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69
발행년 : 2015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석사)-- 연세대학교 대학원 : 나노과학기술협동과정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3768945 
인공지지체를 이용한 생체 인공 간 이식의 신생혈관형성 가능성

http://www.riss.kr/link?id=T13768945  


  • 저자 : 이재근 
  • 형태사항 : 34장 : 삽화 ; 26 cm 
  • 일반주기 : 지도교수: 김경식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석사)-- 연세대학교 대학원 : 나노과학기술협동과정 2015. 2 
  • 발행국 : 서울 
  • 출판년 : 2015
  • 주제어 : 인공지지체, 인공 간, 혈관혈성, 생체이식재료


초록
국내외 많은 연구 자들에 의해 줄기세포(stem cells)를 이용한 간질환 치료 방법이 다양하게 모색되고 있다. 하지만 이식되는 세포에 의한 내분비적 효과를 증명할 수 있는 과학적 근거의 확립이 어려운 상태이며, 이식된 세포가 간(liver) 실질로 이동하여 간세포로서의 기능을 하는지에 대한 검증 조차도 아직 정립된 바가 없다. 또한 간의 특성 중 가장 중요한 혈관 형성은 어렵다고 알려져 있으며, 이것을 해결하기 위한 실제적인 방법이 제시된 바가 없다. 본 연구에서는 간질환 치료를 위한 적정한 수의 세포를 얻기 위해서 간질환 환자의 자가 성체 줄기 세포인 지방 유래 줄기 세포(adipose tissue derived stem cells)를 이용하였다. 이식된 세포가 작용할 간실질과 같은 조건을 만들기 위해 미세섬유를 이용하여 간을 둘러싸고 있는 외부 막과 같은 인공 막을 형성하여 이식된 세포가 간세포로서의 기능을 할 수 있도록 인공 장기 형태를 유지하게 만들었다. 많은 인공 장기들이 세포 이식을 넘어서 장기로서의 기능을 하지 못하는 가장 큰 장애물이 혈관 형성으로 인공 간이 생체에 잘 붙어, 장기로서의 기능을 하기 위해서는 가장 먼저 산소와 에너지가 공급되고, 대사 물질이 순환 되는 혈관 형성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인공지지체(scaffolds) 를 이용한 생체 인공간에 혈관 형성이 얼마나 잘 일어나며 어떤 과정을 통해 일어나는 지를 연구해 보고자 하였다. 면역억제쥐(SCID-mice)(N=4)의 위(stomach)표면에 상처(scratch)를 낸 후 지방유래 줄기세포를 주입한 인공지지체를 이식(implantation)하였다. 이후 30일 째 면역형광염색을 통하여 신생혈관형성 표지자(Angiogenesis marker)인 혈관내피세포 성장인자(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VEGF)), CD34, CD 105 의 발현(expression) 정도를 살펴 보았다. I형 콜라겐으로 이루어진 인공지지체 신생혈관형성이 수술 후 30일째까지 내부로 혈관형성이 이루어지거나 혈관 내피세포는 보이지 않았으며, 세포 내 신생혈관형성 표지자의 발현은 없었다. 이는 인공지지체에 이식된 세포에서 신생혈관형성을 촉진한다는 것을 입증하지는 못했지만, 주위 조직과 조직반응이 적으며 이식된 세포는 잘 유지되는 특성을 보여 I형 콜라겐을 이용한 인공지지체가 생체 이식 재료로서의 가능성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69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추정적 의사 / 김필수 2012  61151
68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 신장 공여자의 공여 후 적응 경험 / 강다해솜 외 2016  18243
67 19 장기 조직 이식 뇌사와 장기이식의 윤리적 문제에 관한 연구 / 이태관 2003  7235
66 19 장기 조직 이식 간호대학생의 생존 시와 뇌사 시 장기기증 의도에 관한 구조모형/김은아외 2015  5056
65 19 장기 조직 이식 뇌사판정과 장기이식의 윤리적 문제 / 이종원 2012  4179
64 19 장기 조직 이식 잠재 뇌사자에서 성공적 장기 기증과 기증 동의와 관련된 인자/이은우 외 2017  4119
63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이식제도의 문제점과 개선점에 관한 연구 / 김현숙 2007  1249
62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이식에서의 RNA간섭 치료법의 전망 / 김재영 2015  1225
61 19 장기 조직 이식 뇌사에 대한 기독교 윤리적 고찰 / 김상섭 2001  894
60 19 장기 조직 이식 뇌사와 장기이식에 대한 윤리신학적 고찰 / 김진모 2007  791
59 19 장기 조직 이식 이종장기이식의 최신지견 / 윤익진 2016  780
58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ㆍ완화의료와 윤리적 쟁점 / 조유향 2015  732
57 19 장기 조직 이식 한국의 생체장기 기증제도에 대한 윤리적 고찰 / 김명희 2004  717
56 19 장기 조직 이식 병원간호사의 간호윤리 가치관 및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태도에 관한 연구 / 김예진, 이명남 2011  689
55 19 장기 조직 이식 사형수의 장기기증이 갖는 윤리적 쟁점에 관한 연구 / 안상희, 권복규 2012  607
54 19 장기 조직 이식 청소년의 자기결정권 보장방안 연구 : 생체장기기증을 중심으로 /정수진 2015  599
53 19 장기 조직 이식 원저 : 뇌사 장기 기증자 가족의 장기 기증에 대한 긍정성 조사 / 이재헌, 이원정, 이재명 2014  572
52 20 죽음과 죽어감 장기요양 시설 사회복지사의 사전의료의향서 지식 및 노인환자 임종의료결정에서의 역할 이해도 / 한수연 2015  564
51 20 죽음과 죽어감 대학생들의 연명치료중지에 대한 인식 및 태도가 장기기증의사에 미치는 영향 / 최령, 황병덕 2012  533
50 14 재생산 기술 <네버렛미고>를 통해본 복제 인간 윤리 / 김미혜 2017  5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