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53
발행년 : 2012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國際法學會論叢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60211899 
국제보건규칙(2005)상의 전염병 통제 보건조치와 인권의 보호
= Public Health Measures to Control Infeetious Diseases and Protection of Human Rights in International Law 

http://www.riss.kr/link?id=A60211899  


  • 저자명 : 박진아 
  • 학술지명 :國際法學會論叢(The Korean journal international law)
  • 권호사항 : Vol.57 No.2 [2012] 
  • 발행처 : 大韓國際法學會 
  • 발행처 : URL http://www.ksil.or.kr 
  • 자료유형 : 학술저널 
  • 수록면 : 63-89(27쪽) 
  • 언어 : Korean 
  • 발행년도 : 2012년 
  • KDC 360 
  • 등재정보: KCI등재

주제어 
국제보건규칙  ,전염병  ,감염병  ,세계보건기구  ,보건조치  ,인권 보호 의무의 이탈  ,여행자의 인권  ,에이즈  ,개인 정보 보호  ,International Health Regulations ,infectious diseases  ,communicable diseas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public health measures  ,derogation from human rights ,HIV/AIDS  ,protection of personal data

초록

전염병을 통제하기 위한 국가의 보건조치는 전염병의 발생으로부터 인간의 생명과 건강을 보호함과 동시에 격리 및 분리, 여행 제한 등 심각하게 인권을 제한한다는 점에서 인권은 보건조치의 일부로서 반드시 고려되어야 한다. 오랫동안 보건과 인권의 문제는 별개의 주제로 발전해오다 1980년대 후반 HIV/AIDS의 인권 논의를 시작으로 국제보건 차원에서 그 중요성이 강조되기 시작했으며, 2005년 「국제보건규칙」(International Health Regulations: IHR)이 개정되면서 국제보건규범에서는 처음으로 인권 보호가 명시화되었다.「국제보건규칙」은 전염병 규제를 제일의 목적으로 하는 유일한 국제규칙으로서 1969년 WHO에서 채택되어 2005년 전면개정되었다. 이 논문은 「국제보건규칙(2005)」에 명시된 인권 보호 규정에 대한 연구로서 먼저 「국제보건규칙」의 성립과 발전과정 및 주요 개정 내용을 살펴봄으로써 동 규칙의 법적 특성을 검토하였다. 그 다음으로 2005년 개정된 「국제보건규칙」의 인권 관련 규정을 주제별로 나누어 분석하고 평가하였다. 이 방법을 통해 개정된 「국제보건규칙」의 인권 규정의 특징과 미흡한 부분들을 찾아내고 이를 보완 및 강화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목차

Ⅰ. 들어가기
Ⅱ. 국제보건규칙(IHR)의 성립과 발전
Ⅲ. 국제보건규칙(2005)의 인권 규정 분석
Ⅳ. 국제보건규칙(2005)의 인권 규정의 보완과 강화 방안
Ⅴ. 마치며
국문초록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53 9 보건의료 Applying a Global Justice Lens to Health Systems Research Ethics: An Initial Exploration 2015  62
52 9 보건의료 보건의료와 출산 간의 연계성에 관한 거시-미시 접근 / 김동식 외 2016  75
51 9 보건의료 의사의 설명의무 범위와 보건의료적 제언 / 정창우 2017  82
50 7 의료사회학 의료기술의 평가와 급여 결정 방향 / 박종연 2017  96
49 9 보건의료 보건의료서비스 이용에 대한 범주 문헌고찰: 이론기반 실증연구 중심으로 / 고영곤 외 2018  105
48 9 보건의료 보건의료법학에 있어 역사적 연구방법 / 박지용 2017  119
47 9 보건의료 국민의 적정 부담을 위한 비급여 관리 방향 / 공진선 2017  123
46 20 죽음과 죽어감 헤게모니 경합의 장(場)인 정신보건: 중국 개혁시기 여성주의 NGO와 의료전문가의 자살예방 접근방식에 관한 민족지적 연구 / 이현정 2011  137
45 8 환자 의사 관계 보건의료법제 하에서 인공지능기술의 의료영역 도입의 의의와 법적 문제 / 배현아 2017  139
44 9 보건의료 보건의료 안전이슈 모니터링 및 조기경보시스템 모형개발 / 김은정 외 2014  161
43 24 기타 주제전문사서로서의 정신보건사서 양성 교육과정 개발 / 임성관 2017  182
42 1 윤리학 사회환경 변화에 따른 가족위기 특성과 정책과제 / 김유경 2017  185
41 12 낙태 낙태절차에 관한 미국 연방대법원 결정이 우리나라 낙태규제에 주는 시사점 / 오영인 2017  195
40 15 유전학 바이오뱅크(Biobank)를 이용한 연구에 있어서 법적ㆍ윤리적 쟁점에 관한 일고 / 이정현 2012  201
39 9 보건의료 보건의료관련 언론의 오보사례 분석 : 언론중재위원회 중재사례를 중심으로 / 김소윤 1999  206
38 19 장기 조직 이식 한국에서의 조직은행 구조에 관한 연구 / 최승주 2000  212
37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술 관련 법제도 개선방안 연구/이현아 외 2017  220
36 9 보건의료 우리나라 국외단기보건의료활동에서 약사의 역할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 비교제도론적 분석을 중심으로 / 조상은 2014  229
35 2 생명윤리 국내 생명의료윤리 전공자의 보건의료분야 진출 현황 / 구영모 2014  240
34 9 보건의료 병원감염 사건에서 증명책임 완화에 관한 입법적 고찰 - 개정 독일민법을 중심으로 -/유현정 2015  2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