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69
발행년 : 2015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석사)-- 차의과학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 보건학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686359 

국내외 임상시험 전문인력 인증제에 대한 임상시험모니터요원(CRA)과 임상연구코디네이터(CRC)의 인식비교 


= Awareness on domestic and international certification for clinical research professionals(CRPs): clinical research associates(CRAs) versus clinical research coordinators(CRCs)


• 저자 : 김선희

• 형태사항 : 26 cm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석사)-- 차의과학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 보건학 전공 2015.2

• 발행국 : 경기도

• 출판년 : 2015

• 주제어 : 임상시험 전문인력, 인증, 인식, CRA, CRC, ACRP, SoCRA, 한국임상시험산업본부


초록


이 연구는 국내외에서 인증이 부여되고 있는 임상시험 전문인력 인증제에 대하여 CRA와 CRC의 인식도를 조사하여 두 직군 간의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임상시험 전문인력 인증제의 필요성과 인증제에 대한 의견 분석을 통해 향후 국내 임상시험 전문인력 인증제의 활성화 방향을 제시함에 목적을 두었다. 임상시험 전문인력 인증제에 대한 CRA와 CRC의 인식도를 조사하기 위해 서울특별시에 소재한 국내 CRO와 외국계 CRO, 대형 종합병원 임상시험센터에서 근무하는 CRA와 CRC에게 설문 조사하였으며, 회수된 설문지 중 최종적으로 108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분석 결과, 국외 인증제에 대해서 CRA 직군에 비해 CRC 직군이 더 많이 인식하고 있었고 국내 인증제에 대해서는 두 직군 모두 잘 알고 있었다. CRA 직군에 비해 CRC 직군에서 인증제에 대해 더 많이 인식했던 만큼 응시한 횟수나 준비도 면에서도 CRC가 더 많이 응시하거나 준비하고 있었으며 결과적으로 CRA에 비해 CRC가 인증제 자격도 더 많이 보유하고 있었다. 임상시험 전문인력 인증제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두 직군 모두 필요성을 느끼고 있었고, 인증제 보유가 실제업무에 도움이 된다고 하였으나 인증제 자격 보유자가 실제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 잘한다고 생각하지는 않았다. 이는 한국임상시험산업본부의 인증시험이 현재까지는 1단계(낮은 단계)인 Qualified만 시행되었고, 이러한 낮은 단계의 인증자격 보유자가 평가 대상에 포함되었기 때문으로 생각해 볼 수 있었다. 그리고, 연봉협상에서는 두 직군 모두 자격보유가 전혀 도움이 되지 않았고, 취업, 이직, 승진, 인사고과 등의 현실적인 측면에서 CRC에 비해 CRA는 거의 도움을 받지 못하는 것으로 조사되어 인증제 자격 시험에 대한 준비/관심 부족이나 자격취득에 대한 동기부여가 되지 못하는 이유를 찾을 수 있었다. 국내 임상시험 전문인력 인증제가 실제적인 임상 지식이나 경험 등 인증직능의 질적 수준을 반영할 지표로 정착하기 위해 실제업무와 연계된 변별력 있는 평가문항을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인증제 자격 취득 후 이를 유지 또는 갱신하기 위해 보수교육 외에도 이에 상응하는 오프라인, 온라인 교육프로그램 개발도 필요할 것이다. 임상시험에서 직면할 수 있는 다양한 이슈를 공유하고 해결방법에 대한 자문을 구할 수 있는 온라인 정보공유의 장을 구축하고 더 나아가 ACRP, SoCRA 총회와 같은 정기 학회 운영을 통해 보수교육이나 임상시험 관련 교육을 제공하고 교육 평점을 부여함으로써 인증제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을 유도하는 방안도 제안해 본다.


목차


I. 서론 1

1. 연구 배경 및 목적 1

가. 임상시험 전문인력의 중요성 1

(1) 임상시험 전문인력으로서의 CRC 2

(2) 임상시험 전문인력으로서의 CRA 3

나. 연구 목적 4

2. 용어의 정의 6

II. 연구 방법 7

1. 연구 대상 7

2. 연구 도구 7

3. 분석 방법 8

III. 국내외 임상시험 전문인력 인증제 비교 및 필요성 9

1. 국내외 임상시험 전문인력 인증제 비교 9

가. 인증 직능 비교 12

나. 응시 자격 비교 13

다. 기타 사항 비교 17

2. 임상시험 전문인력 인증제의 필요성 19

IV. 결과 20

1. 일반적인 특성 20

2. 임상시험 전문인력 인증제에 대한 인식 24

가. 임상시험 전문인력 인증제에 대한 CRA와 CRC의 인식도 24

나. 인식도에 따른 임상시험 전문인력 인증제 자격 보유 현황 26

다. 임상시험 전문인력 인증제에 대한 의견 30

(1) 자격 보유 전 – 준비 과정 측면 30

(2) 자격 보유 후 -인증제 자격의 효용성 32

(3) 인증제에 대한 관심 여부에 따른 효용성 35

V. 결론 및 고찰 37

참고문헌 41

Abstract 44

부록 1. 설문지 문항 구성 참고문헌 46

부록 2. 설문지 49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69 23 연구윤리 임상심리 설문지 연구와 관련된 연구윤리 및 법규들 / 문성원 2019  268
68 17 신경과학 정신건강복지법과 지역사회 정신건강서비스 /김혜연 2018  142
67 20 죽음과 죽어감 임상간호사의 도덕적 민감성과 죽음에 대한 인식이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윤연정 2018  300
66 4 보건의료 철학 정신건강복지법 발효에 따른 정신전문간호사의 역할규명을 위한 직무분석 / 조분선 2018  1501
» 18 인체실험 국내외 임상시험 전문인력 인증제에 대한 임상시험모니터요원(CRA)과 임상연구코디네이터(CRC)의 인식비교/김선희 2015  570
64 18 인체실험 임상시험 단계의 의료행위에 대한 설명의무 위반과 손해배상의 범위 / 고은섭 2017  243
63 18 인체실험 임상윤리상담과 병원윤리위원회 / 최경석 2017  121
62 14 재생산 기술 여성 난임환자 20례의 임상결과보고 / 조성희 2015  450
61 18 인체실험 임상연구의 통상진료비용에 대한 건강보험 적용 타당성 / 정설희, 조재영 2017  203
60 18 인체실험 임상시험용역에 대한 부가가치세 면세폐지의 타당성 검토 / 김찬섭 2016  23668
59 15 유전학 유전자재조합의약품 동등생물의약품의 품목별 비임상 및 임상 평가 가이드라인에 관한 연구 / 강소영 2013  288
58 9 보건의료 바이오시밀러 개발에 필요한 통계방법들에 대한 고찰 / 강승호 2012  199
57 18 인체실험 임상등급 인간 배아줄기세포주 확립 연구 동향 / 설혜원 외 2014  316
56 18 인체실험 임상 적용을 위한 인간 배아줄기세포 배양 환경에 관한 연구 동향 / 정주원 외 2015  138
55 9 보건의료 보건관련 교수들의 생물테러 교육현황에 관한 연구 : 응급구조학, 임상병리학과 기타 보건관련학교수를 대상으로 / 천병철 외 2012  298
54 15 유전학 임상으로부터 분리된 Candida albicans의 MLST를 통한 유전적 변이 분석 / 김희진 2016  316
53 20 죽음과 죽어감 심폐소생술금지 결정 시점에서의 임상적 특성: 일개 종합병원 종양내과 사망한 암환자를 대상으로 / 강나영 외 2016  485
52 10 성/젠더 위해 의료사건 예방을 위한 의료감정의 계량적 접근 / 윤성철 2016  359
51 18 인체실험 임상시험에서 연구자의 주의의무 / 김수영 2015  206
50 9 보건의료 환자안전법과 임상윤리에 관한 고찰 / 박재훈 2015  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