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59
발행년 : 2017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한양대학교 일반대학원 : 화학과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541374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에 의한 비상동말단연결의 정확성 분석 

: Evaluating the accuracy of non-homologous end joining induced by a CRISPR-Cas9 system



  • 저자 :  양소연
  • 형태사항 : ; 26 cm
  • 일반주기 : 지도교수배상수
  • 학위논문사항 : Thesis(Master)-- 한양대학교 일반대학원 : 화학과 2017. 8
  • 발행국 : 대한민국

  • 초록


3세대 유전자 가위인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는 유전체 내에 특정 염기 서열을 인식하여 이중나선절단(double strand break, DSB)을 유도할 수 있다. 이중나선절단은 세포 내에서 상동재조합 (homology directed repair, HDR)이나 비상동말단연결(non-homologous end joining)에 의해서 수선된다. 상동재조합은 상동 염기 서열의 주형 DNA가 존재하는 경우, 상동성 주형 DNA를 바탕으로 수선하기 때문에 비교적 정확하게 수선이 일어난다. 반면에 비상동말단연결은 절단된 끝이 바로 연결되기 때문에 부정확한 수선이 일어나며, 유전체 내에 삽입과 결실을 일으킨다. 비상동말단연결은 상동재조합에 비해 높은 빈도로 일어나며, 세포주기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이러한 이유로 최근 비상동말단연결을 이용한 유전자 치료제 개발 연구에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에 의해 유도되는 비상동말단연결이 얼마나 정확하게 이루어지는지를 정량적으로 분석이 어려워 알려지지 않았다. 이 연구에서는 비상동말단연결의 정확성을 측정하기 위해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를 이용하여 DSB을 유도였고, 이중결합 올리고데옥시뉴클레오타이드를 녹인 시켰다. 비상동말단연결의 정확성은 PAM 서열에서 가까운 쪽과 먼 쪽에서 측정되었으며, 그 값은 타겟마다 다양하게 나타났다. 정확성은 PAM 서열에서 가까운 쪽보다는 먼 쪽에서 더 높게 측정되었으며, 염색체의 위치보다는 염기서열에 영향을 받는 특징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에 의한 비상동말단연결이 일어날 때의 작동 원리를 규명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또한, 특정 염기 서열을 타겟하여 유전체 교정을 할 때 정교한 교정을 가능하게 하여 유전자 치료제에도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목차



bstract 3

List of Figures 5

List of Tables 6

List of Abbreviation 7

Introduction 8

Material and Methods

1. Production of sgRNA 10

2. Human cell culture and transfection 10

3. dsODN for NHEJ knock-in 11

4. Genomic DNA extraction and PCR amplifications 11

5. PCR purification and Illumina next-generation sequencing 12

6. Quantification of precise repair in NGS data 12

Results

1. Overview of evaluation of NHEJ Accuracy induced by a CRISPR-Cas9 system 25

2. Accuracy values of NHEJ repair in HeLa and HEK293T cell lines 29

3. Position dependence and sequence dependence of NHEJ repair 42

Discussion 46

Reference 48

Abstract in Korean 51.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9
59 15 유전학 한국과 프랑스 생명과학교사들이 가지는 사람의 사회적 행동에 대한 유전자 결정론적 인식의 차이/서혜애 외 2018  116
58 15 유전학 인체 시료 및 유전자은행의 윤리ㆍ사회적 고찰 / 최은경 2008  117
57 15 유전학 마우스 난소에서 막융합 관련 유전자의 발현 / 정복해 외 2016  142
56 18 인체실험 줄기세포 기반 유전자치료 기술분야 특허분석을 통한 현황분석 및 시사점 도출 / 최호성 외 2013  145
55 15 유전학 유전자연구에 있어서 제기되는 관련 당사자의 기본권 / 김수갑 2011  168
54 15 유전학 뇌졸중에 대한 유전자 치료 연구 현황/이민형 2015  169
53 1 윤리학 첨단 생명의료과학에 근거한, 시체(屍體)의 민법상 지위 고찰 / 유지홍 2014  181
52 15 유전학 유전자치료법의 국가표준지침 제정에 관한 연구 / 남명진 1998  182
51 15 유전학 배아 유전자 치료 / 조은희 2017  192
50 15 유전학 인체 유래 물질의 재산권성에 관한 의료법학적 연구 / 이웅희 2009  201
49 15 유전학 뇌전증의 유전적 진단 / 이윤정 안주희 권순학 황수경 2016  201
48 15 유전학 DNA 정보의 주체 -시민 정체성의 새로운 구성 / 김지연 외 2016  203
47 15 유전학 GMO 연구 개발 상업화 동향/김태산 2018  205
46 15 유전학 장애 이해의 해석학적 구조화와 법/김나경 2015  209
45 15 유전학 로크의 사유재산권에 대한 비판적 접근을 통한 유전자특허 반대론 / 이재명 2018  209
44 12 낙태 낙태의 윤리에서 인격체 논변, 종의 원리, 그리고 생명의 권리 / 장동익 2018  215
43 15 유전학 유전자 편집기술에 대한 윤리적 대응 / 목광수 2017  226
42 15 유전학 유전자편집 작물의 개발 현황 및 농업생명공학기술의 국가 경쟁력 강화/ 이신우 2018  231
41 15 유전학 가계검색(Familial Search)의 법적 문제에 관한 연구 / 이성기 2015  235
40 15 유전학 기계학습을 통하여 암을 분류하는 유전자 집단 확인 / 임수정 2019  2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