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117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개혁신학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4300368 


연명치료 중단에 관한 법 시행을 앞둔 윤리적 논쟁점과 방향제시 

- 2018년 웰다잉법 시행, 한국사회와 교회의 역할을 중심으로-


= The Ethical Issues and Proposals before “Withdraw Life-Sustaining Treatment Law” 

-Focusing on the social function of the Christian communities implementing ‘Well-Dying Law’(2018)-




  • 저자명 :김광연 ( Gwangyeon Kim ) 
  • 학술지명 : 한국개혁신학 
  • 권호사항 Vol.56 No.- [2017] 
  • 발행처 한국개혁신학회 
  • 발행처 URLhttp://www.reformedth.com 
  • 자료유형 : 학술저널 
  • 수록면 : 303-338(36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 2017년 


주제어 

연명치료중단  , 존엄사  , 웰다잉법  , 인간존엄성  , 생명의 통일성  , Withdraw of Life-Sustaining Treatment  , Death with Dignity  , Well-Dying Law , Human Dignity  , Unity of Life



http://www.riss.kr/link?id=A104300368



초록


유럽의 일부 국가에서 ‘존엄사’가 시행되었고, 한국에서도 2018년 연명치료중단에 관한 법률(소위 웰다잉법)이 제정되어 ‘웰다잉법’ 시행을 코앞에 두고 있다. 현재 이 사회에서는 이미 법적인 절차가 마무리 되었지만, 여전히 서로 다른 입장으로 인해 웰다잉법에 관한 윤리적 논의가 진행 중에 있다. 연명치료중단은 “인간 생명은 어떤 것보다 우선순위에 있고, 그 생명을 결코 ‘수단’으로 대해서는 안 된다”는 ‘생명 존중’과 “고통속에서 편안한 죽음을 맞이할 수 있게 해 달라”는 ‘죽을 권리’ 의 인정 즉, ‘생명의 자기 결정권’ 사이에서의 논란을 부추기고 있다.

앞으로 2018년 ‘웰다잉법’ 시행을 앞두고, 법의 시행과정에서 환자에게 ‘죽을 권리’를 인정하게 될 경우, 인간 존엄성이 훼손될 수 있다. 이에 교회와 신학은 인간 생명의 ‘통일성’을 제시해야 한다. 인간의 몸은 단순한 생물학적 존재의 가치를 넘어 몸과 영혼의 통일성을 가졌다. 인간 생명은 하나님과의 임재를 경험하는 주체이고 하나님이 거하는 성전이다. 이에 생명의 인위적 단축은 ‘하나님의 형상’을 입은 인간 생명의 가치를 훼손하는 것임을 주장해야 한다.

한편, 인간 존엄성이 훼손될 경우, 우리의 실존은 더 이상 존재의 의미를 발견하기 힘들다. 인간 존엄성의 문제는 선택의 문제가 아니라, 이 사회가 함께 지켜나가는 최고의 가치이다. 이에 웰다잉법 시행과정에서 자칫 환자의 치료비용 문제나 여러 다른 이유로 인해 생명을 인위적으로 단축하는 일은 발생되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다.

끝으로 연명치료중단 과정에서 생명의 인위적 단축은 생명의 주권이 하나님께 있음을 부정하기 때문에 남용되지 않게 신학자, 의료윤리학자, 의학자들의 합의로 구성된 ‘임상윤리 서비스’와 사회보장제도 장치도 마련돼야 할 것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117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추정적 의사 / 김필수 2012  61115
116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의 기준과 절차 : 대법원 2009. 5. 21. 선고 2009다17417 판결이 가지는 문제점을 중심으로 / 이석배 2009  7185
115 5 과학 기술 사회 21세기 과학기술법의 과제 / 손경한, 박진아 2007  6795
114 2 생명윤리 의료영역에서 인간의 존엄, 생명, 생명권의 관계 / 이석배, 김필수 2012  4417
113 15 유전학 유전자 검사와 치료에 대한 윤리적 문제 고찰 / 박태정 2006  4284
112 20 죽음과 죽어감 인간배아 복제에 대한 윤리적 고찰 / 진교훈 2009  3805
111 8 환자 의사 관계 생명윤리에서 생명권과 자기결정권 / 이석배 2007  3695
110 14 재생산 기술 시험관아기시술에 관한 생명윤리적 쟁점에 대한 연구 / 신미향 2013  2408
109 18 인체실험 배아복제 기술의 윤리적 문제와 줄기세포 연구의 한계 / 김광연 2015  2233
108 2 생명윤리 피터 싱어의 생명 윤리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정창록 2012  2064
107 1 윤리학 칸트의 윤리학에 나타난 인간 존엄성의 근거와 보편 가능성으로서의 도덕법칙의 요청 / 김광연 2016  2006
106 2 생명윤리 비트겐슈타인의 확실한 것들과 인간 존엄 및 인간 생명 존중 / 최경석 2014  1552
105 1 윤리학 생명윤리에 대한 형법적 보호의 범위와 한계 / 이석배 2008  1472
104 5 과학 기술 사회 로봇윤리의 기본 원칙: 로봇 존재론으로부터 / 고인석 2014  1359
103 18 인체실험 인간배아줄기세포의 특허보호에 관한 유럽의 최신 동향 : 유럽사법재판소의 Brüstle v. Greenpeace 판결을 중심으로 / 한지영 2014  1223
102 14 재생산 기술 인간복제를 규제하는 국제규범 -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의 문제점과 개정방향 모색 / 류병운 2014  1211
101 14 재생산 기술 인간복제에 대한 기독교 윤리적 조명 / 김평관 2005  1150
100 14 재생산 기술 인간복제에 대한 기독교적 입장 및 대안 / 박상중 2003  1045
99 14 재생산 기술 배아의 존재론적 지위와 그 존엄성에 관한 연구 : 샌델과 하버마스의 논의를 중심으로 / 김광연 2014  1013
98 11 피임 윤리적 관점에서 본 응급피임약/최진일 2015  9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