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2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國際法學會論叢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60211899 
국제보건규칙(2005)상의 전염병 통제 보건조치와 인권의 보호
= Public Health Measures to Control Infeetious Diseases and Protection of Human Rights in International Law 

http://www.riss.kr/link?id=A60211899  


  • 저자명 : 박진아 
  • 학술지명 :國際法學會論叢(The Korean journal international law)
  • 권호사항 : Vol.57 No.2 [2012] 
  • 발행처 : 大韓國際法學會 
  • 발행처 : URL http://www.ksil.or.kr 
  • 자료유형 : 학술저널 
  • 수록면 : 63-89(27쪽) 
  • 언어 : Korean 
  • 발행년도 : 2012년 
  • KDC 360 
  • 등재정보: KCI등재

주제어 
국제보건규칙  ,전염병  ,감염병  ,세계보건기구  ,보건조치  ,인권 보호 의무의 이탈  ,여행자의 인권  ,에이즈  ,개인 정보 보호  ,International Health Regulations ,infectious diseases  ,communicable diseas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public health measures  ,derogation from human rights ,HIV/AIDS  ,protection of personal data

초록

전염병을 통제하기 위한 국가의 보건조치는 전염병의 발생으로부터 인간의 생명과 건강을 보호함과 동시에 격리 및 분리, 여행 제한 등 심각하게 인권을 제한한다는 점에서 인권은 보건조치의 일부로서 반드시 고려되어야 한다. 오랫동안 보건과 인권의 문제는 별개의 주제로 발전해오다 1980년대 후반 HIV/AIDS의 인권 논의를 시작으로 국제보건 차원에서 그 중요성이 강조되기 시작했으며, 2005년 「국제보건규칙」(International Health Regulations: IHR)이 개정되면서 국제보건규범에서는 처음으로 인권 보호가 명시화되었다.「국제보건규칙」은 전염병 규제를 제일의 목적으로 하는 유일한 국제규칙으로서 1969년 WHO에서 채택되어 2005년 전면개정되었다. 이 논문은 「국제보건규칙(2005)」에 명시된 인권 보호 규정에 대한 연구로서 먼저 「국제보건규칙」의 성립과 발전과정 및 주요 개정 내용을 살펴봄으로써 동 규칙의 법적 특성을 검토하였다. 그 다음으로 2005년 개정된 「국제보건규칙」의 인권 관련 규정을 주제별로 나누어 분석하고 평가하였다. 이 방법을 통해 개정된 「국제보건규칙」의 인권 규정의 특징과 미흡한 부분들을 찾아내고 이를 보완 및 강화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목차

Ⅰ. 들어가기
Ⅱ. 국제보건규칙(IHR)의 성립과 발전
Ⅲ. 국제보건규칙(2005)의 인권 규정 분석
Ⅳ. 국제보건규칙(2005)의 인권 규정의 보완과 강화 방안
Ⅴ. 마치며
국문초록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588 14 재생산 기술 새로운 임신 기술과 '위험', 그리고 아픈 아이들 : 보조생식술 결과의 국제비교를 중심으로 / 하정옥 2012  593
587 12 낙태 임신중절에 대한 기독교 윤리적 고찰 / 목진수 2014  593
586 9 보건의료 간호중재분류체계(NIC)에 근거한 내·외과계 간호단위의 간호중재 수행 및 건강보험수가 항목 분석 / 박옥엽 2005  594
585 9 보건의료 무엇이 과잉진료를 부추기는가?: 과잉진료의 원인 고찰과 대책 / 박석건 외 2016  594
584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 윤리에서의 환자의 권리에 관한 연구 / 송현미 2000  595
583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에 관한 입법론적 연구 / 김상찬 2013  596
582 20 죽음과 죽어감 삶의 종료 단계에 있어서 환자의 자기결정권에 관한 연구 : 연명치료중단을 중심으로 /정화성 2015  596
581 8 환자 의사 관계 간호사의 법적 책임에 관한 연구/범경철 2014  596
580 18 인체실험 과학 보도 실패에 대한 ANT 사례 분석 / 이충환 2013  596
579 20 죽음과 죽어감 ‘김할머니’ 사례로 살펴본 가정적 연명의료결정에 관한 연구/ 김장한 2016  596
578 22 동물복지 우리나라 동물복지축산의 현황과 법적 과제 /박종원 2017  596
577 19 장기 조직 이식 청소년의 자기결정권 보장방안 연구 : 생체장기기증을 중심으로 /정수진 2015  598
576 14 재생산 기술 일반논문 : 대리출산의 헌법적 논의 / 이병규 2013  599
575 1 윤리학 미국의 생명공학연구 규제입법의 헌법적 함의 / 이상경 2013  599
574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사의 허용요건과 법제화의 방향 / 주호노 2013  601
573 14 재생산 기술 난임여성의 경험을 통해서 본 생식기술 / 김경례 2010  601
572 17 신경과학 인공지능과 상담심리학의 융합방법과 활용 / 최종석 2018  602
571 9 보건의료 메르스 사태 이후 우리나라 보건의료체계의 변화 필요성 / 김윤 2015  603
570 7 의료사회학 디지털 헬스케어 주요 기술 개발 및 발전 방향에 대한 연구/유선길 2018  603
569 14 재생산 기술 문학과 영화 속 복제인간- 샤를로테 케르너의 소설과 롤프 슈벨의 영화 <블루프린트>를 중심으로 / 천현순 2014  6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