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88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美國憲法硏究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048469 
낙태절차에 관한 미국 연방대법원 결정이 우리나라 낙태규제에 주는 시사점
= The Implication of US Supreme Court Decision on Abortion Procedures to Korean Abortion Control


• 저자명 : 오영인(Oh Young-In) ,이얼(Lee Eol)
• 학술지명 : 美國憲法硏究(Studies on American constitution)
• 권호사항 : Vol.28 No.3 [2017]
• 발행처 : 미국헌법학회
• 자료유형 : 학술저널
• 수록면 : 151-185(35쪽)
• 언어 : Korean
• 발행년도 : 2017년
• 등재정보 : KCI등재
• 주제어 :  낙태 ,자기결정권 ,모자보건법 ,프라이버시 ,부당한 부담 심사기준 ,abortion ,self-determination ,mother and child health Law ,privacy,undue burden standard

초록

낙태문제는 역사적으로나 세계적으로 민감한 문제이며, 세계 각국은 태아의 생명과 임신부의 낙태자기결정권의 조화로운 보호 방안을 강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 법률로써 낙태를 엄격히 금지하고 있지만, 현실적으로는 낙태율이 높은 기이한 상황에 놓여 있다. 이는 우리 사회에서 낙태에 대한 담론이 현저히 부족하기 때문이며, 이로 인해 태아의 생명과 임신부의 건강이 모두 보호받지 못하고 있다. 반면, 미국의 경우 1973년 Roe v. Wade결정에서 임신부의 낙태할 권리가 헌법상의 기본권으로서 인정받은 이래, 다양한 낙태규제 절차가 마련되었다. 연방대법원은 이들 낙태규제 절차들의 위헌 여부를 심사함으로써 합리적인 낙태규제 절차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특히 2013년 Whole Woman’s Health v. Hellerstedt 사건에서 연방대법원은 ‘부당한 부담 심사기준’을 공고히 함으로써 임신부의 낙태 선택에 부당한 부담을 주는 조치는 위헌이라 결정하였다.
낙태를 예외적으로 허용하고 있는 우리나라 모자보건법은 매우 경직되어 현실적으로 발생하는 다양한 낙태의 태양을 유연하게 포섭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미국의 다양한 낙태규제 절차에 대한 위헌심사 결과를 참고하여 사회적으로 수용 가능한 범위 내에서 합리적으로 개선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미국에서의 낙태 규제 현황
Ⅲ. 우리나라에서의 낙태규제 현황
Ⅳ. 우리나라 낙태규제의 개선 방안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28 20 죽음과 죽어감 의사의 치료중단과 환자의 자기결정권 / 김혁돈 2006  329
27 15 유전학 유전자진단정보와 보험법적 문제 / 박은경 2013  327
26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중단의 허용범위 제한에 관한 헌법적 검토 / 김현귀 2015  320
25 20 죽음과 죽어감 "자살예방 및 생명존중문화조성을 위한 법률"에 대한 연구 / 박종익 2012  319
24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 법제화의 전제조건에 대한 검토 -세브란스병원사건에 대한 법원 판결의 의미와 시사점- / 이상용 2012  306
23 20 죽음과 죽어감 무의미한 연명치료의 중단: 정당화가능성과 방향 / 이주희 2012  288
22 20 죽음과 죽어감 타이완 「안녕완화의료조례」 법제화의 시사점 / 양정연 2014  283
21 20 죽음과 죽어감 대만 『환자 자주 권리법』에 대한 연구 / 엄주희 2019  264
20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 결정에서 '환자의 자기결정권'의 한계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손보미 2015  253
19 15 유전학 생명윤리법 상 인체유래물 연구를 위한 심의 · 동의제도의 법적 검토 / 이한주 2015  242
18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법제화 방향 및 기준에 대한 소고 / 장욱 2013  239
17 2 생명윤리 생명윤리문화에 있어서 낙태에 대한 소고 / 정화성 2018  232
16 9 보건의료 의사의 설명의무와 형사책임 / 김혁돈 2017  223
» 12 낙태 낙태절차에 관한 미국 연방대법원 결정이 우리나라 낙태규제에 주는 시사점 / 오영인 2017  195
14 9 보건의료 2014년 주요 의료판결 분석/정혜승 외 2015  194
13 20 죽음과 죽어감 공법분야 투고논문 : 연명 중단의 고려 시점에 대한 분석 / 김필수 2013  190
12 20 죽음과 죽어감 환자의 연명의료중단결정에 관한 형사법적 연구 : 연명의료결정법을 중심으로/조경혜 2017  169
11 1 윤리학 형사사법정보의 이용,제공 실태 및 입법적 개선방안 / 김기범 2016  153
10 20 죽음과 죽어감 사전의료의향서= Advanced Directive /이영규 2017  152
9 1 윤리학 장애인복지에서 사회적시민권의 이론적 적용 가능성 고찰 / 신유리 외 2017  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