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문학과 언어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032637 

결혼 여성의 출산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An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the Birth Rate of Married Women


  • 저자명 : 김경아(Kim Kyoung-A)
  • 학술지명 : 문학과 언어(Journal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 권호사항 : Vol.39 No.6 [2017]
  • 발행처 한국문화융합학회
  • 자료유형학술저널
  • 수록면 : 895-924(30)
  • 언어 : Korean
  • 발행년도 : 2017
  • 주제어 : 인구절벽 ,저출산 문제 ,출산율 ,경제적 접근 ,가치교육 ,Population Cliff ,Low Fertility Problem ,Birth Rate ,Economic Approach ,Value Education

 

 

  • 초록

 

우리나라가 직면한 인구절벽과 저출산 문제는 심각하다는 전제하에, 본 연구는 여성가족패널의 20161월 출산력 데이터를 토대로 결혼여성의 출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연령, 학력수준, 직업의 유무, 주택의 점유형태는 출산율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하지만 일반적인 이론과는 달리 경제수준과 직종은 출산율에 유의미하지 않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그리고 출산율에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찾기 위해 회귀분석을 한 결과 연령과 학력은 99%신뢰 구간에서 유의미했으며, 점유형태는 신뢰구간 90%에서 유의미한 것으로 증명되었다. 다시 말해서 연령이 높을수록 출산율이 높았고, 학력은 낮을수록 출산율이 높았고, 자가일수록 출산율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결혼여성의 직종이나 가구소득은 출산율에 유의미하지 않았다. 따라서 한국의 결혼과 출산정책은 경제적 접근보다 우선적으로 결혼에 대한 올바른 인식전환과 가족의 필요성과 소중함에 대한 가치교육으로의 접근이 필요하다. 특히 일하는 여성에 대한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 등 복리후생도 강화되어야 한다. 또한 젊은층의 결혼과 출산율을 높이기 위해 신혼부부에게 우선순위에 배정되는 장기전세 및 임대주택의 공급을 늘려야 한다.

 

  • 목차

 

1. 서론

2. 한국의 저출산 문제 및 연구동향

3. 결혼여성과 출산간의 상관성 연구

4. 결혼 여성의 출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5. 결론

참고문헌

초록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748 5 과학 기술 사회 로봇과 인공지능의 현황 및 전망 / 한재권 2016  518
747 9 보건의료 고령 초산모의 임신과 출산 경험 / 김다연 2018  518
746 14 재생산 기술 배아연구에 관한 법·윤리적 고찰/ 김향미 2009  519
745 1 윤리학 일조권에 관한 법적 검토 / 이재삼 외 2016  519
744 14 재생산 기술 시험관 아기 시술에서 배란전후 프로게스테론 보충요법의 유용성 / 임소이 2003  519
743 5 과학 기술 사회 국내외 인공지능형 로봇 개발 및 시장 현황 연구- 인공지능형 로봇청소기 사례를 중심으로/남미경 2010  520
742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수술 환자에서 혈당 수치가 임상 경과에 미치는 영향 / 유석하 2014  520
741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의 자기 이해와 내러티브적 참 / 조선우 2014  521
740 1 윤리학 정보 투명성과 고객 결정권이 개인정보제공동의수준을 높여 주는가? / 박해령 2019  521
739 22 동물복지 관람에 이용되는 동물의 법적 보호에 관한 연구- 영국의 야생 동물 공연 금지 법안을 중심으로/정소영 2015  521
738 5 과학 기술 사회 나노기술과 나노아트의 융합 연구 / 오규운 2016  521
737 19 장기 조직 이식 신장이식을 위한 신적출 후 기증자 신기능의 장기적인 변화 / 장혜경 2007  522
» 13 인구 결혼 여성의 출산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김경아 2017  522
735 20 죽음과 죽어감 웰다잉 프로그램이 노인의 삶의 의미, 자기효능감 및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효과 / 변미경 외 2017  522
734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와 임종과정에 대한 정의 및 의학적 판단지침 / 이상민, 김수정 외 2018  522
733 20 죽음과 죽어감 부모의 죽음을 경험한 중년 여성의 글쓰기 체험 : 해석 현상학적 분석 / 박천영 2019  522
732 19 장기 조직 이식 여성 신장이식환자의 스트레스 대처를 위한 집단 프로그램 적용에 관한 연구 : 인지행동 모델을중심으로 / 추정인 1998  523
731 5 과학 기술 사회 사물인터넷(IoT) 공통 플랫폼 구축에 따른 서비스 기반에 관한 연구 / 유홍택 2015  524
730 14 재생산 기술 인간복제에 관한 고찰과 기독교적 대응방안에 대한 연구 / 김혜순 2008  525
729 12 낙태 낙태에 관한 유럽인권재판소의 입장 : 대한민국에서의 논의에의 시사점 / 오미영 2014  5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