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06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美國憲法硏究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75092732 

생명과학기술의 발전과 인간의 존엄 :  생식체계(Reproduction System)에 관한 미국의 입법과 판례를 중심으로

=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 and Legal Issue in the United States from a Point of View Human Dignity


http://www.riss.kr/link?id=A75092732 


저자명 : 朴宣映(Park Sun-Young)

학술지명 : 美國憲法硏究(Studies on American constitution)

권호사항 : Vol.17 No.2 [2006]

발행처 : 미국헌법학회

자료유형 : 학술저널

수록면 : 165-213(49)

언어 : Korean

발행년도 : 2006

 

초록

생식기술의 다양한 발전과 실생활에의 적용, 입법과 사법의 난맥상은 지금까지의 법학 이론으로는 도저히 풀 수 없는 대단히 생소하고도 어려운 문제를 야기하면서, 인간존재의 始點終點에 관한 기존의 이론을 송두리째 흔들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황우석 교수 사태를 겪으면서 생명과학기술의 중심핵이라고 할 수 있는 인간배아에 관한 논의가 현재로서는 주춤한 상태지만, 영국은 이미 2001년에 인공수정및발생에관한법률을 제정하여 수정 후 14일 이전의 배아에 대한 질병치료목적의 배아복제연구를 허용하였고, 유럽의회는 2006. 6. 13. 배아줄기세포 연구를 위한 기금예산안을 승인했으며, 벨기에 상원은 미혼 및 동성부부들에게도 인공수정을 허락하면서 동시에 자신들이 원하는 배아선택을 허용하는 법을 제정하였다. 미국은 연방차원에서의 통일된 입법이 존재하지 않는 상황에서 에 따라 실정법을 통해 다양한 생식기술을 인정하기도 하고 전면금지하기도 하는 등, 외형적으로는 다양한 입법내용을 보이고 있지만, 냉동보관된 배아를 이용한 死後出産의 형태가 가장 많이 일어나는 나라가 미국이고, 에 따라서는 이를 허용하는 州法도 존재한다. 동시에 생식기술과 관련한 판례도 상당수 집적되어 있으나, 각급 법원마다 생식기술로 인해 출생한 의 법적 지위인정 여부는 상당히 다르게 판결하고 있다. 한 마디로 현대 과학기술의 발전은 생명의 기원과 종말시점의 외연을 광범위하게 확대하면서 새로운 법이론의 정립을 요구하고 있다. 물론 인체를 대상으로 실험하는 과정에서 야기되는 종교적·윤리적 논란도 피할 수 없는 화두지만, 이미 생식체계로 인해 야기되는 문제는 종교적·윤리적 차원의 문제를 떠나 배아전쟁이라고 불리울 정도로 법학계가 시급히 해결해야 할 난제로 부상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국내에서의 논의는 복제인간 출현 가능성에 대한 우려와 배아 파괴를 수반하는 연구의 윤리적인 문제, 개인 유전정보 노출과 남용으로 인한 프라이버시 침해 문제 제기 등에 그치고 있을 뿐, 법적인 논의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심지어 2004년도에 생명윤리및안전에관한 법률이 제정될 때 정치경제사회적 논란은 뜨거웠어도 법학적인 논의는 거의 제기조차 되지 않았다. 이에 본고는 생식체계와 관련된 미국에서의 입법과정과 그 내용, 이와 관련된 각급 법원의 판례를 집중 분석함으로써 앞으로 우리나라에서도 전개될 동일한 문제제기와 해결방안에 활용 가능한 헌법적 해법방안을 인간의 존엄이라는 과점에서 제시하였다.

 

목차

. 과학문명의 발달과 인간의 生死

. 인간의 존엄과 생명과학기술

. 胚芽에 대한 立法司法

. 생명과학기술과 인간의 존엄성

저자소개

[參考文獻]

[國文抄錄]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2948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에 대한 간호사의 인식 2017  284
2947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사의 현재와 미래 / 홍태석 2014  284
2946 19 장기 조직 이식 우리나라의 인체기증 활성화방안 : 장기, 각막, 인체조직을 중심으로 / 정봉실 2009  284
2945 8 환자 의사 관계 의사의 경제적 설명의무 / 최행식 2014  284
2944 5 과학 기술 사회 딥러닝 기반의 의료영상 분석 성능에 대한 영상처리를 통한 데이터 증강방법의 효과에관한연구/ 김상욱, 김휘영 2018  283
2943 14 재생산 기술 임신·출산 지원 보건의료정책의 현황과 추진 방향 / 이소영 2017  283
2942 14 재생산 기술 헌재 2010.5.27. 선고, 2005헌마346 전원재판부 결정내의 인간배아 발생의 자연과학적 인식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최진일 2017  283
2941 20 죽음과 죽어감 중환자실 간호사의 연명의료 태도, 스트레스 및 사전의료의향서 인식 / 엄정경 2017  283
2940 1 윤리학 연구논문 : 베트남 국제사법의 특징과 유의점 -재산관계의 준거법을 중심으로- / 한종규 2016  283
2939 15 유전학 GMO의 비의도적 유출과 개발기업의 책임 / 김은진 2015  283
2938 15 유전학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 전부개정(안)과 바이오뱅크를 이용한 연구에서의 피험자 보호방안 / 이정현 2010  283
2937 20 죽음과 죽어감 타이완 「안녕완화의료조례」 법제화의 시사점 / 양정연 2014  283
2936 7 의료사회학 현행 임상시험종사자 교육제도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김인순 2018  282
2935 1 윤리학 연구논문 : 정치인의 이미지가 유권자의 후보자 선택에 미치는 영향 -미국 대통령 예비선거 과정을 중심으로- / 박선영 2016  282
2934 15 유전학 나고야의정서(ABS) 시행 이후 중국 관련법제 및 향후 정책에 따른 우리의 대응방안/강문경, 배정생 2014  282
2933 20 죽음과 죽어감 죽음을 대하는 현대의학의 태도 비판 / 박중철 2017  281
2932 9 보건의료 트랜스젠더의 의료적 트랜지션과 의료서비스 이용 / 손인서 2017  281
2931 9 보건의료 다산 정약용의 『목민심서』에 나타난 자(慈)의 원리와 한국 HIV·AIDS 감염인의 인권을 위한 의료인의 역할/정창록 외 2014  281
2930 9 보건의료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개인형 맞춤 의료 대책 방안 연구 : 감염병 중심으로 / 허준구 2016  281
2929 9 보건의료 사회적 낙인, 영성, 자아존중감이 HIV/AIDS 감염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강선경 2015  2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