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6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석사) --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역학전공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172790 
한국 성인 HIV 감염인구 추계와 역학적 특성

Estimation of HIV infection and epidemic attributes in Korea, 2015 

  • 저자 : 김민우 
  • 형태사항 : vi, 56장 : 삽화 ; 26 cm 
  • 일반주기 
  • 지도교수: 김희진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석사) --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역학전공 2016.8 
  • 발행국 : 서울 
  • 출판년 : 2016 
  • 주제어 : HIV, AIDS, 감염인구 추계, HIV estimation, epidemics, mode of transmission, UNAIDS

초록

배경 및 목적 : HIV/AIDS 감염자의 수와 경향을 파악하는 것은 감염 인구집단에 대한 보건 정책 및 예방과 치료 활동을 위한 기초적인 역학 자료이나, 질병의 특성상 정확한 감염인의 수를 파악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국내에 보고된 HIV 감염인의 수는 내국인의 HIV 검사율을 고려할 때 실제와 차이가 있을 것으로 추정되며, HIV 감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진 고위험 행태를 바탕으로 현재 국내 성인 인구의 HIV 감염 규모를 추계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 : 최근의 HIV 감염 고위험 행태를 문헌 고찰을 통해 역학적으로 재해석하고, 한국 성인 인구집단(WHO 기준: 15 – 49세)을 대상으로 인구정보와 주요 HIV 감염 위험 요인을 통계 모델에 대입하여 HIV 감염 인구를 추정하였다. 예측 모델은 UNAIDS에서 개발한 MoT(Mode of Transmission)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 2015년 국내 성인(15-49세)의 HIV 감염인구 규모는 약 19,485명(10,913-33,180명)으로 추정되었다. 국내 HIV의 전파는 모두 성접촉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보이며, 주요 전파 경로는 남성 동성간의 성접촉으로 추정된다. 성별로는 남성이 99%를 차지하였다. 남성 동성간의 성접촉시 콘돔 사용률이 14% 증가할 경우 약 25.3%의 감염인구 감소 효과가 있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결론 : 국내 HIV 감염인의 수는 계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성접촉이 주요한 원인으로 작용할 것이다. 보호된 성접촉(콘돔 등)의 비율을 높이고 고위험 행태를 개선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하여 보건 관점에서의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다. 또한 HIV 감염 고위험군을 모니터링하고 치료의 영역이 확대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연구 조사가 필요하며, 고위험 행태와 임상에서의 체계적인 데이터 확보는 현재와 미래 감염에 대한 예방 전략을 위하여 필요하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3568 18 인체실험 기관별 심의위원회 체계에 대한 도전과 선진 각국의 대응 / 최은경 2012  401
3567 14 재생산 기술 2008년도 추계학술대회 발표논문 : 여성의 재생산권리와 생명의료과학기술의 관계에 대한 소고 : 보조생식술의 이용을 중심으로 / 김은애 2009  401
3566 9 보건의료 현재 사용되고 있는 화학적 면역억제제에 대한 고찰 / 고진곤 2017  400
3565 20 죽음과 죽어감 한국의 호스피스완화의료정책 / 김창곤 2017  400
3564 15 유전학 연속적인 체세포핵치환을 이용하여 만들어진 복제돼지에서의 미토콘드리아 유전자의 유전 / Minhwa Do 2012  400
3563 5 과학 기술 사회 4차 산업혁명과 안전보건 / 권혁면 2016  400
3562 20 죽음과 죽어감 의사조력자살에 대한 형법적 고찰 / 성경숙 2004  400
3561 14 재생산 기술 인간배아복제와 배아줄기세포 연구에 대한 윤리신학적 성찰 / 길성환 2003  400
3560 20 죽음과 죽어감 중년기 성인의 사전의료의향서, 호스피스완화의료, 연명치료에 대한 인식 / 김신미, 김기숙, 이인숙, 김순이 2013  400
3559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에 관한 법적 고찰 / 조한상, 이주희 2013  400
3558 15 유전학 그룹 구조를 갖는 고차원 유전체 자료 분석을 위한네트워크 기반의 규제화 방법 / 김기풍 외 2016  399
3557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AI) 기반 로봇 의료기기의 활성화 방안 연구 / 오세정 2019  398
3556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 중단"을 둘러싼 한국사회의 법적 논쟁에 관한 연구: 개혁주의적 인간관과 윤리관의 관점에서 / 이상원 2012  398
3555 2 생명윤리 비첨과 췰드리스의 네 원칙에 대한 비판과 공동체주의적 재해석 / 유수정 2016  397
3554 1 윤리학 인간성과 폭력에 대한 법사회학 및 법철학적 해석론의 교차 / 김종호 2018  397
3553 15 유전학 임상유전학의 우생정치 이념 비판 : 우생학과 자녀교육론 / 이을상 2014  397
3552 1 윤리학 한국 의료법체계의 성격과 역사적 변천 / 박형욱 2001  397
3551 14 재생산 기술 연구논문 : 보조생식의료의 법제화를 위한 제언 - 자(子)의 법적 지위를 중심으로 / 이정현 2011  397
» 9 보건의료 한국 성인 HIV 감염인구 추계와 역학적 특성 / 김민우 2016  396
3549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안에 관한 문제점 및 개선방안 / 고준기, 조현, 이강호 2014  3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