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5
발행년 : 2016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박사)-- 동아대학교 대학원 : 국제법무학과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008887 

한국에서의 인종차별에 대한 법적 규제에 관한 연구


= A Study of Legal Regulations on Racial Discrimination in Korea



저자 : 오희순

형태사항 : xi, 187: 삽도,챠트 ; 27 cm    

지도교수: 이학춘

부록: 1.인종차별금지법 전문, 2.세계인권선언, 3.모든 형태의 인종차별 철폐에 관한 국제협약참고문헌: p. 149-156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박사)-- 동아대학교 대학원 : 국제법무학과 2016.2

출판년 : 2016

주제어  :  다문화 가족, 결혼이민자, 인종차별철폐협약, 표현의 자유, 혐오발언


 초록


한국은 1978년에 UN의 인종차별금지에 관한 협약인 ‘모든 형태의 인종차별 철폐에 관한 국제협약(Convention on the Elimination of All Forms of Racial Discrimination)’에 가입하였다. 하지만 UN인권기구에서는 인종차별문제에 대하여 소극적인 입장을 취하는 한국에 우려를 표시하고, 보다 적극적으로 다양성을 증진하기 위해 인종차별금지법 제정 등과 같은 법적조치 등을 지속적으로 권고하였으나 그 이행도 미흡한 실정이다.
한국 내에서 인종차별 증오발언이 대중매체와 인터넷을 통해 확산되고 있음을 감안할 때 권고내용 중 인종차별에 대처하기 위한 법적 장치의 마련, 인종차별 정의(definition)의 국내법 포함, 관련 사건의 적극적인 인종차별적 판례나 해석을 통하여 인종차별의 사례를 축적해 나갈 필요가 있다.



목차

Ⅰ. 서 론 1
1. 개관 1
2. 연구의 목적 3
3. 연구의 범위와 방법 6

Ⅱ. 한국사회의 인종차별의 실태와 국내법상 차별요소 8
1. 서설 8
2. 인종차별의 법적 개념 10
가. 인종차별의 일반적 배경 10
나. 국제법상 인종차별의 의의 11
다. 국내법상 인종차별의 의의 12
3. 한국사회의 인종차별 실태 14
가. 한국사회의 다문화사회 진입과 인종차별 문제의 심화 14
나. 부문별ㆍ대상별 인종차별 실태 17
(1) 부문별 인종차별의 실태 18
(2) 대상별․인종차별 실태 22
4. 국내법 상 인종차별 요소 27
가. 불법체류 외국인에 대한 법적 차별 27
나. 비동포 미등록 체류자에 대한 법적 보호의 배제 31
다. 출입국관리법 상 외국인에 대한 차별 35
라. 노동법 상 외국인근로자에 대한 차별 36
(1) 비동포 외국인근로자에 대한 차별 36
(2) 종사업종의 차이에 따른 차별 36
(3) 재외동포 간 차별 41
(4) 내국인과 외국인 간 차별 42
(5) 외국인 여성근로자에 대한 차별 46
마. 외국인 이주여성에 대한 법적 차별 47
(1) 결혼중개업법과 다문화가족지원법 상 차별 47
(2) 가정폭력, 성폭력, 인신매매 등에 관한 법적 보호의 미흡 50
(3) 예술ㆍ흥행 분야 이주 여성근로자에 대한 E-6 비자 발급과 관리 51
바. 난민, 난민신청자 및 무국적자에 대한 법적 보호의 미흡 53
5. 소 결 55

Ⅲ. 우리나라 국내법 상 인종차별에 대한 법적 규제와 문제점 57
1. 서설 57
2. 인종차별 규제의 법적 근거 58
3. 인종차별행위에 대한 법적 규제 61
가. 국가인권위원회법 상 규제조치 61
(1) 진정 제기 등 61
(2) 피해자의 진정 접수 62
(3) 구제조치의 이행 권고 63
(4) 법령·제도·정책·관행의 시정 또는 개선 권고 63
나. 형법 등 처벌규정 64
4. 인종차별에 대한 법적 대응과 평가 64
가. 법적․제도적 대응의 강화 64
나. 법적․제도적 대응의 실효성 미흡 67
다. 정부의 외국인정책에 대한 재검토 68
라. 국가인권위원회의 독립성 강화와 권한 73
5. 소결 74

Ⅳ. 인종차별 문제에 대한 국제사회의 규범적 대응 80
1. 서설 80
2. 인종차별 금지 및 철폐를 위한 주요 국제규범 82
가. 모든 형태의 인종차별 철폐에 관한 국제협약 82
나. 세계인권선언 84
다. 시민적ㆍ정치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 84
라. 경제적ㆍ사회적 및 문화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 85
마. 모든 이주노동자와 그 가족의 권리보호에 관한 국제협약 86
3. 주요 국가의 인종차별금지에 관한 국내법 87
가. 미국 87
나. 영국 88
다. 프랑스 90
라. 독일 91
마. 일본 93
바. 호주 101
사. 남아프리카공화국 103
아. 기타 103
4. 인종차별 금지 및 철폐에 관한 국제협약의 국내적 적용의 한계와 문제점 104
5. 소결 108

Ⅴ. 한국에서의 인종차별금지법 제정을 위한 법적 검토 116
1. 서설 116
2. 인종차별 금지법 제정의 필요성 117
가. 인종차별사건에 있어서 구제제도 및 형사재판제도의 한계 117
나. 현행 실체적 법제도에서의 인종 차별해소의 한계 118
다. 인종차별의 법적 규제의 한계성 극복 120
라. 인종차별 발생 시 국가적 브랜드의 실추 예방 122
3. 입법추진과정과 그 평가 124
가. 인종차별금지법(안)제정 논의 상황 124
나. 차별금지법(안) 입법추진 과정에 대한 평가 126
(1) 제17대 국회 126
(2) 제18대 국회 126
(3) 제19대 국회 126
(4) 최근 동향 127
4. 인종차별금지법(안) 법적 검토와 대안제시 129
가. 목적규정 129
나. 인종차별에 대한 정의 신설필요 132
다. 차별의 범위면 에서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134
라. 차별금지 예외면 에서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137
마. 다른 법률과의 관계에서 문제점과 개선방안 139
바. 차별구제에서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140
5. 소결 142

Ⅵ. 결 론 145

참고문헌 149

Abstract 157

부록 161
1. 인종차별금지법 전문(민주당 전병헌의원의 입법예고안)
2. 세계인권선언
3. 모든 형태의 인종차별 철폐에 관한 국제협약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35 13 인구 동유럽 국가의 저출산 및 가족 정책 현황과 시사점 / 신윤정 2017  104
34 13 인구 국내외 정책 환경을 감안한 다문화가족정책 조정방안: 다문화인식개선사업 재고와 주류화 / 김혜순 2017  118
33 19 장기 조직 이식 모자간의 신장이식에서 이식 전 말초혈액에 존재하는 미세키메라현상이 이식신 생존에 미치는 영향 / 주신영 2009  137
32 1 윤리학 임의후견에서 본인의 자기결정권과 법원의 감독 / 김수정 2017  145
31 1 윤리학 ‘가족의 위기’ 시대, 가족 이데올로기의 재구성/전주희 2017  169
30 20 죽음과 죽어감 가족 구성에 따른 호스피스 완화의료 말기암환자의 특성/박상미 외 2018  179
29 1 윤리학 사회환경 변화에 따른 가족위기 특성과 정책과제 / 김유경 2017  185
28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이식 수혜자의 가족 및 의료인 지지와 희망이 사회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 김옥수 외 2016  232
27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환자 가족의 삶의 질 영향요인 / 김소영 2016  243
26 1 윤리학 결혼이주여성 배우자의 문화적응스트레스와 가족건강성의 관계에서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 / 이미경 2018  258
25 13 인구 유럽의 인구동향 및 저출산 대응 가족정책과 한국 인구정책의 과제 / 전광희 2018  266
24 12 낙태 통계로 본 가족실태 및 태도와 그 사목적 의의 / 조세희 2015  271
23 20 죽음과 죽어감 '부모-자녀 동반자살'을 통해 살펴 본 동아시아 지역의 가족 관념 : 한국, 중국, 일본 사회에 대한 비교문화적 접근 / 이현정 2012  328
22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 중단 결정 태도와 암환자 가족의 특성에 관한 연구 : DNR을 중심으로 / 장지영 2010  344
21 15 유전학 연구논단 : DNA데이터베이스와 프라이버시권: 사회안전과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중심으로 / 김혜경 2014  418
20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환자 가족돌봄제공자의 건강상태 영향 요인 / 정복례, 박현숙 2014  426
19 20 죽음과 죽어감 재가노인의 좋은 죽음에 대한 인지도와 가족지지의 영향 / 김춘길 2014  433
18 13 인구 저출산의 정치경제학 : 프랑스 제3공화국 전반기의 인구위기와 〈프랑스 인구증가를 위한 국민연합〉 / 오경환 2010  461
17 20 죽음과 죽어감 사별 가족 연구 동향 분석 : 1994년부터 2013년 상반기까지 / 차유림 2014  468
16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병동 말기 암환자 가족의 돌봄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김계숙 2016  4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