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8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석사)-- 가톨릭대학교 글로벌융합대학원 : 행정학과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671318 
심폐소생술 금지(DNR) 결정의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Impact Determinants of DNR Decisions

• 저자 : 조충희
• 형태사항 : viii, 83p ; 26 cm
• 일반주기 : 지도교수: 김관보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석사)-- 가톨릭대학교 글로벌융합대학원 : 행정학과 의료 및 보건행정 전공 2018.2
• 발행국 : 경기도
• 출판년 : 2018
• 주제어 : 심폐소생술금지, DNR 인식도, DNR결정 영향요인, DNR 법제도적 요인, 연명의료결정

본 연구의 목적은 의사 및 보호자가 심폐소생술 금지를 결정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인식도 조사를 통해 향후 객관적인 심폐소생술 금지에 관한 지침서를 마련하고, 심폐소생술금지에 대한 제도화로 환자의 권리와 존엄을 확대함으로써 심폐소생술금지에 대한 사회적 합의 도출과 함께 관련 정책 및 제도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함에 있다. 연구모형은 독립변수인 의사요인, 보호자 요인, 법제도적 요인, 사회문화적 요인들과 종속변수인 DNR 결정 인식도로 설계되었으며, 이를 토대로 네 가지 가설을 설정하였다. 연구대상은 C대학교 부속병원에 근무하고 있는 전공의, 임상 교수 및 동병원의 일반 병동 및 중환자실에 입원해 있는 환자의 보호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총 140부를 배포하여 전수인 140부(회수율 100%)를 분석에 이용하였으며,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설 검증결과 법․ 제도적 요인만이 DNR 결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반면, 의사 요인, 환자 보호자의 인식, 사회·문화적 요인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전체 평균값 분석 결과 종속변수의 평균값이 가장 높게 나타나 응답자들의 DNR 결정에 대한 인식이 매우 높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의사와 환자·보호자 집단 간 평균값 비교 분석 결과 종속변수인 DNR 결정에 대한 인식도는 환자·보호자 집단이 높게 나타났으며, 독립변수인 법·제도적 요인과 사회·문화적 요인의 인식도는 의사 집단이 높게 나타났다. 넷째, DNR 경험 여부에 따른 평균값 비교 분석 결과 종속변수인 DNR 결정의 평균값 차이가 높게 나타났으며, DNR 경험이 있는 집단의 인식도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섯째, 종속변수 DNR 결정 인식도에는 법·제도적 요인이 영향을 미치고 있어, DNR 결정에 관한 명확한 법규와 제도적 절차의 마련이 선행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른 주요 정책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근거가 명확하고 표준화된 DNR 관련 교육이 의사의 정규 교육과정에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현실 상황에 적합한 DNR 관련 법·제도의 개정 및 수립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셋째, 법제도적 차원에서 환자·보호자를 대상으로 한 DNR 관련 정보제공 및 교육의 시행과 지원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DNR에 관한 객관적이면서도 윤리적인 지침이 필요하다. 향후 본 연구를 바탕으로 연구의 대상의 표본수를 늘리고 보호자와 의사 뿐 아니라 환자 및 간호사 등 다양한 군들을 포함한 후속연구가 진행된다면 보다 더 DNR 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연구가 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목차

제3절 심폐소생술 금지(DNR)에 대한 인식과 태도 및 결정요인 12
1. 심폐소생술 금지(DNR)에 대한 인식 및 태도 12
2. 심폐소생술 금지(DNR)의 결정 요인들 13
1) 의사 요인 14
2) 보호자 요인 15
3) 법·제도적 요인 16
4) 사회·문화적 요인 17
5) DNR 결정 인식도 19
3. 선행연구의 시사점 21
제3장 연구모형과 연구설계 22
제1절 연구모형 및 가설설정 22
1. 연구모형 22
2. 가설 설정 23
제2절 조사설계 24
1. 연구모형 개념변수에 대한 조작적 정의 및 측정 24
1) 심폐소생술금지(DNR) 결정에 대한 인식도에 영향을 미치는 의사요인 24
2) 심폐소생술금지(DNR) 결정에 대한 인식도에 영향을 미치는 환자의 보호자 요 인 25
3) 심폐소생술금지(DNR) 결정에 대한 인식도에 영향을 미치는 법제도적 요인 25
4) 심폐소생술금지(DNR) 결정에 대한 인식도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문화적 요 인 25
5) 심폐소생술금지(DNR) 결정에 대한 인식도 26
2. 연구 설문 대상 26
3. 자료수집 및 분석방법 26
제4장 가설검증 및 논의 28
제1절 인구통계학적 특성 29
1. 의사집단 응답자 특성 29
2. 환자의 보호자집단 응답자 특성 30
제2절 기술통계 및 집단 간 평균차이 분석 32
1. 기술통계 분석 32
1) 의사 요인 32
2) 환자의 보호자 요인 33
3) 법·제도적 요인 34
4) 사회·문화적 요인 35
5) DNR(심폐소생술금지) 결정 인식도 35
2. 집단 간 평균차이 분석 36
1) 의사, 환자의 보호자 집단 간 평균비교 36
2) DNR(심폐소생술금지) 경험 여부에 따른 집단 간 평균비교 38
제3절 측정변수의 타당성 및 신뢰성 검토 42
제4절 가설 검증: 회귀분석 결과 43
제5장 요약 및 정책적 시사점 45
제1절 연구의 요약 43
제2절 정책적 시사점 46
제3절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 방향 49
참 고 문 헌 50
<<부록 1: 설문지>> 56
<<부록 2: 관련 법률>> 66
ABSTRACT 82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3748 13 인구 직장 기혼 여성의 첫 자녀 출산의사와 관련된 근로 및 출산장려제도 요인 분석 /이승주 외 2017  100
3747 5 과학 기술 사회 자율주행차 현황분석과 한국의 경쟁력 확보 전략/양은지 외 2017  100
3746 14 재생산 기술 모성보호정책 확대에 관한 연구 2013  100
3745 14 재생산 기술 난임 여성들의 난임부부 시술비 지원사업에 대한 인식 / 한수경 2015  100
3744 18 인체실험 의료계약 및 임상시험계약에 있어서 미성년자 보호에 관한 소고 / 서종희 2017  100
3743 9 보건의료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 분류에 관한 연구 / 하영경 2016  100
3742 9 보건의료 메르스 양성 진단자와 접촉한 대상자의 재택격리 경험 / 하주영, 반선화 2017  100
3741 9 보건의료 지역사회 노인의 정신건강 기초조사를 위한 예비연구 / 주현빈 외 2017  100
3740 11 피임 프랑스의 피임 자유화에 대한 보수와 진보의 사회갈등과 해소(1956-1974) / 민유기 2018  100
3739 9 보건의료 의료빅데이터를 활용한 당뇨요인분석 및 예측모델개발 / 조인식 2018  100
3738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사의 법제화와 완화의료 / 이지은 2015  100
3737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임상시험에서 의사-연구자의 주의의무에 대한 형사법적 고찰 / 김수영 2015  100
3736 18 인체실험 임상시험에서 피험자의 동의에 관한 국제기준과 관련 국내법의 개선 방향 / 김성룡 2018  100
3735 5 과학 기술 사회 영리병원 도입은 되돌릴 수 없는 법적 약속인가 ― 영리병원 설립 근거 법률의 개정과 한미 FTA 합치성 검토 ― / 정은아 2018  100
3734 9 보건의료 의료의 배타적 전문성과 21세기 한국의료의 특징 / 정성균 2019  100
3733 4 보건의료 철학 지역사회 보건인력의 문화적 역량과 영향 요인 / 박은옥, 강경자 2019  100
3732 5 과학 기술 사회 과학기술과 관련된 사회적 쟁점에 대한 논증 프로그램이 예비 생물교사들의 의사결정 유형과 의사소통 능력에 미치는 영향 / 김선영 2018  100
3731 19 장기 조직 이식 인체조직기증 및 이식에 관한 일부간호사의 태도 조사 / 권현주 2009  101
3730 12 낙태 여성운동측면으로 본 낙태 / 김상민 1999  101
3729 15 유전학 유전자의 이용과 형법 / 임석원 2016  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