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10
발행년 : 2018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박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 생활문화소비자학과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731844 
노년기 삶의 질에 대한 연구

• 저자 : 권미경
• 형태사항 : 26 cm
• 일반주기 : 지도교수: 허경옥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박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 생활문화소비자학과 2018. 2
• 발행국 : 서울
• 출판년 : 2018

• 초록 (Abstract)
• 논문개요 빠르게 진행되는 고령화 속에서 우리 사회의 노인들은 활기찬 노후와 적극적인 활동을 기대하고 있다. 그러나 노인들은 더 이상 은퇴 후 시간을 즐기며 한가롭게 지내며 소일하는 집단이 아니다. 한국인의 평균 수명은 길어지고 있고 계속되는 경제 불황의 늪에서 청·장년 할 것 없이 경제활동에서 내 몰리고 있으며 노인들은 길어진 수명이 달갑지 만은 않은 것이 오늘의 현실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그 어떤 세대보다 노인들은 노후의 소득보장이 불확실하며 크고 작은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다. 노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여러 요인들 보면 노년기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것이 쉽지 않은 현실에서 대다수의 노인들이 힘든 노년기를 보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우리 모두는 노인이 되지만 단순한 장수를 원하지는 않고 있으며 어느 세대보다도 활발하게 삶을 이어가는 성공적인 노후를 계획하고 싶어 한다

목차

Ⅰ. 서 론 1
1. 연구배경 1
2. 연구의 내용 4
Ⅱ. 노년기의 특성 6
1. 노인의 특성 6
1) 노인의 개념 6
2) 노인인구의 현황 8
3) 노인의 생활실태 12
(1) 사회경제적 측면 13
(2) 신체적 측면 17
(3) 심리·정서적 측면 19
2. 노인의 경제활동 20
1) 노인의 경제활동 참여 현황 20
2) 노인 경제활동의 종류 23
3) 노인 경제활동의 기능 25
(1) 심리적 안정감 유지 26
(2) 생계유지 27
(3) 사회활동과 사회관계망 유지 28
(4) 건강유지 29
Ⅲ. 노인 삶의 질 관련 요인 31
1. 삶의 질의 개념 31
2. 노년기 삶의 질 관련 요인 32
1) 인구 사회학적 요인 33
(1) 연령과 성별 33
(2) 결혼 상태와 가족요인 34
(3) 교육수준 36
(4) 종교 38
2) 신체적, 정신적 건강요인 38
(1) 신체적 건강요인 39
(2) 정신적 건강요인 41
3) 사회적 요인 48
(1) 사회적 지지 48
(2) 봉사활동 52
(3) 여가활동 53
4) 경제적 요인 55
(1) 경제 상태 55
(2) 노인의 빈곤 58
5) 생활환경적 요인 62
(1) 주거요인 63
(2) 의료시설의 접근성 65
(3) 정보화 66
Ⅳ. 노년기 삶의 질 개선 방안 68
1. 노년기 삶의 질 개선 방안 68
1) 노인의 소득창출 69
2) 노인의 건강유지 70
3) 노인의 주거 공간보장 71
4) 노인의 여가활동과 사회참여 73
(1) 노인복지관 74
(2) 경로당 75
(3) 노인교실 77
2. 노년기 지원 제도와 정책고찰 79
1) 임금 피크제 79
2) 주택연금 81
3) 재가복지서비스 82
Ⅴ. 결론 및 제언 85
1. 결론 85
2. 제언 87
<참고문헌> 90
ABSTRACT (영문초록) 106.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10 1 윤리학 결혼이주여성 배우자의 문화적응스트레스와 가족건강성의 관계에서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 / 이미경 2018  258
» 1 윤리학 노년기 삶의 질에 대한 연구 / 권미경 2018  566
8 10 성/젠더 성적소수자의 인권형성 과정과 사회복지의 역할 연구 / 남궁선 2008  410
7 20 죽음과 죽어감 자살에 대한 인식과 태도 : 부정적 감정 수용과 자살 리터러시의 역할에 대한 탐색 2017  442
6 13 인구 저출산에 따른 국가의 대응정책에 관한 연구 / 정연숙 2006  377
5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수혜자의 이식 스트레스와 사회적응에 관한 연구 :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함아름 2012  355
4 20 죽음과 죽어감 사전의료의향서 작성에 관한 가족들의 선택방안 /양인권 2015  361
3 20 죽음과 죽어감 일반인의 심폐소생술 금지에 대한 인식과 태도 조사연구 / 신희숙 2013  900
2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 결정에 있어 사회복지사가 고려해야 할 윤리적 원칙들에 대한 연구 / 한민수 2003  3152
1 9 보건의료 보건의료법체계를 고려한 장애아동 지원 정책 -장애아동 「발달재활서비스」사업을 중심으로- / 김소연, 배현아 2013  2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