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8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석사)-- 고신대학교 대학원 : 간호학과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675367 



난임 여성의 난임 관련 삶의 질 영향요인 

= The Factors Affecting on the Infertility Quality of Life among the Infertility Women


  • 저자 : 이영희 
  •  형태사항 : 26 cm
  •  일반주기 : 지도교수: 박정숙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석사)-- 고신대학교 대학원 : 간호학과 2018.2
  •  발행국 : 부산
  •  출판년 : 2018
  •  주제어 : 난임 여성, 난임 관련 삶의 질, 난임스트레스, 회복탄력성, 부부친밀감


초록

최근 만혼 및 유산, 장기간의 피임방법 사용 증가, 비만, 운동부족, 스트레스, 환경오염 등의 이유로 난임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난임은 난임 여성의 삶의 전 영역에 걸쳐 영향을 미치며 삶의 질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난임 여성의 난임스트레스, 회복탄력성 및 부부친밀감 정도를 파악하고 이 요인들이 난임 여성의 삶의 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함으로써 이들의 난임 관련 삶의 질을 증진시키기 위한 간호 중재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며, 연구대상자는 B광역시에 위치한 일개 종합병원 난임 클리닉에서 난임의 진단을 받고 치료 중인 여성 9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7년 8월 7일부터 동년 9월 20일까지였다. 자료수집 방법은 B광역시 K대학교의 기관생명윤리위원회의 승인을 받은 후, B광역시 일개 소재의 종합병원 간호 부서장 및 해당 난임 클리닉 의료진에게 허락을 받아 구조화된 설문지를 제공한 후에 직접 작성하도록 한 후 회수하였다. 연구 도구로 난임스트레스 측정도구는 Newton등(1999)에 의해 개발된 난임 문제 목록(Fertility Problem Inventory; FPI)을 김주희와 신혜숙(2013)이 번안한 도구를, 회복탄력성 측정도구는 신우열, 김민규, 김주환(2009)이 개발한 한국형 회복탄력성 지수(Youth Korea Resilience Quotient; YKRQ-27)를 사용하였다. 부부친밀감 측정도구는 이경희(1998)가 개발한 부부친밀감 척도로, 난임 관련 삶의 질 측정도구는 유럽생식배아회(European Society of Human Reproduction & Embryology)와 미국생식의학회(American Society of Reproductive Medicine)에서 제시한 난임 관련 삶의 질 도구(FertiQol International)를 김주희(2012)가 번안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 방법은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ANOVA, Scheffé test 및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난임스트레스 정도는 평균이 143.88±26.59(도구범위: 46-276), 평균평점은 3.12±059(척도 범위: 1-6)으로 나타났다. 회복탄력성 정도는 평균 100.44±10.18(도구 범위: 27—135), 평균평점 3.72±0.37(척도 범위: 1-5)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부부친밀감 정도는 평균 50.72±5.07(도구 범위: 15-75), 평균평점이 3.38±0.33(척도 범위: 1-5)으로 나타났다. 난임 관련 삶의 질 정도는 평균 78.97±12.13(도구 범위: 24-120), 평균평점이 3.29±0.50(척도 범위: 1-5)으로 나타났다. 2. 대상자의 제 특성에 따른 난임 관련 삶의 질 정도는 일반적 특성 중 결혼기간(F=3.675,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3208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 암환자 가족의 연명의료 결정에 대한 의사결정 갈등, 치료결정 후회와 심리적 스트레스 / 전보민 2016  324
3207 13 인구 인구구조변화에 따른 국가별 주택관련 정책 비교연구 / 이무희 2016  324
3206 9 보건의료 일본의 의약품 및 의료기기 부작용에 대한 피해구제제도와 시사점 / 최철호 2016  324
3205 1 윤리학 일본 개정 행정불복심사법에 관한 고찰 -공정성과 준사법절차를 중심으로- / 박웅광 2016  324
3204 19 장기 조직 이식 심장이식 수혜자의 대처행동 연구 : 스트레스, 대처행동, 삶의 질의 관계중심으로 / 황영옥 2004  324
3203 2 생명윤리 생명윤리 교육프로그램이 요양보호사에 미치는 효과/정은영, 박지경 2015  324
3202 8 환자 의사 관계 한국소비자원 의료분쟁 조정제도의 개선방안/전병남 2015  324
3201 14 재생산 기술 난자제공 여성의 보호관점에서 본 난자채취 손해배상 청구소송 / 김현아 2015  324
3200 14 재생산 기술 생명과학기술사회에서 여성의 생식권에 관한 연구 / 윤계형 2009  324
3199 9 보건의료 신설 의학교육기관 평가인증 기준 및 규정 개발 연구 / 김영창 2019  323
3198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의 안전성 이슈와 정책 대응 방안 / 양희태 2018  323
3197 1 윤리학 동물윤리 ; 동물윤리와 환경윤리: 동물해방론과 생태중심주의 비교 / 김명식 2013  323
» 14 재생산 기술 난임 여성의 난임 관련 삶의 질 영향요인 / 이영희 2018  323
3195 19 장기 조직 이식 신장이식 수술 직후부터 실시한 매일 운동프로그램이 근력과 생리적 지수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 권경혜 2013  323
3194 2 생명윤리 생명존중 프로그램이 저소득층 청소년의 생명존중의식과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효과성 연구/안선민, 박경일 2016  323
3193 1 윤리학 몸의 성서신학적 이해/백운철 2016  323
3192 15 유전학 생물다양성의 보전과 나고야 의정서의 법·정책적 대응·과제/김세규 2013  323
3191 9 보건의료 병행과정 확장 모델을 적용한 메르스 예방 행동 의도에 관한 연구 / 유성신 2016  322
3190 1 윤리학 개인정보 보호법의 문제점과 실효성 확보방안에 관한 연구 / 이인곤 2014  322
3189 12 낙태 독일과 한국에서의 낙태의 규범적 평가에 관한 비교법적 고찰 / 김학태 2010  3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