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09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동서사상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1016430 


인간배아 복제에 대한 윤리적 고찰

= An Ethical Study on the Research Concerning the Cloning of Human Embryo


http://www.riss.kr/link?id=A101016430 

 

저자명 : 진교훈(Chin Kyo-Hun)

학술지명 : 동서사상(경북대학교 동서사상연구소 논문집)

권호사항 : Vol.7 No.- [2009]

발행처 : 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

발행처 URL : http://ewth.co.kr

자료유형 : 학술저널

수록면 : 17-38(22)

언어 : Korean

발행년도 : 2009

주제어

인간배아복제 ,배아줄기세포 ,성체줄기세포 ,체세포복제배아 ,냉동잔여배아의 딜레마 ,the cloning of the embryo ,embryonic stem cell ,adult stem cell,full personhood ,the cloning of the embryo ,the dilemma of the surplus of the embryo

 

 

초록

이 논문은 인간배아의 도덕적 지위와 인간배아의 실험 및 복제의 윤리적 문제점들을 파헤쳐 보고, 이어서 다른 나라들은 인간배아 실험 및 복제에 대하여 어떤 정책을 가지고 있는가를 살펴보고, 끝으로 우리가 왜 인간배아의 생명을 보호하지 않으면 안 되며, 더 나아가 어떻게 우리가 인간생명의 존엄성을 보전할 수 있을 것인가를 규명해 보려고 한다.인간배아의 도덕적 지위는 인간배아는 그 창출 순간부터 완전한 인간의 지위가 부여된다. 따라서 자궁에 착상되기 전의 인간배아도 성인(成人)과 도덕적으로 동등한 존재이다. 그러므로 또한 체외수정을 통해서 만들어진 배아와 체세포핵이식을 통해서 만들어진 배아, 즉 복제배아도 정상적으로 수정된 배아와 마찬가지로 생명권과 도덕적 지위를 인정해 주어야 할 것이다. 배아줄기세포 연구에 대한 윤리적 문제점은 인간배아는 이미 생명을 지닌 온전한 생명체이고 완전한 인간으로 되어가고 있기 때문에 인간배아를 실험도구로 사용한다는 것은 분명히 성장한 인간을 실험도구로 이용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인간생명의 존엄성을 파괴하는 만행이다. 따라서 인간배아복제도 일종의 인간복제이므로 배아를 손상시키는 모든 실험은 금지되어야 할 것이다.

 

 

목차

[논문개요]

. 서론

. 인간배아의 도덕적 지위

. 인간배아 복제 및 실험의 문제점

. 인간배아의 실험 및 복제에 대한 규제의 국제적 동향

. 결론

참고문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68 20 죽음과 죽어감 보호의무자에 의한 정신질환자 강제입원·치료제도의 위헌성 - 독일 연방헌법재판소의 관련 판례의 응용을 중심으로 / 정태호 2016  3778
67 20 죽음과 죽어감 심폐소생술 금지(DNR) 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갈등 / 김현아 2011  3780
» 20 죽음과 죽어감 인간배아 복제에 대한 윤리적 고찰 / 진교훈 2009  3818
65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후견주의와 환자의 자기결정권 - 의사의 설명의무를 중심으로 - / 이석배 2007  3836
64 18 인체실험 Editorial: The 2013 special issue on stem cell biology / Dangsheng Li 2013  3950
63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의 동의와 자율성의 법적ㆍ윤리적 고찰 / 이한주 2014  3972
62 19 장기 조직 이식 잠재 뇌사자에서 성공적 장기 기증과 기증 동의와 관련된 인자/이은우 외 2017  4118
61 1 윤리학 현행 형집행정지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이석배 2013  4158
60 19 장기 조직 이식 뇌사판정과 장기이식의 윤리적 문제 / 이종원 2012  4172
59 15 유전학 유전자 편집 기술의 윤리·법·사회 문제 해결방안 / 이수빈 2019  4225
58 15 유전학 유전자 검사와 치료에 대한 윤리적 문제 고찰 / 박태정 2006  4289
57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간호사의 윤리적 딜레마 상황에서의 도덕적 의사결정에 대한 연구 / 심옥주 2002  4298
56 18 인체실험 임상간호사의 윤리적 가치관과 윤리적 갈등문제에 관한 연구 / 안은숙 1994  4340
55 15 유전학 나고야의정서가 전통지식보호에 미치는 영향과 그 대응책 -한의약에 관한 전통지식을 중심으로-/고광국 2013  4351
54 2 생명윤리 의료영역에서 인간의 존엄, 생명, 생명권의 관계 / 이석배, 김필수 2012  4417
53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의 의사에 반하는 연명의료 중단ㆍ유지와 손해배상 / 이재경 2018  4433
52 9 보건의료 바이오제네릭 의약품의 허가심사제도에 관한 고찰 / 송태은 2009  4449
51 18 인체실험 The Silent Majority: Who Speaks at IRB Meetings? 2012  4577
50 1 윤리학 테일러의 생명중심주의 사상의 환경윤리교육적 함의 / 이제용 2014  4640
49 12 낙태 사례연구 : 영국,미국,독일,프랑스의 낙태 규제 입법과 판례에 대한 비교법적 고찰 / 이희훈 2014  4749