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유럽헌법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3452014 



연명치료중단의 허용요건에 관한 법적 쟁점과 과제

= Legal Issues and Tasks on the Possibility of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




• 저자명 : 김민우(KIM, Min Woo) 

• 학술지명 : 유럽헌법연구

• 권호사항 : Vol.24 No.- [2017]

• 발행처 : 유럽헌법학회

• 자료유형 : 학술저널

• 수록면 : 357-389(33쪽)

• 언어 : Korean

• 발행년도 : 2017년

• KDC : 362

• 주제어 :연명치료중단 ,연명의료결정법 ,김할머니 사건 ,자기결정권 ,사전연명의료의향서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Act on Life-Sustaining Treatment Determination ,Patient s Right to Self-Determination ,Grandma Kim s Case ,Advance Directives


  • 초록


현대의학은 의료기술의 발달에 의해 인위적인 생명유지가 가능하게 되었다. 그런데 의학과 의료기술의 발전은 전통적 의료윤리로서는 답할 수 없는 새로운 문제들에 직면해 있다 그 문제의 하나로 생명을 연장하고 향상시키는 의료기술들 대부분은 많은 환자들에게 도움을 주고 있지만 때로는 치료가 무익하여 편안하게 죽을 수 있는 권리를 침해하는 결과를 가져올 수도 있다 의식도 없으면서 인공호흡기 등에 의존하여 연명치료를 받는 것은 오히려 인간의 존엄에 반하므로 중단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지난 20년 동안 연명치료중단은 허용여부에 대한 논란으로 일관되었다고 할 정도로 제자리에 머물렀으며,보다 진일보한 연명의료의 요건 내지 절차에 관한 공론화 과정을 제대로 거치지 못하였다. 소위 김할머니 사건의 대법원 판결 이후, 말기환자에 대한 연명치료중단은 대체로 긍정하는 견해가 지배적이었다. 그러나 연명치료중단은 일정한 예외상황이 아닌 한 여전히 인간의 존엄과 가치에 반하여 타인의 자살에 관여하는 행위로 평가될 수 있다. 이것은 의료기술이 발전하면서 인간의 삶과 죽음이 결과론적인 문제가 아니라 과정론적인 문제로 파악되어야 한다는 시각의 변화도 한 원인이 되었다. 이처럼 연명치료의 문제는 인간이 살아야 할 권리와 존엄하게 죽을 권리에 대한 경계선상에 놓여져 있으며,특히 의사의 책임과 밀접한 관련성을 맺고 있다. 김할머니 사건을 계기로 연명치료중단에 관한 논쟁이 우리 사회에서 다시 활발하게 일어났다 우여곡절 끝에 연명의료결정법이 제정되었으나 이러한 논쟁에 대하여 해결해야 할 숙제는 많이 남아 있다. 따라서 이 논문은 연명치료중단의 법제화에 관한 입법 과정을 살펴본 후,연명치료 중단의 허용요건에 관한 법적 쟁점을 관련 판례와 함께 검토하고 그에 따른 해결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목차

• Ⅰ. 서론

• Ⅱ. 연명치료중단의 법적 이해

• Ⅲ. 연명의료결정법의 법적 쟁점

• Ⅳ. 연명치료중단의 허용요건에 관한 판단 기준

• Ⅴ. 결론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1128 9 보건의료 재사용가능의료기기의 평가 가이드라인 개발 연구 / 신승우 외 2018  393
1127 8 환자 의사 관계 개인의료정보보호법 제정의 필요성과 입법방향 / 이한주 2014  394
1126 4 보건의료 철학 보건의료계열 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의식, 도덕적 자아개념 및 자아존중감/김미옥, 김경숙 2015  394
1125 20 죽음과 죽어감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의료기관 종사자들의 인식과 태도/황병덕, 최령, 박재우 2014  395
1124 15 유전학 유전자재조합식품 표시제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 이은영 2001  395
1123 1 윤리학 미국 NASW 윤리강령의 변화과정 및 2018 개정의 함의 / 김성호 2018  395
1122 2 생명윤리 공공 생명윤리와 전문성의 정치 : ‘생명윤리자문위원회’의 사례 / 김상현 2012  396
1121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안에 관한 문제점 및 개선방안 / 고준기, 조현, 이강호 2014  396
1120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 문제에 대한 불교적 연구 / 김종민 2007  396
1119 9 보건의료 한국 성인 HIV 감염인구 추계와 역학적 특성 / 김민우 2016  396
1118 14 재생산 기술 연구논문 : 보조생식의료의 법제화를 위한 제언 - 자(子)의 법적 지위를 중심으로 / 이정현 2011  397
1117 1 윤리학 한국 의료법체계의 성격과 역사적 변천 / 박형욱 2001  397
1116 15 유전학 임상유전학의 우생정치 이념 비판 : 우생학과 자녀교육론 / 이을상 2014  397
1115 1 윤리학 인간성과 폭력에 대한 법사회학 및 법철학적 해석론의 교차 / 김종호 2018  397
1114 2 생명윤리 비첨과 췰드리스의 네 원칙에 대한 비판과 공동체주의적 재해석 / 유수정 2016  397
1113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 중단"을 둘러싼 한국사회의 법적 논쟁에 관한 연구: 개혁주의적 인간관과 윤리관의 관점에서 / 이상원 2012  398
1112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AI) 기반 로봇 의료기기의 활성화 방안 연구 / 오세정 2019  398
1111 15 유전학 그룹 구조를 갖는 고차원 유전체 자료 분석을 위한네트워크 기반의 규제화 방법 / 김기풍 외 2016  399
1110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에 관한 법적 고찰 / 조한상, 이주희 2013  400
1109 20 죽음과 죽어감 중년기 성인의 사전의료의향서, 호스피스완화의료, 연명치료에 대한 인식 / 김신미, 김기숙, 이인숙, 김순이 2013  4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