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25
발행년 : 2017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석사)-- 아주대학교 : 의학과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401392 
질병 감수성 예측 유전자 검사의 유전상담 지침 개발에 대한 조사연구
http://www.riss.kr/link?id=T14401392


• 저자 : 서순정
• 형태사항 : 53 ; 26 cm
• 일반주기 : 지도교수: 김현주, 정선용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석사)-- 아주대학교 : 의학과 2017. 2
• 발행국 : 경기도
• 출판년 : 2017
• 주제어 : 질병 감수성 예측 유전자 검사, 맞춤의학, 개인 유전정보 서비스, 헬스케어, 유전상담, 설문조사, 유전상담 지침서


  • 초록
질병 감수성 예측 유전자 검사는 유전적 소인과 환경적 소인이 함께 관여하는 다양한 질환에 대한 발병 위험도를 예측하고, 그 결과에 따른 식이 조절, 운동, 생활 습관 개선, 주기적 검진 등의 예방적 차원의 행동변화를 통해 개인 맞춤형 헬스케어에 활용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맞춤의료, 개인 유전자 분석 등에 대한 많은 수요자들의 관심사항은 직접 의료전문가들과 만나 적극적으로 자신의 건강 문제를 논의하여 질병 관리 및 예방, 효과적인 약물 치료 등에 검사결과를 적극 활용하고자 하는데 있으며, 이런 수요자들에게 적절한 정보를 제공하고 검사 결과의 이해를 돕는 것이 유전상담이다. 본 연구에서는 질병 감수성 유전자 검사가 개인 맞춤형 헬스케어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도록 수요자들과 관련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질병 감수성 유전자 검사 및 유전상담에 대한 인식 정도를 조사하고, 그들의 구체적 요구와 의견 수렴을 통하여 유전상담 지침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의 수집과 분석을 목표로 하였다. 질병 감수성 유전자 검사에 대한 인식도 조사 설문에서 일반 수요자들은 전문가에 비해 약 2배 정도의 낮은 인지도(40.4% 대 79.4%)를 보여 아직까지 전문가들에 비해 질병 감수성 유전자 검사에 대한 인식 정도는 다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수요자 74.7%에서는 건강관리 측면에서 본 서비스를 이용해볼 의향이 있음으로 나타나, 일반 수요자들은 질병예방 및 관리를 위한 질병 감수성 유전자 검사에 대해 기대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질병 감수성 유전자 검사에 대한 유전상담의 필요성에 대해 조사한 결과, 수요자와 전문가 모두에서 매우 높은 수준으로“필요성이 있다”라고 응답하였다. 특히, 전문가의 99.4%에서 의료현장에 유전상담 지침서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이는 유전상담에 대한 적절한 프로세스 정립, 체계적인 상담자 자격 관리, 정확한 검사 결과의 분석과 해석, 명확한 검사 한계성 제시 등 질병 감수성 유전자 검사에 대한 유전상담 지침서의 중요성과 필요성에 대해 모두 공감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질병 감수성 유전자 검사에 대한 유전상담은 검사 안내 및 해당 결과에 대한 충분한 이해와 정보 제공을 통해 질병 예방 및 관리를 지원할 수 있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전통적 방식의 유전학 중심의 유전상담에 더해서 최신의 유전체학까지 모두 포함하는 전문적인 유전상담이 필요할 것이다. 이러한 체계적이고 유용한 지침서 구축을 위해서는 의사, 간호사, 유전상담사 등의 의료종사자뿐만 아니라 심리학자, 운동전문가, 영양사 등의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의 의견수렴과 반영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결과가 향후 질병 감수성 유전자 검사에 대한 유전상담 지침서 개발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목차
Ⅰ. 서론 1
Ⅱ. 연구대상 및 방법 3
Ⅲ. 결과
A. 수요자 및 전문가 집단의 기본 정보 분석 5
B. 질병 감수성 유전자 검사의 인식 및 필요성 조사 8
C. 질병 감수성 유전자 검사에 대한 유용성 및 시행 의사 12
D. 질병 감수성 유전자 검사의 유전상담 인식 및 필요성 조사 17
E. 질병 감수성 유전자 검사의 유전상담 지침 개발 21
F. 유전상담 지침서 개발에 있어 전문가의 기타의견 및 조언 24
Ⅳ. 고찰 25
Ⅴ. 결론 34
참고문헌 36
ABSTRACT 40
Supplementary material 1 43
Supplementary material 2 49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25 2 생명윤리 현대 의학의 윤리적 문제에 대한 연구 / 김정진 2006  1100
24 20 죽음과 죽어감 일개 대학병원의 연명치료 선택 및 사전의료의향서 작성 현황 2011  739
23 9 보건의료 응급의학과 의사의 윤리강령 개발에 관한 연구 / 차지훈 2008  710
22 2 생명윤리 뉘른베르크 강령 : 생명의학, 국가, 그리고 사회적 이념 / 조백현 2014  662
21 8 환자 의사 관계 의학적 의사결정으로써 공동의사결정 실현을 위한 환자의사결정도구(PtDAs) 연구 / 이은영 2014  561
20 15 유전학 유전체 맞춤의학 연구와 위험의 개념 이해 / 이일학, 김성혜, 유승협, 김소윤 2012  505
19 15 유전학 ‘유전정보를 모를 권리’의 윤리적·법적 근거와 실현 방법 / 유호종 2014  494
18 8 환자 의사 관계 의학 전문직업성의 덕 윤리적 접근 / 최숙희 2013  422
17 20 죽음과 죽어감 몸의 생의학적 의미와 생명정치 / 이을상 2010  408
16 10 성/젠더 위해 의료사건 예방을 위한 의료감정의 계량적 접근 / 윤성철 2016  359
15 9 보건의료 신설 의학교육기관 평가인증 기준 및 규정 개발 연구 / 김영창 2019  323
14 14 재생산 기술 불임에 관한 국내 한의학 연구의 동향 분석 / 양인석 2013  322
13 5 과학 기술 사회 3D 바이오프린팅 기술의 법적 쟁점 / 김한나 2017  307
12 9 보건의료 의료 3D 프린팅 기술의 전망 및 소아치과분야에서의 활용 / 이상호 2016  303
» 15 유전학 질병 감수성 예측 유전자 검사의 유전상담 지침 개발에 대한 조사연구 / 서순정 2017  273
10 4 보건의료 철학 20세기 초 미국 의사들의 열대질병 연구와 상업적 후원 / 정세권 2015  251
9 18 인체실험 연구윤리심의 표준화 필요성에 관한 제고찰 / 구인회 2007  179
8 2 생명윤리 교수개발로서의 생명의료윤리 교육 : 신임교원 대상 교육개발과 시행 경험을 바탕으로 / 김정아, 오승민, 김평만 2014  163
7 1 윤리학 존재론적 생명윤리에 관한 연구 : 니콜라이 하르트만을 中心으로 / 김윤정 2005  153
6 9 보건의료 영상정보학: 인공지능-빅데이터-데이터 과학 시대의 영상의학을 위한 새 지평 / 김종효 2019  1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