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6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석사)-- 서울시립대학교 : 건축공학과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136737 



응급의료센터 감염예방을 위한 시설기준 개선에 대한 연구 : 권역응급의료센터 환자분류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Facilities Standard for Infection Prevention in Emergency Medical Center:Focusing on the triage in regional emergency medical center



http://www.riss.kr/link?id=T14136737 



• 저자 : 김중기

• 형태사항 : ⅵ, 109 p. ; 26 cm

• 일반주기 : 지도교수: 서현보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석사)-- 서울시립대학교 : 건축공학과 건축공학전공 2016. 8

• 발행국  : 서울

• 출판년 : 2016

• 주제어 :  응급의료센터, 환자분류소, 감염병




  • 초록


2015년 메르스 바이러스 사태때 응급실에서 감염된 환자는 89명이였다. 이중 메르스 14번 환자가 과밀화가 상위권인 특정 병원 응급실에서 3일간 장기간 체류하면서 84명의 감염전파가 발생된 것은 응급실 과밀화와 응급실 감염병 전파가 무관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응급실에서 입원한 환자보다 내원환자 및 체류자, 보호자 등이 더 비중이 높게 감염된 것은 비응급환자구역이 응급환자구역 보다 더 과밀화 되었거나 더 감염 전파의 가능성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응급실의 환자분류소는 최초로 환자를 진료, 분류하는 공간으로서 환자, 보호자, 의료진의 특성에 맞는 감염예방을 위한 시설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응급실의 병원감염 예방을 위해 응급실에서 가장 이용의 빈도가 높은 환자분류소를 중심으로 국내외 시설기준 및 외국 병원 시설기준·사례 분석과 의료진의 인터뷰를 통해 감염예방에 필요한 시설기준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응급실의 과밀화지수가 상위권인 병원 중 권역응급의료센터에 지정된 병원을 대상으로 감염환자가 이용하는 공간과 동선을 분석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응급실 환자분류소의 시설기준은 감염환자분류소를 별도로 설치하여 감염환자와 일반환자의 응급실 출입 동선을 분리하고, 환자분류소와 응급환자 구역 및 진단검사구역 등 진료구역별로 서로 동선이 분리되어 이동이 가능한 설계 및 레이아웃이 계획되어야 한다. 또한 감염환자 환자분류소에는 환자·보호자·의료진 간의 감염병 전파를 차단하기 위한 동선계획 및 공간배치 계획이 필요하고, 환자분류소에 격리실을 배치함으로서 감염환자 및 감염병의사환자가 내원 시 즉시 격리조치가 가능한 구조의 설계를 함으로서 응급실에서의 감염환자 이동 동선의 최소화 및 물리적인 차단을 위한 건축계획을 통해 감염병 전파 차단이 계획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 분석한 결과를 통해서 응급의료센터의 환자분류 과정 중 감염예방을 위한 시설 기준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하여 향후 감염예방을 위한 응급의료시설의 건축계획 및 제도 개선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목차

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제2절 연구의 범위 3

제3절 연구의 방법 및 흐름 5

제2장 응급의료·감염병 현황 및 선행연구 고찰 7

제1절 응급의료의 개념과 정의 7

제2절 응급의료체계 8

1. 응급의료체계 발전과정 8

2. 응급의료체계 현황 10

3. 응급의료기관의 분류 11

4. 응급의료시설 내원환자 통계현황 12

제3절 응급의료기관의 중증도 분류 15

1. 환자분류소의 개념 15

2. 응급환자 분류도구 17

제4절 감염병 20

1. 감염병 정의 20

2. 감염병의 생성과 전파 23

3. 감염병 발생현황 26

제5절 병원 감염병 발생사례 29

1. 2015년 메르스 바이러스 발생현황 29

2. 응급실 메르스 바이러스 발생현황 33

3. 병원의 메르스 환자 대응 상황 및 문제점 34

제6절 선행연구 고찰 35

제7절 소결 39

제3장 응급의료시설 시설기준 분석 40

제1절 국내 응급의료시설의 시설기준 40

제2절 외국 병원 응급실 시설기준 및 병원 사례 44

1. 외국 병원 응급실 시설기준(환자분류 중심으로) 45

2. 외국 병원 응급실 사례 조사 50

제3절 의료진 인터뷰 분석 54

제4절 소결 58

제4장 조사대상센터 분석 59

제1절 SNUH병원 응급의료센터 분석 60

제2절 SNUBH병원 응급의료센터 분석 64

제3절 CMC병원 응급의료센터 분석 68

제4절 WSCH병원 응급의료센터 분석 72

제5절 PNUH병원 응급의료센터 분석 76

제6절 소결 80

제5장 결론 83

참고문헌 87

부록 1 89

부록 2 102

Abstract 106

감사의 글 109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2828 9 보건의료 감염병으로 인한 격리조치에 관한 소고/박정일 2015  266
2827 12 낙태 낙태 논의에 있어서 태아의 존재론적 위상과 도덕적 위상 / 유호종 2003  266
2826 18 인체실험 급성기관지염의 약물중재 임상시험에 대한 체계적 문헌 고찰/유이란 외 2017  265
2825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기증 및 이식의 활성화 방안 / 김양이 ,양승훈 2007  265
2824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와 존엄사, 그리고 웰다잉법 / 맹주만 2016  265
2823 1 윤리학 형법에 있어서 생명의 보호 / 이재석 2013  265
2822 20 죽음과 죽어감 대만 『환자 자주 권리법』에 대한 연구 / 엄주희 2019  264
2821 10 성/젠더 한국사회의 젠더와 건강 불평등 연구(Ⅰ) / 김동식 외 2017  264
2820 9 보건의료 메르스 대유행 시 코호트 격리된 병원 간호사의 이직의도 / 정희자 외 2017  264
2819 9 보건의료 의약품 자료 보호 제도 개선에 관한 연구/박현정 2017  264
2818 15 유전학 (Nature) 줄기세포 노화에 따른 Hoxa9 유전자 의존성 2016  264
2817 9 보건의료 의사의 불성실한 진료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책임/전병남 2014  264
2816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법상 의료기관 개설제한의 위반유형에 관한 연구/김준래 2014  264
2815 9 보건의료 중동호흡기증후군 2015년 사태와 관련된 의료법령의 분석과 입법론 - 「의료법」 및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의 쟁점 조항을 중심으로 -/김천수 2015  264
2814 5 과학 기술 사회 우리나라 재생의학의 기술경쟁력 평가- 특허분석을 중심으로/안두현, 정교민, 신율 2006  264
2813 19 장기 조직 이식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간호사의 태도 / 김상희 2006  263
2812 9 보건의료 결핵환자의 인권향상을 위한 법적 고찰 / 이세경 2016  263
2811 9 보건의료 미용성형의료 - 우리 판결례와 독일 판결례의 비교·분석적 소고 -/안법영 2015  263
2810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로봇에 관한 형사책임과 책임주의/이인영 2017  262
2809 9 보건의료 약사법상 의약품 동정적 사용제도 / 강한철 2013  2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