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8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석사)-- 성결대학교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716110 


요양보호사의 긍정심리자본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 : 직무만족의 매개효과 검증 


= The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service quality and mediating effects of job satisfaction


  • 저자 : 이문재
  • 형태사항 : 89페이지 ; 26 cm
  • 일반주기 : 지도교수: 조춘범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석사)-- 성결대학교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2018.2
  • 발행국 : 경기도
  • 출판년 : 2018
  • 주제어 : 긍정심리자본, 서비스 질, 직무만족

초록


요양보호사의 긍정심리자본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과 직무만족의 매개효과 검증 성결대학교 일반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이 문 재 본 연구는 장기요양보호 현장요양보호사들의 심리적요인과 서비스 질, 직무만족간의 관계를 실증분석을 통해 파악하여 서비스 질 향상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해 변화하는 장기요양환경에 대처하고 서비스 질을 개선,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의 모색과 함께 정책적·실무적 함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을 위해 경기도 안산시, 안양시, 부천시, 광명시에 소재하는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를 대상으로 판단표본추출과 할당표본추출을 통해 총 550부의 현장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첫째, 통합적 관점의 긍정심리자본이 직무만족과 서비스 질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둘째, 긍정심리자본과 직무만족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셋째, 탐색적 차원에서 긍정심리자본과 서비스 질 간을 직무만족이 매개하는지를 분석하였다. 자료들은 연구문제에 따라 SPSS 23.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상관관계분석, t-test와 ANOVA(분산분석)검증, 중다회귀분석과 Aroian 매개효과 검증이 실시되었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 특성과 긍정심리자본, 서비스 질, 직무만족을 조사한 결과 긍정심리자본에서는 근무년수, 근무시간, 기관규모 및 유형, 경제수준이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서비스 질에서는 근무년수, 기관규모 및 유형, 경제수준 등이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직무만족에서는 최종학력과 기관규모 및 유형, 경제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각 변인간의 상관관계 분석결과 긍정심리자본과 직무만족, 긍정심리자본과 서비스 질, 직무만족과 서비스 질 간에 모두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과 주요변인 간의 상관관계는, 학력과 직무만족이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근무년수와 기관규모 및 유형이 긍정심리자본과 서비스 질 간에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경제수준은 모든 주요변인과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났지만 성별, 연령, 근무시간은 주요변인과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각 변인간의 영향요인은 인구사회학적 특성 중 최종학력과 직무만족간이 부적(-)영향, 연령과 서비스 질 간이 부적(-)영향, 경제수준과 서비스 질 간이 정적(+) 영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요양보호사의 심리적 자원촉진을 제안하고자 한다. 먼저 심리적 자원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중 최종학력이 유의미한 영향을 보임에 따라 센터나 고충상담창구 등을 통한 세부적 지원시스템이 필요하다. 또한 긍정심리자본과 서비스 질 간의 결과, 연령과 경제수준이 서비스 질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요양보호사에 대한 금융지원이나 세제완화 등의 개선이 요구된다. 이와 함께 고 연령 요양보호사에 대한 보완책도 함께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 주요어: 긍정심리자본, 서비스 질, 직무만족




목 차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목적 4

Ⅱ. 이론적 배경 6

1. 긍정심리자본 6

1) 긍정심리자본의 개념 6

2) 긍정심리자본의 구성요소 9

2. 서비스의 질 16

1) 서비스 질 개념 16

2) 서비스 질의 구성요소 18

3. 직무만족 22

1) 직무만족의 개념 22

2) 직무만족의 구성요소 24

4. 이론적 관점 28

1) 희망이론(hope Theory) 29

2) 레질리언스 이론(resilience Theory) 30

3) 조직시민행동 이론(Organnizational Citizen Behavior Theory) 31

5. 선행연구 33

1) 긍정심리자본과 서비스 질 관계 33

2) 긍정심리자본과 직무만족의 관계 34

3) 직무만족과 서비스 질 관계 35

Ⅲ. 연구방법 38

1. 연구모형 및 연구가설 38

1) 연구모형 38

2) 연구가설 39

2. 측정도구 39

1) 독립변수: 요양보호사의 긍정심리자본(PCQ척도) 39

2) 종속변수: 서비스 질 척도(SERVQUAL척도) 39

3) 매개변수: 직무만족척도 (JDI척도) 40

4) 설문지표 41

3. 자료표집방법 42

4. 자료분석방법 43

Ⅳ. 연구결과 44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44

2. 주요변수의 기술통계분석 47

1) 긍정심리자본 47

2) 서비스 질 47

3) 직무만족 48

3.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각 변인들의 차이 49

1) 일반적 특성에 따른 긍정심리자본 차이 49

2) 일반적 특성에 따른 서비스 질 차이 52

3)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만족 차이 55

4. 주요변인간의 상관관계 58

5. 모형검증을 위한 회귀분석 60

1) 긍정심리자본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60

2) 긍정심리자본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 61

3) 긍정심리자본과 직무만족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 62

4) Aroian 매개효과 검증 65

Ⅴ. 결론 및 제언 67

1. 결론 67

1) 연구결과 67

2) 연구의 함의 70

2. 제언 71

참고문헌 73

부록 80

Abstract 87

표 목차

<표 2-1> 서비스 질의 구성요인 20

<표 2-2> 직무만족의 구성요인 26

<표 3-1> 설문지표 41

<표 3-2> 설문조사개요 42

<표 4-1> 일반적 특성분포 46

<표 4-2> 긍정심리자본 47

<표 4-3> 서비스 질 48

<표 4-4> 직무만족 48

<표 4-5>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긍정심리자본의 차이 51

<표 4-6>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서비스 질의 차이 54

<표 4-7>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직무만족의 차이 57

<표 4-8> 주요변인간의 상관관계 58

<표 4-9> 긍정심리자본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과 직무만족의 매개효과 검증 64

<표 4-10> 매개변인검증 3단계 66

그림 목차

[그림 2-1] 경쟁력 향상을 위한 자본개념의 확장 8

[그림 3-1] 연구모형 38

[그림 4-1] 매개모형검증 65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3088 15 유전학 한국의 인간 유전체 연구에 있어 개인 프라이버시권과 국제데이터공유원칙 적용의 문제점 / 김한나 외 2015  306
3087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환자의 삶의 질과 치료지시 이행 / 두윤숙 2005  306
3086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 법제화의 전제조건에 대한 검토 -세브란스병원사건에 대한 법원 판결의 의미와 시사점- / 이상용 2012  306
3085 2 생명윤리 의학교육에서의 사회적 역량에 대한 우리나라 의사들의 인식 / 허윤정, 권복규, 이옥진, 안덕선 2013  306
3084 19 장기 조직 이식 충북대학교 의과대학에 등록한 시신기증인들의 사회적 특성 / 황선종, 이은영, 허영도, 허석열, 손현준 2012  305
3083 5 과학 기술 사회 4차 산업혁명 AI시대 인성교육의 방법과 전망/유성선 2018  304
3082 22 동물복지 안자극 평가를 위한 동물시험법과 동물대체시험법의 경제성평가 : 화장품 분야에 대한 Cost Analysis / 이민영 2016  304
3081 9 보건의료 건강보험청구 자료를 이용한 치매질환과 다른 질환 간 연관성 분석 / 이지현 2017  304
3080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권구선 2012  304
3079 5 과학 기술 사회 리스크 거버넌스에서 리스크 개념 및 영역의 확장과 그 효과 / 서정임 2013  304
3078 9 보건의료 의료정보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개인 맞춤형 유의질병 및 병원정보 제공 앱 서비스 개발 / 김성현 2016  303
3077 20 죽음과 죽어감 기독교적 죽음 이해와 죽음 교육에 대한 목회적 고찰 / 김영계 2016  303
3076 1 윤리학 사회적 정의(Justice)와 기후변화에 관한 롤즈의 관점과 그에 대한 과정 철학적 이해 / 정윤승 2015  303
3075 9 보건의료 의료 3D 프린팅 기술의 전망 및 소아치과분야에서의 활용 / 이상호 2016  303
3074 2 생명윤리 생명(관리)권력과 생명정치 / 양운덕 2011  303
3073 9 보건의료 메르스(MERS) 사태 이후 병원 공간 변화 방향 연구 : 300병상 이상 종합병원을 중심으로 / 이정열 2017  302
3072 10 성/젠더 청소년 미혼모의 모성경험에 관한 연구 / 임승미 2017  302
3071 2 생명윤리 생명의료윤리학의 덕으로의 이행 / 김진경 2004  302
3070 18 인체실험 초등 생명윤리 교육을 위한 모의 IRB 수업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 피험자 설명서를 중심으로 / 장혜림 2011  302
3069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과 호스피스 완화의료/장윤정 2015  3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