 윤리학 인공지능 시대에 있어서 인간에 대한 철학적 성찰/ 김영례 2018  130
3220 20 죽음과 죽어감 레비나스의 죽음론에 관한 한 연구 / 김연숙 2019  130
3219 2 생명윤리 [시론] 생명의 가치와 삶의 질/정재우 2016  131
3218 19 장기 조직 이식 미국 정부, 장기이식 연구에 2억 달러 투자 / 안형준 2016  131
3217 18 인체실험 마취와 관련된 임상시험에의 참여 요구 시 수술이 예정된 환자가 받는 심리적 부담이 환자의 기질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 김상덕 2012  131
3216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와 철학 상담 / 정영기 외 2017  131
3215 9 보건의료 위험분담제도의 국내보험제도 안착을 위한 선결 조건에 대한 고찰 / 이상은 2016  131
» 17 신경과학 성폭력 피해자 지원 종사자가 경험하는 이차적 외상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 김지은 외 2017  131
3213 15 유전학 의과학기술에서 본 생명과 행복 - 최근 발달된 크리스퍼기술을 중심으로 / 남명진 2018  131
3212 20 죽음과 죽어감 고령사회와 죽음교육의 사회학 / 서이종 2016  131
3211 1 윤리학 개인정보 보호 및 활용에 대한 법적 고찰 / 한명수 2016  131
3210 8 환자 의사 관계 미국에서의 의료과오상 손해배상제도의 개혁과 시사점 / 봉영준 2017  131
3209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 중과실(重過失)에 대한 법적 고찰 / 백경희 외 2017  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