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4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석사)-- 고려대학교 법무대학원 : 의료법학과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3542569 

의료소송에서 과실과 인과관계의 증명 : 병원감염 판결을 중심으로

= Proving causes and effects against mistakes in connection with medical litigation : primarily based on judgment for infection in hospitals


http://www.riss.kr/link?id=T13542569 



  • 저자 : 유현정
  • 형태사항 : vii, 147 p. ; 26 cm
  • 일반주기 : 지도교수안법영부록: 연구대상 판결참고문헌: p. 132-134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석사)-- 고려대학교 법무대학원 : 의료법학과 2014. 8
  • 발행국 : 서울
  • 출판년 : 2014
  • 주제어 : 의료소송증명책임의 완화일반인의 상식 법리간접사실 법리통상의 사실상 추정론병원감염감염관리의무안전배려의무법률상 추정

 


 

의료소송에서 과실 및 인과관계 판단과 관련하여 병원감염 사례에 관한 판결들을 분석한 결과 의료소송에서 증명책임 완화법리를 원용한 판결 중에서는 일반인의 상식 법리를 원용한 판결이 대부분이었다. 간접사실 법리는 소거법을 적용한 경우 그 적용범위가 매우 제한적이고, 통상적인 사실상 추정론을 적용한 경우 그 독자적 의미를 상실하게 되어 실제 판결에서 거의 활용되고 있지 않았다.

 

  • 목차

1장 서론 1

1절 연구의 목적 1

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4

. 연구대상 판결 선정 4

. 연구 방법 5

2장 증명책임 일반 및 의료소송에서 우리 판례의 증명책임 완화 이론 7

1절 증명책임 일반론 7

. 증명책임의 의의 및 분배 원칙 7

. 증명책임의 완화 8

1. 법률상 추정 8

2. 사실상 추정 9

3. 일응의 추정 또는 표현증명 9

4. 개연성설 11

. 증명책임의 전환 12

2절 의료소송에서 우리 판례의 증명책임 완화 이론 13

. 서설 13

. 일반인의 상식 법리 14

1. 기본 법리 : 다한증 사건 14

2. 제한 법리 : 척수검사 시술 후 하반신마비 사건 19

3. 학설의 태도 21

4. 소결 24

. 간접사실 법리 27

1. 기본 법리 : 대동맥박리 사건 27

2. 제한 법리 : 뇌경색 사건 31

3. 학설의 태도 34

4. 소결 35

. 검토 36

3장 병원감염 사건에서 법원의 과실과 인과관계 판단 분석 39

1절 일반인의 상식 법리 39

. 책임 인정 판결 39

1. 신경차단술 후 MRSA 감염 사건 39

2. 추간판 제거 및 인공디스크 삽입수술 후 감염 사건 42

. 책임 부정 판결 45

1. 청신경초종 사건 45

2. 심장수술 후 MRSA 감염 사건 49

3. 뇌실복강 단락술 후 MRSA 감염 사건(I) 53

4. 신생아 바이러스성 심근염 사건 57

5. 후궁절제 및 추간판제거술 후 황색포도상구균 감염 사건 60

6. 경막외 신경차단술 후 MRSA 감염 사건 62

7. 뇌종양제거술 후 MRSA 감염 사건 65

2절 간접사실 법리 68

. 책임 인정 판결 68

. 책임 부정 판결 68

1. 신경차단술 후 MRSA 감염 사건 68

2. 관해유도요법 후 아르페르길루스 감염 사건 72

3절 통상의 사실상 추정론 적용 판결 74

. 책임 인정 판결 74

1. 유양돌기염으로 인한 패혈증 사건 74

2. 혈전용해술 후 엔테로박터균 감염 사건 76

3. 종양여부 확인 검사 중 봉와직염 사망 사건 79

4. 심근경색 수술 후 MRSA 감염 사건 81

5. 신경차단술 후 패혈증 사망 사건 84

. 책임 부정 판결 87

1. 수술 후 MRSA 감염 및 수술부위에서 철심이 나온 사건 88

2. 문합부 누출로 인한 복막염 사건 90

3. 뇌실복강 단락술 후 MRSA 감염 사건(II) 93

4. 췌장제거수술 후 MRSA 감염 사건 96

5. 척추천자 후 아시네토박터균 감염 사건 98

6. 뇌수술 후 MRSA 감염 사건 101

7. 심부피부재생술 후 MRSA 감염 사건 103

8. 요추 수핵제거술 후 감염 사건 106

4장 판결 분석 108

1절 총설 108

2절 일반인의 상식 법리 적용 판결의 분석 112

. 책임 인정 판결 112

. 책임 부정 판결 113

. 검토 114

1. 병원감염 사건에서 일반인의 상식에 바탕을 둔 의료상 과실 있는 행위증명의 어려움 114

2. ‘일반인의 상식에 바탕을 둔 의료상 과실 있는 행위가 증명되었을 때 의료기관에서 증명해야 할 사실의 증명 정도 115

3. 소결 117

3절 간접사실 법리 적용 판결의 분석 118

. 대법원의 태도 118

. 책임 부정을 위한 논리적 근거로 사용되는 문제 119

4절 통상의 사실상 추정론 적용 판결의 분석 121

. 책임 인정 판결 121

. 책임 부정 판결 123

. 검토 125

5절 제언 125

5장 결론 130

[참고문헌] 132

[附錄] 연구대상 판결 135

ABSTRACT 145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3388 9 보건의료 위암 한약제제 임상시험 가이드라인 개발을 위한 한약제제 무작위배정 대조군 임상시험 고찰 / 한가진 외 2017  118
3387 17 신경과학 신경과학 시대의 규범윤리학 : 도덕적 설명은 도덕적 정당화를 대체할 수 있는가?/김남주 2018  118
3386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의 자기결정권에 대한 『주역』의 대안적 사유 고찰 / 안승우 2019  118
3385 20 죽음과 죽어감 중장년층의 자아 통합감과 죽음의 태도에 관한 연구 / 박만자 2018  118
3384 22 동물복지 동물의 권리와 돌봄의 문화 / 최성희, 김용규 2019  118
3383 17 신경과학 온라인 자살예방 정보와 댓글 분석: 자살예방 정보의 순기능과 역기능 / 2019  118
3382 15 유전학 유전체연구의 전략적 대응방안 / 안두현 2000  119
3381 18 인체실험 난소줄기세포에 관한 연구 동향 / 김윤영 외 2013  119
3380 15 유전학 인간 게놈 프로젝트의 숨은 그늘 / 주일우 2001  119
3379 9 보건의료 연구간호사의 연구중심병원사업 인지도가 연구성과에 미치는 영향 : 연구역량 및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조경미, 김양균 2015  119
3378 5 과학 기술 사회 소셜 빅데이터를 활용한 미래신호 예측 / 송태민 2016  119
3377 20 죽음과 죽어감 생명연장의 열쇠, 인공심장 기술개발 동향 / 박장선 2003  119
3376 19 장기 조직 이식 조혈모세포이식을 위한 최적의 제대혈 선택 지침 / 유건희 2014  119
3375 20 죽음과 죽어감 한국의 심폐소생술 금지(Do-Not-Resuscitate, DNR) 결정에 대한 통합적 고찰 / 김상희, 이원희 2011  119
3374 15 유전학 유도만능줄기세포 연구의 현황과 전망 / 이영희 2008  119
3373 1 윤리학 팀장의 윤리적 리더십이 팀원들의 역할 내 행동과 긍정심리자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김문주 2017  119
3372 20 죽음과 죽어감 노년기 심리사회적 지지와 죽음준비도가 죽음불안에 미치는 영향 : 자아통합감, 삶의 질의 매개효과 검증 / 조창운 2018  119
3371 15 유전학 유전자 검사 기관의 개인정보 보호 관리 강화 방안 / 정영철 2018  119
3370 9 보건의료 한국인 고혈압 환자의 의료접근성 및 미 충족 의료실태와 위험요인 분석 / 오희영 외 2017  119
3369 9 보건의료 디지털 헬스케어 혁신 동향과 정책 시사점 / 이다은 외 2018  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