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79
발행년 : 2018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석사)-- 가톨릭대학교 글로벌융합대학원 : 행정학과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671318 
심폐소생술 금지(DNR) 결정의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Impact Determinants of DNR Decisions

• 저자 : 조충희
• 형태사항 : viii, 83p ; 26 cm
• 일반주기 : 지도교수: 김관보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석사)-- 가톨릭대학교 글로벌융합대학원 : 행정학과 의료 및 보건행정 전공 2018.2
• 발행국 : 경기도
• 출판년 : 2018
• 주제어 : 심폐소생술금지, DNR 인식도, DNR결정 영향요인, DNR 법제도적 요인, 연명의료결정

본 연구의 목적은 의사 및 보호자가 심폐소생술 금지를 결정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인식도 조사를 통해 향후 객관적인 심폐소생술 금지에 관한 지침서를 마련하고, 심폐소생술금지에 대한 제도화로 환자의 권리와 존엄을 확대함으로써 심폐소생술금지에 대한 사회적 합의 도출과 함께 관련 정책 및 제도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함에 있다. 연구모형은 독립변수인 의사요인, 보호자 요인, 법제도적 요인, 사회문화적 요인들과 종속변수인 DNR 결정 인식도로 설계되었으며, 이를 토대로 네 가지 가설을 설정하였다. 연구대상은 C대학교 부속병원에 근무하고 있는 전공의, 임상 교수 및 동병원의 일반 병동 및 중환자실에 입원해 있는 환자의 보호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총 140부를 배포하여 전수인 140부(회수율 100%)를 분석에 이용하였으며,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설 검증결과 법․ 제도적 요인만이 DNR 결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반면, 의사 요인, 환자 보호자의 인식, 사회·문화적 요인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전체 평균값 분석 결과 종속변수의 평균값이 가장 높게 나타나 응답자들의 DNR 결정에 대한 인식이 매우 높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의사와 환자·보호자 집단 간 평균값 비교 분석 결과 종속변수인 DNR 결정에 대한 인식도는 환자·보호자 집단이 높게 나타났으며, 독립변수인 법·제도적 요인과 사회·문화적 요인의 인식도는 의사 집단이 높게 나타났다. 넷째, DNR 경험 여부에 따른 평균값 비교 분석 결과 종속변수인 DNR 결정의 평균값 차이가 높게 나타났으며, DNR 경험이 있는 집단의 인식도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섯째, 종속변수 DNR 결정 인식도에는 법·제도적 요인이 영향을 미치고 있어, DNR 결정에 관한 명확한 법규와 제도적 절차의 마련이 선행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른 주요 정책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근거가 명확하고 표준화된 DNR 관련 교육이 의사의 정규 교육과정에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현실 상황에 적합한 DNR 관련 법·제도의 개정 및 수립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셋째, 법제도적 차원에서 환자·보호자를 대상으로 한 DNR 관련 정보제공 및 교육의 시행과 지원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DNR에 관한 객관적이면서도 윤리적인 지침이 필요하다. 향후 본 연구를 바탕으로 연구의 대상의 표본수를 늘리고 보호자와 의사 뿐 아니라 환자 및 간호사 등 다양한 군들을 포함한 후속연구가 진행된다면 보다 더 DNR 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연구가 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목차

제3절 심폐소생술 금지(DNR)에 대한 인식과 태도 및 결정요인 12
1. 심폐소생술 금지(DNR)에 대한 인식 및 태도 12
2. 심폐소생술 금지(DNR)의 결정 요인들 13
1) 의사 요인 14
2) 보호자 요인 15
3) 법·제도적 요인 16
4) 사회·문화적 요인 17
5) DNR 결정 인식도 19
3. 선행연구의 시사점 21
제3장 연구모형과 연구설계 22
제1절 연구모형 및 가설설정 22
1. 연구모형 22
2. 가설 설정 23
제2절 조사설계 24
1. 연구모형 개념변수에 대한 조작적 정의 및 측정 24
1) 심폐소생술금지(DNR) 결정에 대한 인식도에 영향을 미치는 의사요인 24
2) 심폐소생술금지(DNR) 결정에 대한 인식도에 영향을 미치는 환자의 보호자 요 인 25
3) 심폐소생술금지(DNR) 결정에 대한 인식도에 영향을 미치는 법제도적 요인 25
4) 심폐소생술금지(DNR) 결정에 대한 인식도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문화적 요 인 25
5) 심폐소생술금지(DNR) 결정에 대한 인식도 26
2. 연구 설문 대상 26
3. 자료수집 및 분석방법 26
제4장 가설검증 및 논의 28
제1절 인구통계학적 특성 29
1. 의사집단 응답자 특성 29
2. 환자의 보호자집단 응답자 특성 30
제2절 기술통계 및 집단 간 평균차이 분석 32
1. 기술통계 분석 32
1) 의사 요인 32
2) 환자의 보호자 요인 33
3) 법·제도적 요인 34
4) 사회·문화적 요인 35
5) DNR(심폐소생술금지) 결정 인식도 35
2. 집단 간 평균차이 분석 36
1) 의사, 환자의 보호자 집단 간 평균비교 36
2) DNR(심폐소생술금지) 경험 여부에 따른 집단 간 평균비교 38
제3절 측정변수의 타당성 및 신뢰성 검토 42
제4절 가설 검증: 회귀분석 결과 43
제5장 요약 및 정책적 시사점 45
제1절 연구의 요약 43
제2절 정책적 시사점 46
제3절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 방향 49
참 고 문 헌 50
<<부록 1: 설문지>> 56
<<부록 2: 관련 법률>> 66
ABSTRACT 82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379 20 죽음과 죽어감 생전유언, 의료지시서, 자연사법(natural death act) 입법의 사회적 함의 / 이인영 2008  64748
378 8 환자 의사 관계 자율성 존중의 원칙 : 정치적 이념과 철학적 이념 / 최경석 2015  52561
377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의 고통에 대한 의사의 정당한 태도 / 유호종 2004  46019
376 8 환자 의사 관계 독일의 환자사전의사표시법 / 이석배 2010  19874
375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 신장 공여자의 공여 후 적응 경험 / 강다해솜 외 2016  18230
374 20 죽음과 죽어감 마약성 진통제 사용과 부신기능부전 / 정지훈, 최윤선, 김정은, 김이연 2014  14318
373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의 기준과 절차 : 대법원 2009. 5. 21. 선고 2009다17417 판결이 가지는 문제점을 중심으로 / 이석배 2009  7185
372 8 환자 의사 관계 응급의료거부죄의 해석과 정책 / 이석배 2009  6716
371 2 생명윤리 의료영역에서 인간의 존엄, 생명, 생명권의 관계 / 이석배, 김필수 2012  4417
370 1 윤리학 현행 형집행정지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이석배 2013  4158
369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후견주의와 환자의 자기결정권 - 의사의 설명의무를 중심으로 - / 이석배 2007  3835
368 8 환자 의사 관계 생명윤리에서 생명권과 자기결정권 / 이석배 2007  3695
367 15 유전학 GMO의 윤리적 문제 / 이종원 2014  2573
366 1 윤리학 노인자원봉사 활성화를 위한 법제도 개선방안 / 김충묵 외 2016  2537
365 15 유전학 갈락토스혈증의 신생아 선별검사 후 진단 알고리즘 / 손영배 2015  2515
364 15 유전학 유전자 조작 생물(GMO)에 대한 초,중,고 학생들의 인식 조사 / 이혜정, 이진경, 민윤숙, 최진영, 심규철 2010  2345
363 15 유전학 [번역문] 유전자 형질변환 식품의 실험에 대한 철학적 견해 / Andrew Woodfield 2015  2313
362 1 윤리학 칸트 법철학에서 형벌이론과 사형제도 정당화에 대한 연구 / 김세빈 2016  2300
361 18 인체실험 배아복제 기술의 윤리적 문제와 줄기세포 연구의 한계 / 김광연 2015  2233
360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이식 코디네이터의 직무분석 / 김형숙 외 2014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