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95
발행년 : 2018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한양사이버대학교 휴먼서비스대학원 : 상담및임상심리전공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659320 
긍정심리 집단상담이 마이스터고등학교 학생의 정서안정 및 자기결정성에 미치는 효과

= The Effects of Positive Psychological Group Counseling on the Emotional Stability and Self-Determination of Meister High School Students

  • 저자 : 박기남
  • 형태사항 : 113 ; 26 cm
  • 일반주기 : 지도교수: 박원주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석사)-- 한양사이버대학교 휴먼서비스대학원 : 상담및임상심리전공 상담및임상심리 2018.2
  • 발행국 : 서울
  • 출판년 : 2018
  • 주제어 : 긍정심리, 마이스터, 자기결정성, 정서안정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긍정심리 집단상담이 특수목적 고등학교인 마이스터 고등학교 학생의 정서안정과 자기결정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경상북도 소재의 P공업 고등학교 1학년(실험집단 81명, 통제집단 59명)140명이다. 프로그램은 2017년 4월부터 6월까지 주1회, 총8회기를 진행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정서안정과 자기결정성 척도를 사용하였고, 실험집단은 사전, 사후, 추후 검사를 통제집단은 사전,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사전 동질성 검증을 위해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고, 집단 내 프로그램 효과 지속성 검증을 위해 대응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각 집단의 사전-사후 검사의 집단과 측정시기에 따른 차이분석을 위하여 반복측정 분산분석(Repeated Measures ANOVA)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긍정심리 집단상담을 실시한 실험집단의 정서안정과 자기결정성은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통제집단의 경우 자기결정성은 유의한 향상을 보이지 않았으나 정서안정은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이 결과를 토대로 연구에서의 논의를 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첫째, 학교 특성상 스트레스와 학교 적응에 어려움이 많은 학생들에게 자기결정성을 향상하여 내적동기를 높였다. 둘째, 긍정심리 집단상담을 통해 서로를 이해하며 같이 고민하고 원활한 대인관계를 맺으며 더 나아가 사회의 구성원으로 성장할 수 있는 경험을 제공하였다. 셋째, 마이스터 고등학교 학생들에게 직접적인 개입을 함으로써 심리적, 정서적인 접근의 기틀을 마련하였다. 넷째, 선행연구에서는 학급단위의 소규모의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으나 본 연구는 학교 현장에서 대규모 학급 단위로 적용하여 검증하였으므로 사회적 지지인 교육 환경 조성에 기여 하였다. 다섯째, 긍정심리 집단상담의 궁극적인 목표는 긍정, 행복, 감사 등을 활용해 실제로 체험하고 증진하는 활동을 통해 ‘행복한 삶’을 경험하는 것이다. 이러한 경험이 정서안정과 자기결정성에 국한되지 않고 우울이나 학교폭력 등의 다양한 측면에서의 부적응 행동을 예방할 수 있는 긍정적 영향을 주었다.

목차 (Table of Contents)
I.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01
II. 이론적 배경 04
1. 마이스터 고등학교 04
2. 긍정심리학 09
3. 정서안정 17
4. 자기결정성 21
5. 연구 문제 27
III. 연구 방법 28
1. 연구 대상 28
2. 실험 설계 29
3. 측정 도구 30
4. 연구 절차 32
5. 자료 분석 37
IV. 연구 결과 38
1.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동질성 검증 결과 38
2. 실험집단의 사전-사후-추후 측정치 차이 비교 38
3. 통제집단의 사전-사후 측정치 차이 비교 40
4.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차이 비교 42
V. 논의 45
참고문헌 53
부록 61
Abstract 101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95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추정적 의사 / 김필수 2012  61135
94 8 환자 의사 관계 자율성 존중의 원칙 : 정치적 이념과 철학적 이념 / 최경석 2015  52562
93 8 환자 의사 관계 독일의 환자사전의사표시법 / 이석배 2010  19874
92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의 기준과 절차 : 대법원 2009. 5. 21. 선고 2009다17417 판결이 가지는 문제점을 중심으로 / 이석배 2009  7190
91 12 낙태 사례연구 : 영국,미국,독일,프랑스의 낙태 규제 입법과 판례에 대한 비교법적 고찰 / 이희훈 2014  4749
90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의 동의와 자율성의 법적ㆍ윤리적 고찰 / 이한주 2014  3972
89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후견주의와 환자의 자기결정권 - 의사의 설명의무를 중심으로 - / 이석배 2007  3836
88 8 환자 의사 관계 생명윤리에서 생명권과 자기결정권 / 이석배 2007  3698
87 1 윤리학 헌법상 행복추구권의 의미와 실현구조 / 장영수 2017  2072
86 20 죽음과 죽어감 무의미한 연명치료 중단과 자기 결정에 대한 말기 암 환자, 가족 및 의료진의 태도 / 김은숙 2011  1334
85 8 환자 의사 관계 설명의무와 지도의무 -설명의무에 관한 최근 판례의 동향- / 안법영, 백경희 2013  1323
84 20 죽음과 죽어감 우리나라의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판례 평석 : 대법원 2009다17417 판결 및 헌법재판소 2008헌마385 결정을 중심으로 / 이희훈 2013  1229
83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중단의 형법이론적 근거 / 손미숙 2016  1185
82 12 낙태 합리적인 낙태규제 방안 : 낙태는 자유인가 살인인가? / 김재윤 2013  974
81 11 피임 윤리적 관점에서 본 응급피임약/최진일 2015  961
80 20 죽음과 죽어감 생명권의 헌법적 근거와 연명치료중단에서의 생명권의 보호범위 / 엄주희 2013  876
79 12 낙태 논문 : 낙태 비범죄화론 / 조국 2013  871
78 20 죽음과 죽어감 ‘업무로서 행해지는 자살방조’의 범죄화 / 김성규 2017  677
77 20 죽음과 죽어감 죽음에 관한 자기결정권과 존엄사 / 김은철, 김태일 2013  663
76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술에 있어 Informed Consent에 관한 연구 : 우리나라와 영국의 동의 체계 및 동의 서식에 대한 비교를 중심으로 / 김은애 2012  6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