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4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의료법학회지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0539695 


건강권의 법적 토대와 그 실현에 대한 국제인권법적 고찰

= Legal Foundation of Right to Health and Issues for Realizing Right to Health 


http://www.riss.kr/link?id=A100539695  


  • 저자명 : 정민수(Jung, Minsoo)  ,김지연(Kim, Ji-Yeon)  ,김수인(Kim, Su-In)   

  • 학술지명 : 한국의료법학회지

  • 권호사항 :  Vol.22 No.2 [2014] 

  • 발행처 : 한국의료법학회 

  • 자료유형 : 학술저널 

  • 수록면 : 205-231(27쪽)

  • 언어 : Korean 

  • 발행년도 : 2014년 

  • 등재정보 : KCI등재 

  • 주제어 :  건강권  ,책무성  ,비정부기구들  ,재판회부가능성  ,관리적 인권  ,Right to health  ,Accountability  ,Non-profit organizations  ,Justiciability ,Managerial human rights


초록

이 글은 세계인권선언(UDHR)과 경제·사회·문화적 권리에 관한 국제협약(ICESCR)을 중심으로 오늘날 건강권이 어떻게 적용되고 실현되며 이에 대한 국제인권법적ㆍ보건학적인 함의는 무엇인지 논의하였다. UDHR은 건강권의 법적인 토대를 놓았고 이러한 권리의 사회적인 실현을 추동해왔다. 각 국가들이 가진 보건의료자원의 정도에 따라서 개인의 권리 실현 정도에는 차이가 있으나 UDHR과 ICESCR은 국가와 사회 기관이 건강권에 대한 책무성을 가지고 관련 제도를 마련하는데 기여를 하였다. 그리고 더 나아가 건강이라는 본질적 권리가 한 사회 안에서 법적으로 검토되고 평등과 비차별의 원칙 하에서 그 실현 범위가 확대되는데 도움을 주었다. 그러나 인권이 한 국가의 실정법 안에서 뿌리내리는데 국제법의 영향력이 미미했던 것처럼 UDHR과 ICESCR 역시 현실에 존재하는 건강권 침해의 구체적 사안들을 해결하는데 제약이 있었다. 이런 측면에서 건강권을 법률적 권리로 실현하는데 국제기구와 비정부기구들(NPOs)의 역할이 컸다. 특히 전지구적 NPOs는 국제보건의 관점에서 HIV 감염인을 위해 ARV(anti-retrovirus) 치료제에 대한 접근권을 요청하여 각국 정부의 책무성(accountability)을 이끌어냈다. 이들은 정부의 관리적 인권(managerial human rights)의 한계를 지속적으로 확대하고자 노력했으며 재판회부가능성을 높여서 건강권의 법적 실현에 도움을 주었다. 그러므로 오늘날 건강권의 근본적인 실현을 위해서는 UDHR과 ICESCR 등을 통하여 건강권의 법적 토대를 강화하는 것뿐 아니라 국제보건의 관점에서 다양한 NPOs의 역할을 모색하는 것이 요구된다. 아울러 환자의 자율성 문제와 같이 점증하는 보건의료 분야의 윤리적인 사안들을 검토하여 건강권 실현을 위한 절차화를 고민하는 것도 필요하다.


목차

【국문초록】

Ⅰ. 들어가는 말

Ⅱ. 건강권의 법적 토대

Ⅲ. 공중보건 관점에서 건강권 테제

Ⅳ. 건강권과 여타의 보건관련 권리들

Ⅴ. 건강권 소송

Ⅵ. 환자의 자율성과 남아 있는 문제들

참고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2968 9 보건의료 전문병원 홈페이지의 의료광고 콘텐츠 분석 / 정해린 2016  149
2967 20 죽음과 죽어감 영국 Specialist Palliative Care (SPC)가 우리나라 호스피스완화의료에 주는 시사점 / 태윤희 2016  149
2966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계약규정을 위한 법률안의 제안 / 윤혜란 2006  149
2965 9 보건의료 보건의료정책 기반마련을 위한 공공데이터 활용 방안 연구 / 이은환 2016  149
2964 1 윤리학 스피노자철학에서의 동물과 윤리 / 김익현 2005  149
2963 20 죽음과 죽어감 소위 연명의료결정법의 법적 쟁점 및 과제 -환자중심의료를 중심으로- / 이무선 2018  149
2962 12 낙태 낙태 문제에 관한 비교법적 연구- 세계 각국의 입법례와 판례를 중심으로 - / 김광재 2018  149
2961 20 죽음과 죽어감 재발성 혹은 전이성 암 환자에서 의사에 의해 제안된 연명의료계획서(POLST)의 작성률과 환자들의 연명의료에 관한 전반적 태도 연구 2019  149
2960 18 인체실험 인간 배아줄기세포의 동결에 이용되는 동결방지제에 대한 연구 / 정주원 외 2013  150
2959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사에 대한 입법론적 고찰 / 조규범 2010  150
2958 9 보건의료 인터넷상의 치과 및 의과 과대광고 사례 분석 : 의료광고 심의제도를 기반으로 / 김종훈 2015  150
2957 9 보건의료 생체신호 기반 바이오인식 시스템 기술 동향 / 최규호 2017  150
2956 7 의료사회학 의료인에 대한 면허자격정지처분의 요건과 절차 -부당한 경제적 이익 등의 취득금지를 중심으로 / 하명호 2016  150
2955 9 보건의료 의료용 인공지능의 허가에 대한 비교제도론적 고찰 : 미국·유럽·중국·일본을 중심으로 / 오지현 2017  150
2954 9 보건의료 치매의 임상적 접근 / 이동국 2013  150
2953 9 보건의료 BRICs 그리고 멕시코 vs. 우리나라의 의약품 인허가 규정 비교 연구/양지영 2016  150
2952 9 보건의료 노인 건강증진을 위한 창의적 움직임 콘텐츠 개발과 U-헬스케어 모델 연구 2017  150
2951 1 윤리학 인간생명존중 윤리의식의 제고 / 김상배 2018  150
2950 12 낙태 낙태죄에 관한 재론-실정법과 현실 사이의 괴리를 극복하기 위한 해결방안/임종희 2018  150
2949 9 보건의료 사무장병원에서 민법상 의료계약의 적법성에 대한 검토/민국현 2018  1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