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생명윤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4891120 
유전자 편집기술에 대한 윤리적 대응

= An Ethical Response Model for Genome Editing Technology - Focusing on Dynamic and Plural Risk Model -

http://www.riss.kr/link?id=A104891120 

• 저자명 : 목광수(Kwangsu Mok)
• 학술지명 : 생명윤리
• 권호사항 : Vol.18 No.2 [2017]
• 발행처 : 한국생명윤리학회
• 자료유형 : 학술저널
• 수록면 : 1-20(20쪽)
• 언어 : Korean
• 발행년도 : 2017년
• 주제어 : 유전자 편집기술 ,리스크 ,불확실성 ,동적이며 다층적인 리스크 모델 ,전임상과 임상 연구 ,유전자 가위 ,genome editing technology ,risk ,uncertainty,dynamic and plural risk model ,preclinical research and clinical trial ,programmable nuclease (or gene scissors)


  • 초록

현재 세계적으로, 그리고 한국 사회에서 가장 주목받는 있는 과학기술 중 하나는 유전자 편집기술이다. 유전자 편집기술에 대한 학계의 입장은 적극적인 수용론부터 신중론, 그리고 모라토리엄을 선언해야 한다는 입장까지 다양하다. 이러한 학계의 다양한 입장과 달리, 사회적으로는 유전자 편집기술이 가져올 유전질환 치료와 경제적 효과에 대한 기대로 인해 적극적으로 이 기술을 수용하자는 분위기이다. 한국 사회는 한국의 과학자가 유전자 편집기술과 관련된 세계적인 논문을 발표하면서 이러한 세계적 흐름에 편승하고 있다. 이러한 한국 사회의 분위기는, 유전자 편집기술이 전임상 연구와 임상 연구를 거쳐 의학적 사용이 현실화 되었을 때 나타날 경제적 효과와 치료의 희망으로 인해, 이 기술 자체에 대한 윤리적 검토, 그리고 이 기술을 통한 전임상과 임상 연구 과정에서의 윤리적 논의가 외면되는 듯하다. 본 논문의 목적은 유전자 편집기술에 대한 사회적 기대가 적정한 개념 이해에 근거한 것인지, 유전자 편집기술은 어떤 과정을 통해 도입되는 것이 윤리적인 것인지, 그리고 유전자 편집기술이 초래할 리스크에 대해 어떻게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한지를 검토하고자 한다. 본 논문은 첫째, 유전자 편집기술은 좁은 의미와 넓은 의미를 명확히 구분하여야 하며(Ⅱ.1절), 둘째, 유전자 편집기술은 이러한 구분을 토대로 전임상 단계의 연구가 충분히 이루어진 후에 임상 단계의 연구가 시행되어야 하고(Ⅱ.2절), 셋째, 유전자 편집기술이 발전 과정에서 초래할 리스크는 ‘동적이며 다층적인 리스크 모델’을 통해 효과적으로 대응되어야 한다(Ⅲ절)고 주장한다. 이러한 주장에 따르면, 유전자 편집기술의 발전에 대해 지나친 낙관이나 과도한 기대보다는 기술적 진보에 대해 냉철한 평가를 해야 하며, 유전자 편집기술에 대한 전임상 단계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윤리적 연구 과정을 준수해야 할 뿐만 아니라, 시간성 속에서 제기될 수 있는 리스크에 대해 윤리적으로 대응해야 한다.


  • 목차

국문초록
Ⅰ. 들어가는 글
Ⅱ. 유전자 편집기술의 의미에 대한 분석
Ⅲ. 동적이며 다층적인 리스크 모델을통한 유전자 편집기술에 대한 윤리적 대응
Ⅳ. 나오는 글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4668 9 보건의료 남북한 보건의료 인력 분야에서의 교류협력을 위한 제언 / 전우택 2018  28
4667 9 보건의료 의료정보 광고에 관한 대학생의 주관성 인식/이제영 2017  30
4666 9 보건의료 의료서비스대상자의 통합사례관리 방안 연구 : 지방자치단체 총괄 방식의 '행정관리 모델' 중심으로 / 황미경 2010  31
4665 9 보건의료 의료영역에서의 사회통합을 위한 법의 역할 / 이경권 2013  31
4664 19 장기 조직 이식 일반 신뢰와 정부신뢰가 뇌사 후 장기기증에 미치는 영향 / 이수인 2018  32
4663 9 보건의료 계층적 다중 속성을 이용한 헬스케어 환자의 프라이버시 보호 기법 / 신승수 2015  33
4662 9 보건의료 의료계획의 수립과 쟁점 / 이규식 2018  34
4661 9 보건의료 일차의료를 위한 연수교육 강화방안 / 이혜연 2015  34
4660 9 보건의료 What Makes Health Care Special? An Argument for Health Care Insurance / Horne, L. Chad 2017  34
4659 15 유전학 Disabled by Design: Justifying and Limiting Parental Authority to Choose Future Children with Pre-Implantation Genetic Diagnosis / Stramondo, Joseph 2017  34
4658 9 보건의료 의료분쟁조정절차의 개시요건에 관한 연구 / 고형석 2018  34
4657 9 보건의료 정부의 통합형 만성질환 관리 사업에 대한 제언 / 김종웅 2018  34
4656 20 죽음과 죽어감 자살예방의 날을 보내며 / 이동우 2018  34
4655 9 보건의료 심사체계 개편 방향성 / 윤석준 2018  34
4654 5 과학 기술 사회 의료 데이터 허브 구축을 위한 법제도 개선 방향 / 이규철 2018  34
4653 9 보건의료 의료기술평가 기반으로서의 데이터 연계 / 박종연 2018  34
4652 8 환자 의사 관계 개정된 의료분쟁조정법 하위법령에 대한 고찰 / 김필수 2017  35
4651 20 죽음과 죽어감 재가 및 요양시설 거주 노인의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 경험 및 선호도 / 박재원 2013  35
4650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사의 사전의료지시서에 관한 연구 : 성년후견제도를 중심으로 / 최창익 2015  35
4649 5 과학 기술 사회 [제402회 과학기술정책포럼] 미래사회 변화를 선도할 핵심기술 / 이세민 2016  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